speclogo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발행일 2009년 00월 00일
최신 버전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버전 1.0
이전 버전

1)IMS 지적재산권 웹 페이지 : http://www.imsglobal.org/ipr/imsipr_policyFinal.pdf
원안작성 협력기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IMS Korea 표준화 포럼)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위 원 장) 황대준
성균관대학교
교수
(실무위원) 김성윤
(주)포씨소프트
이사
김 현
(주)씨티유니온
차장
유욱종
(주)다울소프트
부장
조성현
테크빌닷컴(주)
부사장
조용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팀장
차남주
(주)디유넷
부사장
최성기
SK C&C
과장
(자문위원) 권희춘
수원여대
교수
김종현
계원디자인예술대학
교수
김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손진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정광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한태인
(주)메디오피아
부사장
(간 사) 신성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원

목 차

머 리 말

이 표준은 한국의 이러닝 분야 디지털 콘텐츠의 공유 및 유통 체제 확립을 위해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이하 GLC)의 Reusable Definition of Competency or Educational Objective 표준을 기초로 작성한 IMS Korea 단체표준이다. 이 표준은 한국의 문화적, 교육적, 언어적 특수성 등을 감안하여 현지화 등 확장을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또한 이 표준을 실제 구현할 때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필수와 선택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목적에 따라 선별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이 표준은 온라인 및 분산학습에서의 역량 정의를 설명(describing), 참조(referencing), 교환(exchanging)하는데 필요한 정보 모델을 정의하고 있으며 역량에 대한 공통적인 정의와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역량정보를 다루는 학습시스템 사이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이 표준을 통해 학습시스템, 인적자원시스템, 학습콘텐츠, 역량 또는 스킬 저장소 및 기타 관련 시스템 간에 역량정의를 교환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다른 표준의 정보 모델에 포함되는 역량 또는 목표를 설명할 때도 활용이 가능하여 여러 표준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 표준은 멀티파트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세가지 표준 문서로 구성된다.
  • Part 1 : 정보 모델 (Information Model)
  • Part 2 : XML 바인딩 (XML Binding)
  • Part 3 :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Best Practice & Implementation Guide)
이 표준은 저작권법에서 보호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다. 이 표준 문서의 표지에 있는 지적재산권 공지 사항을 숙지할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특히 온라인 및 분산학습에서의 역량 정의를 설명(describing), 참조(referencing), 교환(exchanging)하는데 필요한 정보 모델을 정의한다. 이 표준에서 역량이란 용어는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으로 기술(기능), 지식, 과제, 학습 성과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 표준에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학습의 핵심적 특징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표준은 공통적인 정의와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역량정보를 다루는 학습 시스템 사이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증진시킨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의 핵심 정보는 체계적으로 정비되지 않은 문장에서 역량을 정의한 것으로서, 전역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사용하여 지칭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역량의 사용자 정의 모델(user-defined model)을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학습 또는 경력 계획, 학습 선수요건, 학습 성과로서 등장하는 역량을 공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표준의 정보 모델은 학습 시스템, 인적자원시스템, 학습 콘텐츠, 역량 또는 기술(기능) 저장소 및 기타 관련 시스템 간에 역량 정의를 교환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정보 모델에 포함되는 역량 또는 목표를 설명할 때도 활용이 가능하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기계에 의해 상호 교환되지만 표준에 포함된 정보는 사람의 해석을 필요로 한다. 작은 여러 개의 역량을 합한 것(예를 들어, ‘던지는 능력’과 ‘잡는 능력’을 합쳐서 ‘공놀이를 하는 능력’)과 역량을 평가, 인증, 기록, 수업 설계(instructional design) 또는 지식 경영(knowledge management)으로 활용하는 것은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개인과 관련된 역량기록을 정리하고 저장하고 교환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다루지 않는다.

1 적용범위 및 배경

이 문서는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1.0버전으로 다음의 표준 문서로 구성되며, 각각의 표준이 다루는 범위는 다음과 같다. 정보 모델 표준의 핵심부분을 설명한 것으로, 이 정보 모델을 사용하는 바인딩에 규범(normative)을 제시한다. 정보 모델에는 의미론(semantics), 구조, 데이터 유형, 값 스페이스, 다중도, 필수 여부 등이 포함된다. XML 바인딩 정보 모델을 XML 1.0버전에 바인딩한 것으로 이 바인딩을 활용한 XML 인스턴스의 예를 제공한다. 이 표준을 참조한 것이든 또는 이 표준에 지정된 네임스페이스를 선언한 것이든 모두 해당된다. 실수가 발생하거나 필요한 내용이 빠지는 경우 정보 모델이 우선한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XML 바인딩은 관리문서로 제공되며, 프로그램 실행 시 사용되어야 하는 W3C 스키마언어를 사용한다. 활용 사례 실행 가이드 정보 모델 및 XML 바인딩 실행에 대한 비규범적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 표준이 지원하고자 하는 정보를 다루는 기존의 관행을 참조하거나 상호운용성과 지속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개념적 프레임워크 맵(conceptual framework maps)의 실제 활용방법에 대한 예제와 이 표준과 관련 IMS 표준들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 표준 사용자들은 반드시 표준을 활용해야 할 의무는 없으나 가능한 한 이 표준을 따르도록 한다.

1.1 요구사항

표준에서 역량 및 학습목표의 정의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이러닝과 인적자원관리(HRM) 등의 다양한 분야에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공통적인 양식을 만들어서 객관적인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및 HR-XML 역량과 같은 표준의 발전을 지원하는 요구사항, 시나리오, 사용 사례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표준 자체가 중요하기 보다는 여러 표준에 다양하게 응용되므로 독자들은 다음에 열거하는 부분을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IMS 다른 표준들의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 3.3장 (개념모델을 설명하는 어플리케이션)
  • 사례연구, 부속서 A
상기의 어플리케이션-도메인 요구사항 이외에도 모든 IMS 표준들은 다음과 같은 IMS 상호운용성 표준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 교환을 위해 XML에 바인딩이 가능해야 함
  • 분산데이터 패러다임에서 활용될 수 있어야 함
  • 측정(scale) 및 실행(perform)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해야 함
  •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유연해야 함
  • 실제적으로 실행 가능해야 함
  •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함

1.2 문서구조

2장 이후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RDCEO 개념모델(3장) : 표준의 설계 및 표준의 올바른 사용법에 토대가 되는 개념
  • 기타 표준과의 관계(4장) : 기타 IMS 및 외부 표준과의 관계
  • 실행가이드(5장) : RDCEO 데이터구조의 사용법에 대하여 이 표준에 명시된 다른 표준의 정보를 구체적으로 설명
  • 기본예제(6장) : RDCEO 인스턴스의 기본예제
  • 응용예제(7장) : 기타 정보모델 어플리케이션에 명시된 RDCEO 인스턴스 참조의 기본예제

2 용어정의

2.1 약자와 약어

  • ADL : 고급 분산학습(Advanced Distributed Learning)
  • DTD : 문서 유형 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
  • IEEE : 전기 및 전자 엔지니어 협회(Institute of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
  • ISO : 국제표준기구(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 JTC : 합동 기술 위원회(Joint Technical Committee)
  • LTSC : 학습 기술 표준 위원회(Learning Technology Standards Committee)
  • RDCEO :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IMS Reusable Definition of Competency or Educational Objective)
  • SCORM : 공유가능 학습 콘텐츠 객체 참조모델(Share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 W3C : www 콘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
  • XML : 확장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3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개념모델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데이터모델은 기본 형태이며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역량모델 및 역량 활용 시 어느 상황에서도 보편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중립적으로(neutral) 설계되었다. 주: 이 표준에서 역량이란 용어는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으로 학습목표(습득하고자 하는 능력)와 역량(이미 습득한 능력)을 모두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역량이라는 용어는 일부 커뮤니티들이 기술만 포함시키고 지식 또는 이해는 제외시켜서 제한적인 의미로 활용하기도 하지만, 누군가(someone)의 또는 무엇(something)인가에 대한 모든 종류의 잠재적인 능력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역량은 실행공동체(ACRL, CASAS, CPA, LSDA, Mager, NOCN, NOICC, O*Net, PASS, SCANS, TATS)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체계화된다. 이곳에 열거된 실행공동체 리스트가 전부는 아니다. 비록 이 표준이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개발되었지만 이 표준이 서비스할 수 있는 세계 모든 실행공동체들의 상황을 반영하지는 못했다. 심지어 한 국가의 실행공동체들의 상황을 모두 반영하지도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 표준을 활용하면 각 실행공동체는 그들이 사용하는 모델에 따라 해당 정보를 효과적으로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이 표준의 범위는 역량 또는 학습목표를 정의하는 것에만 한정되며, 개인과 관련된 데이터들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에는 포함될 수 있다. 정보 모델 문서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데이터 모델 요소를 설명할 것이며, 이 표준은 응용 시 필요한 활용 사례 및 문맥을 다룰 것이다.

3.1 적용범위

IMS KR 1010-3_clip_image002

그림 3.1 역량 표준에 대한 문제 영역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역량 표준과 관련한 사소하지만 생산적인 부분들을 다룬다. 이 표준은 데이터의 활용 방법보다는 데이터만을 다룬다. IMS KR 1010-3_clip_image004

그림 3.2 역량 데이터 프레임워크

역량 데이터 공간(Competency data space) 내에서,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역량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정보 모델에만 초점을 맞춘다. 이들 역량 데이터는 여러 사람(적어도 한 사람 이상), 다양한 문맥과 차원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기타 표준 활동들은 다른 측면을 다룰 것이다. 예를 들어, 역량의 증거에 관한 정보들을 교환하는 방법은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을 것이다. 역량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 표준은 역량을 분류하기 보다는 역량을 참조하는 것만 다룰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행을 하다 보면 분류가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할 경우에는 메타데이터 매커니즘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3.2 지속성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가치는 참조가 가능하다는 데 있다. 이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안정적으로 지속되어야 하며 전역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로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사실, 일단 한번 역량 정의가 이루어진 후, 전역적인 식별자와 함께 발표된 후에는 수정되어서는 안 된다. 마치 책이 일단 출간이 된 후에는, 취소할 수 없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물론 개정본을 만들 수는 있지만 사실상 이것은 새로운 버전으로 원본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갱신 또는 수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의 새로운 인스턴스가 만들어져야 하며 이때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식별자를 통해 이전의 인스턴스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물론 새로운 인스턴스에 이전 버전의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는 있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저장소가 만들어지고 이들 중 일부는 일반인들이나 거래 파트너들에게 공개될 수 있다. 각각의 정의는 변경되지 않고 고유의 식별자로 구별됨으로 정의들은 저장소들 간에 안전하고 완벽하게 복사가 가능하다. 2002년에 그러한 저장소들이 있었으나 모두 다른 정보모델을 사용하거나 가정을 두었기 때문에 표준화된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들 저장소에서 활용된 사례를 참고하면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발전사항을 알 수 있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정의가 저장소에 저장되면 정의 내용을 참고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고유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접근이 가능하다. 3.3에 명시된 활용 사례는 역량 관리를 포함한 다양한 업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식별자를 수집하고 단순히 교환하는 것만으로도 실용적이고 경제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3.3 활용

이 장에서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설명한다. 이 장을 통해 독자들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커뮤니티 또는 시장에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혁신적 활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IMS 및 기타 표준을 응용하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는 4장(다른 표준과의 관계)과 7장(응용예제)을 참조한다.

3.3.1 분류, 맵, 스킬-갭 분석

IMS KR 1010-3_clip_image002_0000

그림 3.3 역량 분류 vs.

역량 정의를 활용하는 하나의 사례는 마치 역량 분류 또는 맵에 블록을 쌓는 것과 같을 수 있다. 사실상 그러한 분류 또는 맵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과 관련된 참조 정보를 모아놓은 것이라 할 수 있다.

IMS KR 1010-3_clip_image004_0000

그림 3.4 역량 분류 v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활용하는 또 다른 전형적인 예는 기술(기능)-갭 분석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 역량 기록은 일반적으로 역량의 증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역량 정의에 대한 참조 정보와 함께 활용된다. 역량 정의는 또한 역량 모델에 의해 참조된다. 이들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역량 정의 참조정보에 대한 수집이 가능하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학습자 기록 내의 역량 달성에 대한 증거가 없는 기술(기능)들을 식별한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과 역량 정의 참조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역량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저장하고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을 상당폭 줄일 수 있다. 절차상의 논리 또는 지식 기반의 접근 방식을 활용하는 적응형, 맞춤형 학습 시스템에도 동일한 개념의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적용함에 있어 학습자가 이미 실행한 것보다는(특정 학습경험) 향후 학습자가 실행할 수 있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3.3.2 과정, 학습객체, 학습자원 검색, 교육목표

학습 기본자료부터 교육과정까지 포괄적인 측면에서 학습객체를 다룰 때,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습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학습 단위(chunk of learning)를 고안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교육자나 교육공학자는 충분한 학습 단위를 학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학습성과를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특히 학습 단위(chunk)를 재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학습성과가 공식적으로 평가 받는지의 여부는 상관이 없다. 그러나 교육 평가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학습자가 학습성과를 달성했는지에 대한 기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한 학습 단위는 적절한 규모의 단위로 나뉘어져 있을 것이므로, 학습성과 또한 작고 세밀하게 적절한 규모의 단위로 정의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세밀한 단위의 학습성과가 모여 좀 더 큰 규모의 학습성과를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례를 예로 들어 보자면,
  •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교육자는 우선적으로 교육과정이 제공하고자 하는 학습성과를 정의하고 아래의 요소를 검색하거나 개발한다.- 학습성과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학습자원- 학습성과를 인정할 수 있는 공식적인 평가 도구
  • 교사 또는 학습자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성과 정보를 활용하여 저장소에서 해당 학습성과 달성에 가장 적절한 학습자원을 검색한다.
  • 학습자가 등록해야 할 학습과정을 결정하기 위해, 학습자와 조언자는 먼저 학습자가 달성하고 싶은 학습성과를 생각해보고, 제공되는 학습모듈, 교육과정, 학습 프로그램의 학습성과와 연계시킨다. 또는 학습자가 이미 갖추고 있거나 부족한 학습성과 또는 역량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해 평가를 활용할 수도 있다.
  • 학습자와 교사가 학습자의 학습 진행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 중에도 학습성과 성취정보를 기록할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학습자원의 목록을 만들고 학습자원을 검색하는 방식으로 다음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두 개의 방법은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1) 상호 합의된 분류체제와 이미 정해진 어휘를 사용한다. 이 접근방식의 두 가지 이점은 다음과 같다.
  • 분류 목록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회복지 분야의 교육과정을 수강하기를 원한다면 해당 시스템은 교육기관이 정의한 하위 목록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게 되고, 이에 따라 아동복지 분야의 유아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이 빈 검색 박스에 적당한 검색용어를 입력하게 하는 방식보다 훨씬 도움이 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어떤 교육과정은 ‘Care of the elderly’의 목록으로 관리되고, 또 어떤 교육과정은 ‘Care of old people’ 이라는 과정의 목록으로 관리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elderly’ 또는 ‘old people’ 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일부 교육과정에 대한 검색 결과만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반면 정해진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2) 텍스트를 자유롭게 쓴다. 이 접근법의 세 가지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상호 합의된 분류 체제를 사용함으로써 초래되는 각종 제약을 피할 수 있다.
  • 상호 합의된 분류 체제/정해진 어휘가 없을 경우, 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 정보 검색을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두 가지 방식 모두 학습성과를 활용하여 학습자원을 수월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들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듀이 데시멀 분류(DDC) 또는 범용 데시멀 분류(UDC)와 같은 주제기반 분류(subject-based classification)방식의 유용성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다.

4 다른 표준과의 관계

이 장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과 타 표준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세부사항 및 예제 등은 다른 장에서 설명할 것이다. 이 장에서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포함된 더 큰 범위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설명한다.

IMS KR 1010-3_clip_image002_0000

그림 4.1 IMS 프레임워크 관련 데이터 모델에서 “역량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역할

4.1 IMS 표준들과의 관계

IMS 표준 및 실행 핸드북은 IMS 웹사이트: http://www.imsglobal.org/에서 찾을 수 있다.

4.1.1 전역 고유 식별자에 대한 IMS 가이드라인

IMS: IMS Persistent, Location-Independent, Resource Identifier Implementation Handbook 1.0버전(IMSPLID)에서 실행가이드를 찾을 수 있다. 4.1.2장은 다양한 형태의 식별자 활용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룰 것이다.

4.1.2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인스턴스에 사용되는 LOM (and IMS Metadata)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재사용이 가능한 정의를 위해 필요할 경우, IMS 메타데이터 기록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유용한 메타데이터에는 추가적인 식별정보(카탈로그 엔트리), 저자에 관한 정보, 작성일자, 다루는 내용(IMS 메타데이터 표준이 채택한 Dublin Core의 관점에서)이 포함될 수 있다. 정의(definition)를 이전 버전에서의 정의와 연계시키기 위해 <relation>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4.1.3 LOM (and IMS Metadata) 내의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참조

LOM은 외부적으로 정의된 토큰을 참조할 수 있는 여러 장소들을 포함한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에 대한 참조가 가장 가치 있게 활용되는 곳이 바로 분류 구성체(classification construct)이다. 해당 예제는 2.3.2에 명시되어 있다. 특히, 두 가지의 분류 유형(LOM 용어에 목표들이 명시되어 있다)이 IEEE LOM 표준과 IMS 메타데이터 1.2버전 표준(학습목표 및 선수과목)에 열거되어 있다.

4.1.4 학습자 정보 패키지(LIP) 정보 모델

‘학습자 정보 패키지’ 모델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직ㆍ간접적으로 활용하고,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응용되는 사례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직접적인 활용예제는 응용예제(6.4장)에서 제공되며 프로파일 내에서는 목표(goal) 또는 역량 엔트리(competency entries)로서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참조한다. 간접적인 활용 예제는 인증서 같은 것을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으로부터 참조하거나 그 반대로 인증서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참조하는 경우이다.

4.1.5 콘텐츠 패키징을 사용하는 일괄 시스템(Bundling)

IMS 실행 핸드북인 ‘Using IMS Content Packaging to Package Instances of LIP and Other IMS Specifications 1.0버전(IMSBUND)의 활용법’ (이는 또한 ‘Bundling Guide’라고도 불린다)은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의 XML을 다른 문서 및 데이터와 함께 패키징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의 XML 인스턴스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참조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용자(receiver)가 정의를 파악하거나 검색이 가능하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 ‘Competency 1.0 버전’이라고 불리는 표준에 대한 Bundling Guide는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고 이 표준도 이 명칭으로 불리우지 않았다. 유형 식별자 ‘imsrcd_xmlv1p0’이 ‘Competency 1.0 버전’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Competency 1.0 버전’ 이라는 명칭과 유형 식별자 ‘imsrcd_xmlv1p0’는 ‘Reusable Definition of Competency and Educational Objective 1.0’과 ‘imsrdceo_xmlv1p0’의 적절한 동의어로 간주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용어는 향후 Bundling Guide에서 제외될 예정이다. Bundling Guide를 작성할 때에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없었기 때문에, Bundling Guide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XML 인스턴스를 포함한 예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경우에 따라서는 XML 인스턴스를 <resource> 컨테이너에 하나의 파일로 포함하는 것이 실용적일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즉 ‘학습자 정보 패키지’표준의 XML이 특정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XML 파일을 참조하지는 않지만,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식별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별 <resource> 요소를 사용해야 하고, 프로세싱 시스템에게 처리해야 할 수도 있는 보조 파일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dependency> 요소가 도입되어야 한다. resource를 "imsrcd_xmlv1p0"라고 표기함으로써, 내용에 대한 확인 없이 처리 시스템이 포함된 파일의 관련성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4.1.6 심플 시퀀싱(Simple Sequencing)

현재 공개 초안(public draft) 표준 상태인 IMS 심플 시퀀싱은 콘텐츠 중심인 시퀀싱으로부터 해당 정보를 분리해내는 방식으로 식별자가 역량을 참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시퀀싱 모델은 지속적인 목표 측정을 활용하기 때문에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적용하는데 적절하다.

4.2 관련 표준

4.2.1 IEEE LOM

IEEE 1484-12:2002 (Standard for Learning Object Metadata: 학습 객체 메타데이터 표준)는 이 표준 개발 당시 정보 모델로 새롭게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 표준은 IMS 메타데이터 1.2 버전과 공통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IMS 표준과 실제적으로도 호환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두 표준의 정보 모델에는 유사성이 많이 나타나며, 이 문서에 명시된 응용 예제들은 IMS 메타데이터1.2버전 또는 IEEE LOM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현재 IMS 메타데이터 1.2버전과 IEEE LOM의 XML 바인딩이 개발 중에 있다.

4.2.2 HR-XML 역량

HR-XML 컨소시엄은 최근까지 IMS GLC와 다른 행보를 보여왔다. 이 같은 차이점은 인적자원(HR) 관리와 이러닝의 도입배경(starting point)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 컨소시엄 모두 상대방 영역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이 두 표준 활동의 접점(touch-point)이라 할 수 있다. HR-XML 표준인 ‘Competencies 1.0 버전(Measurable Characteristics)’은 HR 영역에서의 이슈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과 관련 있는 비지니스상의 이유에 대해서 잘 설명하고 있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HR-XML의 역량기록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6.3장을 참고한다.

5 실행 가이드

5.1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데이터 구조 활용

요소의 의미(semantics)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정보 모델에 설명되어 있으며, XML 바인딩 문서는 XML에서 이들 요소의 사용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 장에서는 추가적인 실행 가이드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장은 정보 모델과 XML 바인딩 문서와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5.1.1 <rdceo>

<rdceo>는 XML 인스턴스의 기본요소(root element)이다. <rdceo>는 재사용이 가능한 정의로서 collection(즉, 출간된 카탈로그)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rdceo>를 복사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카탈로그 전체를 편리성 또는 적용을 위해 복사하는 경우도 정의를 복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정의를 처리하거나 저장하는 경우에 정보가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식별자와 메타데이터를 설명하는 장에서는 <rdceo>를 관리할 때 유의해야 할 주의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사된 정의(copied definition)가 XML과 완전히 동일해야 할 필요는 없다.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예를 들면,
  • 명시문(statement) 식별자는 바뀔 수 있다.
  •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statement>, <definition>, <langstring> 요소들은 순서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순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일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새로운 <langstring>을 추가하여 기존 데이터의 번역본을 또 다른 인간언어에 포함시킬 수 있다. <rdceo> 레벨에서 메타데이터를 적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레벨에서 메타데이터를 적용할 경우에는 다음의 원칙을 준수한다.
  •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스키마와 버전을 명시한다.
  • 만약 새로 만들어진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이전에 출간된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분류 등을 대체한다면 라이프사이클 데이터와 같은 관련 정보들을 제공한다.
향후,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또 다른 버전이 다른 XML 네임스페이스로 개발될 예정이다. 이 경우 바인딩에 정의된 모든 XML 요소들은 동일한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해야 한다.

5.1.2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식별자

5.1.2.1 식별자 개념 및 어플리케이션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식별자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은 고유해야 한다는 점이다. 전역 식별자 레지스트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식별자를 두 부분, 즉 카탈로그와 엔트리로 나누어 고유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식별자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바인딩과 특정한 실행사항을 저장하는 방법이 무엇이든지 상관 없이, 식별자에 이들 두 부분이 항상 포함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식별자가 사슬모양으로 연결된 정의를 수용할 수 있고, 식별자를 분리하여 명시된 정의 또한 받아들인다. 결국 그 속에 포함된 정의는 동일하며 따라서 데이터 또한 동일하다고 간주된다. 폐쇄 시스템은 편리한 교환 바인딩(convenient exchange binding)으로서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선택할 수 있고 불명확한 식별 스키마(opaque identification scheme)를 사용할 수 있다. 반면 개방 시스템(open systems)은 다음에 열거하는 옵션을 채택함으로써 상호운용성을 극대화한다. 등록된 네임스페이스 식별자(registered namespace identifier)가 포함된 URN과 같은 견고한 스키마를 사용하여 충분한 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탑재 시스템(receiving systems)이 URN을 정의로 분석하거나 URL을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도 있다.
  • ‘catalog’를 유효한 URL로 활용한다(그러나, ‘#’은 사용하지 않는다).
  • ‘entry’를 유효한 URI 단편요소(fragment) 식별자로 활용한다.
  • ‘catalog’에 제공된 URL에 주요 참조대상인 XML 인스턴스를 입력한다(publish).
  • 도메인으로 URL만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때 defining authority와 local control mechanism의 관리를 받아 카탈로그 식별자가 중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은 식별자 위치와 XML 구성요소로 자연스럽게 해석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언급된 사항 이외의 사항을 준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경우에는 공공의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다른 시스템과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시스템은 위에서 언급된 사항을 준수한다는 것을 가정하면 안 된다.
5.1.2.2 IMS 지속적이고 지역에 상관 없이 활용될 수 있는 자원 식별자 실행 핸드북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정보 모델 내에서 식별자에 대한 접근방식은 카탈로그 값과 엔트리 값으로 구성된 리소스 식별자를 명시하고 있는 IEEE LOM 표준의 접근방식을 따른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바인딩은 IMS Persistent, Location-Independent, Resource Identifier Implementation Handbook 1.0버전(IMSPLID)에 명시된 URN 접근방식을 허용한다. 뿐만 아니라, URI 또는 URI 참조정보를(URN을 사용하지 못할 경우) 식별자의 바인딩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URI 참조 스키마는 ‘#’ 기호(Unicode hexadecimal 23)로 분리된 두 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문자열(string)을 정의한다. IMS 핸드북에 명시된 URN과 같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리소스 식별자들이 생성될 수 있다.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아직 활용 사례가 없어 특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는 없으나 다음을 참고하도록 한다.
  • URN은 일반적으로 “URN:<NID>:<NIS>”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URN:<NID>”는 카탈로그 값을 포함하고, “URN:<NID>”는 two-part 식별 모델의 엔트리 값을 포함한다.
  • 만약 URN이 사용되는 대신 URI 참조 구문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identifier> 요소에 카탈로그 값과 엔트리 값이 모두 포함되며, 두 개의 값은 “#”로 구분된다. 이러한 방식의 연결 결과는 유효한 URI 참조가 되어야 한다. URI 참조는 RFC 2396의 4절에 명시된다.
  • <identifier> 문자열이 URN 또는 URI 참조가 아닌 URI인 경우에는 “#”이 포함되지 않고 카탈로그 값은 “0“으로 가정된다.
IMS 핸드북은 제한된 스키마/소스 구문을 다양하게 제시하며, 이들 구문은 이 표준에서 ‘카탈로그+엔트리’ 형식으로 표기된다.

5.1.3 <title> 과 <description>

<title>과 <description>은 재사용이 가능한 정의의 확장된 평문(free-text) 표기방식이다. 제목은 반드시 입력해야 하며 간결해야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추가 설명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표기방식은 구조화된 정의(structured definition)를 사용한다(예: <statement> 요소에 입력된 내용). 모델의 아이디어나 구조화된 정의(structured definition)에서 사용된 모델의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구조화된 모델(structured model)에 재사용이 가능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description>이 사용될 수 있다. <title>과 <description> 모두 인간 언어로 입력되어야 하며, 여러 언어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 인간언어는 XML 바인딩 문서에 명시되는 xml:lang 속성을 사용하여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여러 언어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표현해도 무방하다. 한 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은 재사용이 가능한 하나의 정의에 단 하나의 제목만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언어당 하나의 <langstring> 엔트리만 입력이 가능하다.

5.1.4 <definition>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definition> 요소는 명시문과 관련하여 하나의 구조화된 정의(structured definition)만 포함할 수 있다. 각 명시문의 중요성은 모델의 사용을 선언하거나 기록함으로써, 그리고 모델 내에 각 명시문의 역할을 명시함으로써 명백해진다. 비록 모델과 명시문 명칭의 식별이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구조화된 정의(structured definition)가 사용되는 경우라면 모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명시문에 명칭이 없는 경우라면 모델을 선언(declare)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명시문의 명칭을 쓰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모델이 명시문 명칭의 맥락을 정의하기 때문이다. 재사용이 가능한 정의에 여러 개의 <definition>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역량 또는 학습목표가 서로 다른 모델 내에서 설명될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만약 하나 이상의 <definition>이 나타나는 경우 각각의 <definition>은 서로 다른 모델을 사용하고 있음을 선언해야 한다(선언되지 않은 모델(undeclared model)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최대 한 가지 정의만 허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실제로 정의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불확실하다. 두 조직은 서로 다른 식별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나의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두 조직에 의해서 사용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나 하나의 조직이 두 개의 모델을 사용할 수는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학습자 중심으로 운영된다고 할 수 있다. 구식의(outdated) 또는 전혀 다른(disparate) 모델을 사용하는 기존의 정의들이 공통 형식 정의 모델(common formal definition model)을 사용하는 새로운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인스턴스에 적용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업이 합병하여 학습목표를 정의하기 위해 두 기업이 사용하는 기술(기능) 모델을 통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5.1.4.1 <model>
모델은 어떤 문자열로도 식별할 수 있지만, 인간 언어로 <title>을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인간 언어는 일반적으로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고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델은 일반적으로 불명확하고(opaque) 통제된 용어로 식별된다. 모델은 정의 모델과 정의 모델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 구문을 설명하는 문서에 대한 유용한 URL이 될 수 있다. 인간이 읽을 수 있도록 설계된 HTML 페이지가 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도구를 활용하여 읽고 사용될 수 있는 XML 파일이 될 수도 있다(모델 식별을 위해 스키마가 정의되지는 않으나, 어휘 또는 분류 정의 스키마를 적용할 수 있다). 모델 식별을 통해 명시문 명칭의 해석을 고유하게 한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를 구별하는 ‘기준(criterion)’을 활용한다. 선택적이든 반복적이든 상관 없이, 모델은 유효한 명시문을 정의한다. 모델이 유효한 명시문을 어떻게 정의하는가의 문제는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지만, 어떤 실행공동체에게는 중요한 고려사항일 수 있으며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활용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조직이 선호하는 모델을 통해 하나 이상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향후, 이 표준에서는 모델의 공유를 추구함으로써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개발하고자 하는 상호운용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5.1.4.2 <statement>
각각의 명시문은 구조화된 정의 모델 내의 역할을 식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statementname 속성을 사용하여 명칭이 붙여진다. 명시문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고 명시문 명칭만이 중요성을 지닌다. XML 인스턴스가 나타내는 정보는 명시문 리스트이며 순서는 없다. 요소의 <statement> 순서만 다른 XML 인스턴스들은 사실 동일하다. 모델이 허용하기만 한다면 동일한 명칭이 붙여진 명시문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명시문은 식별자 속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정의와는 별 관련이 없다. 식별자 속성은 처리과정 중 명시문을 추적할 경우에만 쓰이는 지역적으로 고유한 라벨에 불과하다.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이 처리되고 재전송될 경우 명시문의 식별자 속성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명시문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즉, <statementtext>를 사용하는 인간언어 엔트리와 <statementtoken>을 사용하는 토큰 처리된 엔트리(tokenized entries)로 분류될 수 있다. <statementtext>는 <title>, <description>과 동일하게 활용되며 특정 모델의 컨텍스트 내에서 완전히 이해가 가능하도록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statementtoken>으로 다양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토큰(어휘용어 또는 ‘value’)은 <source> 요소로 함께 쓰여 용어의 출처를 정의한다. 통제된 용어에 대한 접근방식은 IMS 메타데이터 1.2 버전과 IEEE LOM의 접근법을 따른다. 토큰은 단지 문자열이다. 토큰은 반드시 인간언어일 필요가 없으며 꼭 의미가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일반적으로 “source”는 <source> 요소 내의 데이터 또는 표준, 어휘용어를 인간 또는 기계가 해독할 수 있도록 설명해 놓은 URL을 참조하여 토큰의 의미를 정의한다.

5.1.5 <metadata>

메타데이터는 재사용이 가능한 정의의 레벨에서 나타난다. 새롭고 다른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것 대신에,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설명하기 위해 Learning Object Metadata(LOM)에 이미 정의되어 있는 관련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

5.2 분산 구조 및 고려 사항

분산 구조(distributed architecture)가 고려될 때 재사용이 가능한 정의의 가치가 명백히 드러난다. 분산구조가 실질적으로 항상 성공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분산 환경(distributed milieu) 내에서 상호운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고려되는 것이 유용하다. 이 표준을 개발함에 있어 인터넷 기반의 기술을 적용하는 현재의 방안을 채택했으며, IMS 표준은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을 것이다. 이 표준을 활용할 때는 이 표준의 목표가 이러닝 또는 기타 다른 시스템을 위한 구조를 정의하는 것에 있지 않고 누군가 다른 주체가 Java RMI, SOAO, 일반적인 웹 출판물을 활용하여 이 일을 담당해야 할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이들은 API가 정의되는 경우와 미가동 데이터(raw data)가 사용 가능한 경우로 나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사용할 것이며 지속적이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식별자를 사용할 것이다. 식별자는 지속적이며 장소에 구애 받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정의들이 의미 있게 재활용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정의를 출간한 사람들(publisher)이나 저장소의 개발자들(creator)은 정의를 저장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시스템들이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시스템에 의해서 이전에 받아들였던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참조사항을 해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재사용이 가능한 정의를 보관하는 범용 저장소(universal repository)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식별자만 가지고도 정의를 추적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5.1.2장에서 제시하는 식별자의 활용 사례를 참고하면 식별자로 정의를 추적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방법을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도 일부 있기는 하다.

6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인스턴스의 기본예제

이 장에서 제시되는 예제들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활용하여 정보들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보여준다. 다른 타당하고 가능한 방법들이 많이 있을 것이나 이들 예제 중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정보 모델에 정보를 매핑하는 것에 대해서 앞서 언급한 어떠한 기관도 다음의 예로 검증하지 않았다. 이 표준에서 제공되는 모든 식별자와 모델들, 카탈로그 또는 모델 식별에 사용되는 모든 URL은 임의로 설정되었다. 이 장에 나타나는 모든 예제들은 XML 파일들을 사용하여 제시되었으며 다음의 도구들을 사용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XML Spy 4.4
  • Microsoft XML Parser 4
  • Xerces for Java 2.0.2
  • Turbo XML 2.3.1

6.1 기본예제

<title>과 <identifier>만이 필수적으로 입력되어야 할 사항이다. 다음은 이 정보를 보여주는 XML 구성요소의 예제이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fictional/rdceo_cat1.xml#minimal_eg</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Minimal Example - Mandatory  Elements Only </langstring>
            </title>
</rdceo>

6.2 식별자로서 URN의 활용

첫 번째 구성요소는 IMS PLID 핸드북(IMSPLID)에 제시된 예제를 토대로 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URN:IMS-PLIRID-V0:ISBN#:0-201-83599-1</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Testing URN</langstring>
          </title>
</rdceo>
두 번째 예제는 문자 이스케이핑(escaping)을 보여준다. 이 경우 ‘RN:PublicID:foo%23bar1’의 완벽한 URN을 포함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URN:PublicID:foo%23bar1</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Testing URN</langstring>
          </title>
</rdceo>

6.3 IMS 표준에 활용되는 역량의 활용 예제

이 예제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요소 확장 매커니즘을 활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또한, 서술적인 텍스트를 포함하는 모델 요소를 포함한다. 다음의 예제는 유효하나 일반적으로 권장되지는 않는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imsmd_rootv1p2p1.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fictional/rdceo_cat1.xml#pass_eg</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US">Reading IMS  specifications</langstring>
          </title>
          <description>
               <langstring xml:lang="en-US">Reads and understands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specifications</langstring>
          </description>
          <definition>
               <model>IMS Competency WG</model>
               <statement statementname="Performance">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Reads and understands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specifications</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Conditions">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Has access to a published specific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model, the XML binding, and  the best practices guide</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Criteria">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Demonstrates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specifications documents by verbally  summarizing their content and creating valid sample XML
       representations of appropriate data from  use cases similar to those discussed in the information
       model and/or best practices  document.</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definition>
             <metadata>
                <rdceoschema>IMS  RDCEO</rdceoschema>
                <rdceoschemaversion>1.0</rdceoschemaversion>
                   <lom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lifecycle>
                       <contribute>
                          <role>
                            <source>
                              <langstring  xml:lang="x-none">LOMv1.0</langstring>
                            </source>
                            <value>
                              <langstring  xml:lang="en">Author</langstring>
                            </value>
                          </role>
                          <centity>
                             <vcard>  BEGIN: vCard
                             FN:Robby Robson
                             END:vCard  </vcard>
                          </centity>
                       </contribute>
                  </lifecycle>
             </lom>
      </metadata>
</rdceo>

6.4 CPA의 핵심역량

이 역량의 출처는 http://www.cpavision.org/poll/corecomp.cfm이다. 또한 CPA를 참조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fictional/rdceo_cat1.xml#cpa_eg</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US">Team  Player</langstring>
            </title>
            <description>
                 <langstring xml:lang="en-US">Able to effectively execute  work as a team member. </langstring>
            </description>
            <metadata>
                <rdceoschema>IMS RDCEO</rdceoschema>
                <rdceoschemaversion>1.0</rdceoschemaversion>
       </metadata>
</rdceo>

6.5 (NOICC)에서 발췌한 고등학교 역량(성과)

이 예제의 출처는 http://www.academicinnovations.com/noicc.html이다. 정의의 statementnames (‘Category’ ‘Statement’ ‘Performance Indicators’)은 나타나지 않지만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fictional/rdceo_cat1.xml#noicc_eg</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US">COMPETENCY IV  </langstring>
           </title>
           <description>
               <langstring xml:lang="en-US">COMPETENCY IV: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career  planning.</langstring>
           </description>
           <definition>
              <model>http://www.academicinnovations.com/noicc.html</model>
              <statement statementname="Category">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Educational and Occupational  Exploration</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 Statement ">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career  planning.</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Performance Indicators">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Demonstrate how to apply academic and vocational  skills to achieve personal goals.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and vocational skills to personal
       interests. Describe how education relates  to the selection of college majors, further training, and/or entry into the job market.  Demonstrate transferable skills that can apply to a variety of
       occupations and changing occupational  requirements. Describe how learning skills are required in the workplace.</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definition>
        <metadata>
            <rdceoschema>IMS RDCEO</rdceoschema>
            <rdceoschemaversion>1.0</rdceoschemaversion>
        </metadata>
</rdceo>

6.6 오레곤주의 대학 입학시험 (PASS)

오레곤주 PASS 사회과목 D등급에 관한 사례로 출처는 http://www.ous.edu/pass/docs/pdf_documents/standards/social_science.pdf이다. 이 정의는 하나의 <statement> “Criteria” (여러 개의 기준의 집합을 포함)로 구성된다. 6.7 예제는 다른 방식으로서 동일한 명시문 명칭을 가진 명시문을 여러 개의 기준을 활용하여 분류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fictional/rdceo_cat1.xml#pass_eg</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US">Oregon PASS  Social Science Proficiency D</langstring>
           </title>
           <description>
               <langstring xml:lang="en-US">Oregon PASS  Social Science Proficiency D: Understand Structures
       and Systems of United States Government.  Understand the principles, purposes, structures, and
       functions of government in the United States:  its philosophical basis and historical evolution; the
       structure of power, authority, and  governance; the relationship of the states to the federal
       government; the Constitution and Bill of  Rights; the dynamics of conflicting rights and interests
       in the American political system; the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citizenship; and patterns of
       democratic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Compare other forms of government and political
       systems to those found in the United  States.</langstring>
           </description>
           <definition>
              <model>http://www.uoregon.edu/pass</model>
              <statement statementname="Content Area">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Social  Sciences</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Proficiency">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D: Understand Structures and Systems of United States
       Government.</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Criteria">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D1: Understanding of U.S. Government Principles:
       Understand the philosophy and principles  upon which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is based.
       D2: Understanding of U.S.  Government System Apply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purposes,  systems, structures, and functions of U.S. government.
       D3: Understanding of U.S.  Political System: Apply understanding of the U.S. political
       system and citizen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s informed, ethical participants.
       D4: Comparison and Interaction  with Other Governments: Understand how other governmental
       and political systems compare and interact  with those of the United    States.
                      </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definition>
             <metadata>
                <rdceoschema>IMS  RDCEO</rdceoschema>
                <rdceoschemaversion>1.0</rdceoschemaversion>
          </metadata>
</rdceo>

6.7 역량 정의로 표현된 SCORM 적합성 여부 명시문

이 예제는 ADL SCORM 적합성 정의(ADL SCORM Conformance Definition)를 토대로 한 것이다. 역량 정의의 일반적인 응용 방법을 보여준다(이번 경우에는 conformance statement이다). The “competency” applies to product.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Criteria 명시문을 6.6의 예제 접근법과 비교한다. 또한, 식별자의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하며 일관성 있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imsmd_rootv1p2p1.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fictional/rdceo_cat1.xml#scorm_eg"</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US">SCORM 1.1 LMS Runtime  Conformance </langstring>
             </title>
             <description>
                  <langstring xml:lang="en-US">A learning management  system which conform to the SCORM 1.1
       specification for runtime environment  conformance. The LMS must (1) conform with section 6 of the
       SCORM version 1.1, (2) launch SCORM  version 1.1 Conformant Assignable Unit, (3) implement all of
       the API calls correctly, (4) fully support  mandatory CMI data model elements and at a minimum can
       store (LMSSetValue and LMSGetValue)  optional CMI data model elements across a single
       session.</langstring>
             </description>
             <definition>
                 <model>http://www.adlnet.org/scorm/conformacevocab/</model>
                 <statement statementname="conformance">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Conformant with section 6 of the SCORM version  1.0
                    </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condition">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Using SCORM 1.1 Conformant Assignable  Unit</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criterion">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 Launches SCORM version 1.a Conformant Assignable
       Unit</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criterion">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Implements all of the API calls  correctly</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statement statementname="criterion">
                 <statementtext>
                    <langstring xml:lang="en-US">Fully supports mandatory  CMI data model elements and at a
       minimum can store (LMSSetValue and  LMSGetValue) optional CMI data model elements across a single
       session of the AU.</langstring>
                 </statementtext>
             </statement>
       </definition>
       <metadata>
               <rdceoschema>IMS RDCEO</rdceoschema>
               <rdceoschemaversion>1.0</rdceoschemaversion>
      </metadata>
</rdceo>

6.8 IMS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예제

예제 5.3은 저작권(authorship)을 라이프사이클의 한 측면으로 파악하기 위해 네임스페이스 확장 매커니즘을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lifecycle>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맥락에서 중요할 수 있는 버전과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버전 관리(versioning)는 또한 특정 형태의 감사 추적(audit trail)을 필요로 한다. 이는 다음 예제에 나와 있듯이, IMS 메타데이터 1.2버전의 <relation> 구조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관계 구조를 사용하여 맵과 분류 체제를 수립할 수 있다. 이 표준에서는 활용 방법의 적절성에 대해서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지만 분산 정보 구조에 적절한 방법이 채택되어야 한다. 이 예제는 7장의 정의가 어떠한 버전으로 기록되었는지를 선언하고 있다. 이 예제에서는 <identifier>와 <catalogentry>라는 두 가지 형태의 표현을 사용하여 정의를 명시하고 있다. 이 두 가지 중 한 가지만을 활용하여 정의를 명시하면 되고, 이를 탑재 시스템(receiving system)은 정의가 적합하게(legitimate) 명시된 사례가 입력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identifier>와 <catalogentry>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의 결정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에서 어떠한 바인딩을 선택할 것인지와 무관하다(연결형(catenated) 식별자인지 또는 분리형 식별자를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IEEE LOM 표준은 또한 identifier 또는 catalogentry를 활용해서 관계가 표현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imsmd_rootv1p2p1.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b</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Reads  and Understands W3C Schema</langstring>
            </title>
            <description>
                 <langstring  xml:lang="en">Can read and understand W3C Schema Language  1.0</langstring>
            </description>
            <metadata>
               <lom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relation>
                     <kind>
                         <source>
                             <langstring  xml:lang="x-none">LOMv1.0</langstring>
                         </source>
                         <value>
                             <langstring  xml:lang="x-none">isVersionOf</langstring>
                         </value>
                     </kind>
                     <resour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identifier>
                       <catalogentry>
                          <catalog>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catalog>
                          <entry>
                              <langstring  xml:lang="x-none">definition1</langstring>
                          </entry>
                       </catalogentry>
                     </resource>
                </relation>
            </lom>
      </metadata>
</rdceo>

7 응용 예제

다음 각각의 예제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으로 가정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dentifier>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Reads and Understands W3C Schema</langstring>
         </title>
         <description>
              <langstring  xml:lang="en">Can read and understand W3C Schema Language  1.0</langstring>
         </description>
</rdceo>

7.1 IMS 메타데이터 1.2 버전

이 예제는 IMS GLC 메타데이터 표준 1.2 버전을 활용하고 있다. 우리는 이 표준에서 정의의 구조 또는 프레임워크 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분류 요소(taxon elements)의 단계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비계층 네트워크(non-hierarchical networks)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비록 구조/프레임워크가 알려져 있다 하더라도 활용 사례에 단계를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계층적 역량모델(hierarchical competency model)의 예가 몇 가지 제시된다. 이들 예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분류방식을 명시하는 메타데이터에서 분류 단계(taxon ladder)를 사용한다. 다양한 언어로 된 여러 개의 명칭이 정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entry>에 여러 개의 <langstring>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purpose=“Prerequisite”를 포함하는 유사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lom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imsmd_rootv1p2p1.xsd">
      <classification>
         <purpose>
           <source>
              <langstring  xml:lang="x-none">LOMv1.0</langstring>
           </source>
           <value>
              <langstring>Educational  Objective</langstring>
           </value>
        </purpose>
        <taxonpath>
           <source>
             <langstring  xml:lang="x-none">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
             </langstring>
           </source>
        <taxon>
           <id>definition1</id>
           <entry>
                <langstring  xml:lang="en">Reads and Understands W3C Schema</langstring>
           </entry>
        </taxon>
       </taxonpath>
    </classification>
</lom>

7.2 IEEE LOM

IEEE 1484-12:2002, 학습 객체 메타데이터(LOM) 바인딩은 현재는 사용되지 않으나 LOM 정보 모델과 관련된 예를 고려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는 IMS 메타데이터 1.2 버전의 예와 관련이 있다.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과 IMS 메타데이터 1.2 버전을 활용하여 실행하는 것은 가능할 수 있으며, LOM 바인딩의 매핑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9 분류(Classification)
9.1 목적
9.1.1 출처 LOM 1.0버전
9.1.2 교육목표
9.2 분류 통로(Taxon Path)
9.2.1 출처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
9.2.2 분류(Taxon)
9.2.2.1 Id 정의1
9.2.2.2 엔트리 W3C 스키마를 읽고 이해함

7.3 HR-XML 역량 1.0

HR-XML Consortium, Competencies 1.0 버전(측정 가능한 특징) 권고안, 2001년 10월 16일 버전. 모든 요소 및 속성은 HR-XML 역량 표준 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표준에 소개된 예제들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참조하고 있다. HR-XML 역량 표준은 네스팅(nesting)을 허용하고 역량 분류(competency taxonomies)를 참조할 수 있도록 허용할 뿐만 아니라, 역량 증거(competency evidence) 및 역량 가중치(competency weighting)에 관한 추가적인 데이터 요소의 사용 또한 허용한다. 그러나 어떤 것이 활용 사례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예를 들어, 내재된 역량과 분류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카탈로그가 특수 분류(special case taxonomy)로 간주되는지, 또는 ownerID가 적절한 카탈로그 식별자인지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는다.
<Competency description="Can read  and understand W3C Schema Language 1.0"
       name="Reads and Understands W3C Schema"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noNamespaceSchemaLocation="Competencies-1_0.xsd">
<CompetencyId description="IMS Global Example Competency  Catalogue"
       id="definition1"
       idOwner="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
<!-- omitted evidence data etc -->
</Competency>
대체 가능한 표현 형식은 다음과 같다.
<Competency description="Can read  and understand W3C Schema Language 1.0"
       name="Reads and Understands W3C  Schema"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noNamespaceSchemaLocation="Competencies-1_0.xsd">
<CompetencyId description="IMS Global Example Competency  Catalogue"
       id="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
<!-- omitted evidence data etc -->
</Competency>
또는, URN을 통해 식별되는 예는 다음과 같다.
<Competency description="Can read  and understand W3C Schema Language 1.0"
       name="Reads and Understands W3C Schema"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noNamespaceSchemaLocation="Competencies-1_0.xsd">
<CompetencyId description="IMS Global Example Competency  Catalogue"
       id="URN:X-IMS-PLIRID-V0::6ba7b8149dad11d180b400c04fd430c8"/>
<!-- omitted evidence data etc -->
</Competency>

7.4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이 예제들은 IMS GLC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 2001년 3월 9일 버전을 활용하고 있다.

7.4.1 학습자 역량 데이터

이 예제에서 완전한 정의(full definition)가 되려면,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완전한 연결형(catenated) 식별자를 포함해야 한다. 처리 시스템은 이 데이터를 예제와 같이 처리하며 만약 연결형식별자가 필요하다면, 지역 정의(local definition)의 필요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완전한 정의를 하나 이상의 정의를 찾는 로케이터(locator)로 간주함으로써 정의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는 완전한 정의의 유효한 URL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XML 인스턴스들이 IMS Bundling Guide advice를 사용하여 패키징된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지역 파일(local file)에 대한 참조내용이 나타날 것이며 가장 먼저 처리될 것이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learnerinformation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_lip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_lip_rootv1p0  ims_lip_rootv1p0.xsd">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http://www.imsglobal.org/examples/rcd/</source>
                        <id>lip_example2</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competency>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mpetency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 xml:lang="en">Reads and Understands W3C  Schema</short>
                     <long xml:lang="en">Can read and understand W3C Schema  Language 1.0</long>
                     <full>
                        <!--The educational objective definition and its control document are  available as an
         xml file local to this learnerinformation  xml file.-->
                        <media encoding="uri" mediamode="Text"
         mimetype="text/xml">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media>
                     </full>
             </description>
       </competency>
</learnerinformation>
URN 식별자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예와 같이 일괄처리가 바람직하다.
<media  encoding="uri" mediamode="Text"  mimetype="text/xml">
         URN:X-IMS-PLIRID-V0::6ba7b8149dad11d180b400c04fd430c8
</media>

7.4.2 학습자 목표 기록(학습 목표의 지역 정의)

이 예제는 역량 예제로서 동일한 정의(identical definition)와 관련이 있으나 학습목표와도 관련이 있다. 이 예제에서, 학습목표의 정의는 지역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파일명만이 제공되기 때문에 하나의 정의만이 포함된다고 가정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learnerinformation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_lip_rootv1p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_lip_rootv1p0  ims_lip_rootv1p0.xsd">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http://www.imsglobal.org/examples/rcd/</source>
                        <id>lip_example3</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goal>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goal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2001-08-15</datetime>
                 </date>
                 <statu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tive</tyvalue>
                    </typename>
                 </status>
                 <description>
                     <short xml:lang="en">Reads and Understands W3C  Schema</short>
                     <long xml:lang="en">Can read and understand W3C Schema  Language 1.0</long>
                     <full>
                        <!--The educational  objective definition and its control document are available as an
         xml file local to this learnerinformation  xml file.-->
                        <media  encoding="uri" mediamode="Text" mimetype="text/xml">eo1.xml</media>
                     </full>
                </description>
          </goal>
</learnerinformation>

7.5 IMS 심플 시퀀싱

심플 시퀀싱 표준이 최종 표준이 아니므로 아직 확실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원칙을 사용하는 기존의 사례를 토대로 이 예제가 작성되었다. IMS 심플 시퀀싱 표준은 Objective ID를 활동과 연계시킨다. ID는 해당되는 목표정보에 연결되는 링크이다. 동일한 목표 ID가 한 가지 이상의 활동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활동은 학습목표에 대한 사전 테스트(pre-test)이고 또 다른 활동은 학습자가 사전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전달되는 개별 지도이다. ID는 학습 액티비티, 또는 액티비티 트리에 대해 지역적(local)일 수도 있고, 전역적일 수도 있다. 만약 ID가 해석될 수 없다면, 학습 액티비티에 지역 학습목표(local objective)로 설정이 된다. ID의 범위는 심플 시퀀싱에 의해 해석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학습목표 데이터의 전역 레지스트리의 구현도 심플 시퀀싱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교육과정 출판자(course publisher)는 교육과정 패키지의 액티비티 트리에 있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식별자를 목표 ID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환이 가능한 LMS는 다양한 교육과정에 걸쳐 나타나는 학습목표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이 식별자를 활용하여 인간이 읽을 수 있는 목표의 정의를 찾거나, 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하는 과제 모델(task model)이나 역량에 학습과정 추적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7.6 가상예제

어플리케이션 예제들은 데이터 중심이다.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GUID들이 키(key)로 사용된다. GUID를 활용함으로써, 실제의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명칭과 인간이 해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화면에 나타낸다. 주: 이 예제들은 가상의 XML 바인딩으로서, 실제 상황이 아니며 현재의 표준에 꼭 일치할 필요는 없다. 유일한 표준 요소는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에 대한 참조 부분이다. 이 예제에서 사용된 표준 요소의 값은 ‘rdceoid’로 명명된 데이터 요소의 값이다. 값 자체는 창의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GUID 값을 정함에 있어 도움이 될만한 좀 더 자세한 사항은 IMS GUID 가이드라인을 참조한다.

7.6.1 역량 인증서

기본적인 역량 인증서는 구체적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즉, 역량을 갖춘 사람, 인증된 역량의 종류, 인증을 발행한 주체 등을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좀 더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역량을 찾을 수 있도록 기본적인 데이터 요소를 사용해서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역량 인증서가 작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인증서의 획득 방법, 일자, 만기일자 등이 데이터에 포함되어야 한다.
<certificate>
    <guid>xyz-acme.com:20010809ABDFECAEF-5648</guid>
    <personguid>123456-ACXX-12345</personguid>
    <issuerguid>xyz-acme.com</issuerguid>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rdceoid>
    <details>
        <rating>
            <method>Scored Exam</method>
            <score>.83</score>
            <proctored>true</proctored>
        </rating>
    <date>
        <stddate  mode="Issue"/>
        <datetime>200108091234</datetime>
    </date>
    <date>
        <stddate mode="Expiration"/>
        <datetime>200408092359</datetime>
    </date>
   </details>
</certificate>

7.6.2 기술(기능)-갭 분석을 통해 도출한 요구 역량(desired competencies) 리스트

기술(기능)-갭 분석을 통해 필요한 역량과 이미 취득한 역량을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역량에 관한 정보들이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으로 저장되어 있다면, 내용을 일일이 분석할 필요 없이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GUID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면 이미 취득한 역량은 나타나지 않고 향후 취득해야 할 역량이 정리되어 나타난다.
<rdceoid>URN:X-IMS-PLIRID-V0::6ba7b8149dad11d180b400c04fd430c8</rdceoid>
<rdceoid>URN:X-IMS-PLIRID-V0::6ba7b8149dad11d18000a1c14fd430c8</rdceoid>
<rdceoid>URN:X-IMS-PLIRID-V0::6ba7b8149dad11d180b400c04fd443e0</rdceoid>

7.6.3 기술(기능) 계층

기술들은 대부분 하위 기술(기능)로 분류될 수 있다. 총체적인 기술을 포함하여, 각각의 하위 기술은 서로 다른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계층적 관계는 기술(기능)-맵 내에 표현될 수 있다.
<skill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
   <skill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a">
   <skill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b">
      <skill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ba"/>
      <skill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bb"/>
   </skill>
</skill>

7.6.4 학습목표의 계층수형도

<tlo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
   <elo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2.xml#definition1"/>
   <elo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2.xml#definition2"/>
</tlo>

7.6.5 관련 역량의 복잡도(complex map)의 일부분

이 단편요소(fragment)는 단일 노드(single node)로 수 천에 달하는 노드의 일부이다. 이들 맵은 주제에 대한 인지적인 매핑과 대응할 수 있거나, 다양한 출처로부터 나오는 역량 정의들 사이에 서로 일치하는 것을 찾는데 활용될 수 있다.
<node>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definition1</rdceoid>
<relation>
<kind>requires</kind>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pre1</rdceoid>
</relation>
<relation>
<kind>contains</kind>
         <rdceoid> http://www.imsglobal.org/examples/competencies.xml#atomic1</rdceoid>
</relation>
<relation>
<kind>equivalent</kind>
         <rdceoid> http://www.fictional.org/a.xml#eo1</rdceoid>
</relation>
</node>

부속서 A(참고)

A.1 사례 연구(UK 학습 및 기술(기능) 개발 에이전시(LSDA))

UK 학습 및 기술(기능) 개발 에이전시(LSDA)는 교육 및 기술(기능)을 지원하는 책임을 지닌 국가기관이다. 최근 수 년에 걸쳐, 이 기관은 ‘credit framework’ (http://www.lada.org.uk/programmes/credit/)를 개발, 인증, 실험, 홍보하는데 주력하여 교육 및 훈련, 그리고 교육기관들을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을 벌여왔다. LSDA는 IMS Reusable Competency Definition 공개초안 표준을 개발하여 이 표준(매우 유용한 툴로서 프레임워크의 어플리케이션을 확대 적용하였다)을 탄생시키고 이 첨부의 자료가 되는 토의 문건(discussion paper)을 제작하였다. 학습 결과물에 대한 많은 이론은 지식경제 이전의 상황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이곳에 제시되는 모델은 개별적 구조를 제공한다. 그 결과, 나열중심의 언어(descriptive course-centered language)를 사용하기 보다는 학습자 중심으로 작성되었다. 이 모델은 다른 표준과의 높은 호환성과 상호운용성을 갖추고 있다. 특히, 기술 플랫폼을 사용하는 교육 및 학습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담당한다.

A.2 요구사항 명세서

이 곳에 제시되는 프레임워크는 UK 학습 및 스킬 개발 에이전시(LSDA)가 실행한 연구개발 성과를 토대로 하고 있다. 또한 ‘learning outcomes’ ‘units of assessment’ ‘credit’ (세부사항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의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프레임워크는 학습 및 성과를
  • 묘사하고
  • 측정하고
  • 비교하는
보편적인 방법이다. 프레임워크는 학계, 직업교육, 직장 그리고 기본교육에서부터 대학/직업 교육까지 모든 단계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학습결과에 관한 모든 표준들은 단순히 산업기술역량에 대한 설명 뿐만 아니라 폭 넓은 교육 및 훈련까지 포함한다. 만약 학습이 표준 모델(standard model)을 사용하여 정의되거나 학습목표 메타데이터, 학습정보, 평가문항 상호운용성 등에 대한 기존의 또는 계획된 표준에 링크된다면 학습자들은 목적과 시간에 구애 없이 효과적으로 자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평가와 학습성과 추적이 가능하다). LSDA 프레임워크(차후에 자세하게 설명될 예정이다)를 토대로 UK의 의견 및 활용사례를 개발했다는 것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폭 넓은 지지를 받고 있고 교육 및 훈련 부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000년 3월 런던에서 개최된 IEEE 세미나에서 이 내용을 발표했으며 호의적인 반응을 얻어 내었다. 이 접근방식은 UK 국가훈련조직들(NTOs), 고등교육/대학교육 기관들, 대학인증 콘소시엄, 학계 및 직업교육 인증기관, UK 산업대학(Ufi), 기타 핵심적인 UK 기관 등에 의해서 인정 받았다. 뿐만 아니라, 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의 국회 (자치정부(devolved governments))로부터도 인정을 받았다. 이 보고서는 다음에 열거한 활동의 결과물이다.
  • 최근 수 년간 LSDA와 기타 기관들이 한 가지의 프레임워크(coherent framework) 내에서 학습성과를 명시하려는 노력
  • 학습성과(수준과 분량에 상관 없이 학습자가 학습하고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것)를 한 가지 맵으로 작성하여 학습객체 맵에 논리적으로 일치시키려는 노력(다음에 열거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
프레임워크, 즉 이 표준은 학습평가시스템(기관 또는 국가에 상관 없이 사회 및 문화적 실태를 토대로 수립되었다)에 대한 확신을 갖게 한다. 다음의 활동을 통해서 프레임워크가 수립될 수 있다
  • ‘평가단원(units of assessment)’에 링크한 후 학습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단원을 연계시켜 특정한 요구를 충족시킨다.
모든 학습프로그램 및 자격인증은 여러 단원들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이들 단원은 개인, 고용주, 대학 교육과정 선택주체들의 요구에 따라서 맞춤식으로 개발된다. 단원들은 하나의 프레임워크 내의 학습자/강사/트레이너/동료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이는 이 표준에 명시된 다양한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된다. 학습자들은 아래 예제에서와 같이 각각의 요구에 맞추어 학습성과를 올릴 수 있다.

A.3 프레임워크의 정의

프레임워크의 핵심은 단원표준(unit specification)이며,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 명칭 – 단원명
  • 학습성과 – 학습자가 학습하고 이해하고 실행하기를 기대하는 사항
  • 평가기준 – 학습성과의 평가기준
  • 학점 – 이수/예상 학습 시수
  • 예상 학습 시수 – 특정단계에서 학습자가 학습단위를 이수하기 위해 학습해야 하는 평균 시수
  • 단계 – 복잡성, 학습자의 자율권, 학습성과 범위의 정도
  • 규모 – 학습단위를 이수하기 위해 필요한 예상 학습 시수의 정도
단원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학습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 명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원(unit)과 조항(provision)의 관계는 매우 유연하며 얼마든지 조정이 가능하다. 단원의 성과는 하나의 학습활동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고, 두 가지 이상의 활동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활동으로 여러 단원의 학습성과를 올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지원 디자인(CAD) 소프트웨어 패키지 활용 방법에 대한 학습활동을 통해 CAD의 한 단원의 학습성과를 올릴 수도 있고 CAD, 수학, 커뮤니케이션, 팀 활동의 여러 단원의 학습성과를 올릴 수도 있다. 단원, 에피소드, 성과를 조합하고 배열을 변경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프레임워크는 학습성과와 단원의 조합방법에 관해서 별다른 제한을 가하지는 않지만,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워크 사용자들은(제공업체, 인증기관, 표준수립기관, 학습자료 개발업체) 특정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핵심단원이나 개요를 요약한 단원을 설계함으로써,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학습성과 평가는 특정한 학습모델과는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단원은 ‘모듈(modules of delivery)’로 제공된다. 모듈이란 단원의 학습방법을 말한다. 단원, 모듈, 학습자료의 관계는 매우 다양하다. 단원과 모듈은 1대1 또는 1대다로 링크될 수 있다. 학습성과와 다음의 관계는 다대다가 될 수도 있다.
  • 학습자료
  • 모듈
  • 평가단원
비록 실제적으로 전문학습 또는 동료학습의 활용사례를 개발하고 학습자 니즈를 찾아내는 활동이 기반이 되면서 여러 관계들이 수립되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지만, 학습성과는 다른 것들과 연계되지 않고 단독으로 간주된다(예를 들어, 학습성과는 수상(award) 스키마 또는 전달(delivery) 스키마와 관련이 없다). 중요한 것은 창의적이고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프레임워크의 주요 이점은 단원의 크기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학점 시스템(예상 학습시수를 토대로 한다)을 활용함으로써, 단원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정할 수 있다. 단원이 작은 것은 이수학점도 적고 단원이 큰 것은 이수학점도 많다. 각각의 단원은 단계가 명시될 수 있으므로, 다음의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 학습자의 학습성과
  • 난이도/복잡성/자율권의 정도
  • 이수학점
따라서, 이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개별단원, 복합단원, 인증이수 등을 토대로 학습자에게 학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수내용은 학습자의 개별프로필 또는 성적표에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단원 A (이수학점 2, 1단계) 2학점 1단계 단원 B (이수학점 3, 2단계) 3학점 2단계 단원 C (이수학점 8, 3단계) 8학점 3단계 위와 같이 학습자는 여러 단계로 이수학점을 딸 수 있다.

A.4 프레임워크의 역할

프레임워크:
  • 학습의 단계 및 양을 논리적이고 합의된 방식으로 측정한다.
  • 학습성과를 명확하고 일관성 있게 합쳐서 (평가)단원으로 정리한다.
  • 학습기술의 효과적 사용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일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인증에 필요한 학습을 적절하게 분리하는 모델을 제공한다).
학생:
  • 적절한 매체 및 지원을 활용하여 학습을 실시한다.
  • 학습활동에 대한 인증을 받을 것인지의 여부 또한 받을 것이라면 시기는 언제로 할 것인지를 정한다. 그리고 어떤 상을 받는데 도움이 될 것인지를 파악한다.
  • 인증을 위한 공식적인 평가에 대비한다. – 예를 들면 프리테스트
  • 인증에 필요한 모든 증거자료를 수집한다.
  • 인증신청을 하고 평가 받는다.
(프레임워크를 활용함으로써, 인증기관이 100% 인증을 부여할 수 있고, 학습자들이 인증신청을 하기 전에 성공을 확신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는 다음에 열거된 다양한 교육목적을 달성하는데 활용된다.
  • 평가
  • 학습자료
  • 자금
  • 진전사항
학습성과와 평가단원의 일반적인 포맷은 다음과 같다.
  • 기술기반의 학습을 지원한다.
  • just-in-time 학습인증을 가능하게 한다.
  • 상호운용과 재사용이 가능한 학습자료와 평가결과를 직접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 개인별 학습스타일을 지원한다.
  • 학습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고 중간 인증제를 실시하여 학습자의 동기를 부여한다.
  • 학습성과를 명확하고 일관성 있게 표현한다.
  • 국제표준화 및 호환성을 지원한다.
  • 로컬, 국가적, 국제적 인증축적 및 양도의 기반이 된다.
  • 학습자료 개발업체, 설계자, 제공업체, 구매자를 지원하여 반복되는 것이나 빠진 것을 찾아낸다.
  •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가이드를 명시하고 지원한다.
  • 학습 및 학습성과를 매핑하는 툴을 제공한다.
  • 평가 및 품질 시스템을 지원한다.
  • 인증증명서 및 성과기록부를 작성한다.
  • 주(states)와 기관(institutions)의 커리큘럼 계획수립을 지원한다.
  • 커리큘럼 및 인증 설계를 지원한다.
  • 교육, 훈련, 학습자를 위한 자금마련의 기초가 된다.
  • 학계, 직업교육, 훈련 간에 균형을 유지한다.
  • 보편적인 성과/부가가치 방안으로 활용된다.
  • 개인, 조직, 국가교육 타겟에 대한 세부적인 조치를 수립한다.
이 장은 UK Learning and Skills Development Agency의 개발조언자인 Kevin Donovan과 Tony Tait가 작성한 문서 중 ‘이수학점 프레임워크(credit framework)’ 부분을 토대로 하고 있다.

부속서 B(참고)

B.1 향후 계획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적용범위를 의도적으로 좁게 잡아서 재사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 또는 HR 프로세스, 명명된 표준과 관련이 있건 없건 간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의 범위를 좁게 만든 것이 오히려 최대의 효과를 낸다는 점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나,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자체만으로는 충분치 않기 때문에 상호운용성 표준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결국 분류(taxonomies), 등가성(equivalences) 등과 같은 일관성 있는 방법으로 관계정보(relationship information)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인증(certification), 인정(accreditation) 등의 프로세스도 매우 중요하다. 그 밖의 표준작업도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에 적용이 가능하며 새로운 활용사례가 개발될 것이다. IMS GLC (http://www.imsglobal.org/)의 표준담당 이사는 요구사항, 아이디어, 파일럿/리서치 프로젝트에 관한 의견을 환영한다. 이는 향후 표준의 개정작업 시 적용범위를 정할 때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해설

이 해설은 본체 및 부속서에 규정ㆍ기재한 사항 및 이것에 관련된 사항을 설명하는 것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니다. 1. 제정의 취지 이러닝 서비스 다양화 및 고도화에 따라 이러닝 표준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가 나날이 급증하고 있으며, 나아가 표준화를 지향하고 있는 국내외적 요구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국제 이러닝 표준화 분야에서 선진국간의 치열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산업 및 국가 지식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천적 차원의 표준화 추진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닝 표준화 요소 중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우선 단체표준으로 제안함으로써 산업 경쟁력 및 교육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효율적인 단체표준 개발을 위해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을 인용하였다. 2. 제정의 경위
  • 제1차 개발위원회(2009.1.): 단체표준 개발을 위한 참여 전문가를 위촉하고 규격 제정 취지와 규격의 제정 방향을 설정하였고, 초안 작성 기준을 토의하였다.
  • 제2차 개발위원회(2009.3.): IMS GLC의 이러닝 표준을 기초로 작성한 초안을 통하여 부합화에 적합한 표준 용어를 정의하였다.
  • 제3차 개발위원회(2009.5.): 기초(안)을 작성하여 적용범위, 인용표준, 용어정의 등의 내용을 검토하고, 참여진의 표준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규격에 대한 검수 작업을 실시 하였다.
  • 제4차 개발위원회(2009.6.): 표준 수정(안)을 토대로 IMS Korea 표준화 포럼의 표준 심사위원회를 통하여 표준을 검토하고 의견을 수렴하였다.
a) 규격서의 서식은 KS A 0001 : 2008의 규격서를 기준으로 하여 작성하였다. b) 양식은 기존의 유사 KS규격을 인용하였으며, IMS와 부합화된 최신규격을 적용하였다 3. 심의 중 주요 논의 및 수정사항
  1. 인용 표준의 형식은 KS A 0001의 구성에 맞게 조정하며, 연도는 삭제한다. (2009년 6월)
  2. 표준 규격서의 목차는 적용 범위 인용표준, 용어 정의 순으로 목차를 정렬 하며, 단, 원문에 서론이 있는 경우 서론은 유지한다. (2009년 6월)
  3. NETg, Boein Coporation와 같은 고유한 회사명은 A, B 형태의 가칭으로 대체 표기한다. (2009년 6월)
  4. 그림, 표, 본문 등에 포함된 영어를 최대한 번역하여 국문으로 표기한다. (2009년 10월)
  5. MS GLC의 표준 인용 정책에 의하여 페이지의 'IPR 공지’ 및 'IMS 로고’ 적용은 현행을 유지하며, 규격의 매 페이지마다 포함된 copyright 표기 문구는 삭제한다. (2009년 10월)
  6. 규격에 해설서(제정의 취지 등) 내용을 추가 작성한다. (2009년 10월)
4. 적용 범위 정보 모델 및 XML 바인딩 실행에 대한 비규범적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 표준이 지원하고자 하는 정보를 다루는 기존의 관행을 참조하거나 상호운용성과 지속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개념적 프레임워크 맵(conceptual framework maps)의 실제 활용방법에 대한 예제와 이 표준과 관련 IMS 표준들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 표준 사용자들은 반드시 표준을 활용해야 할 의무는 없으나 가능한 한 이 표준을 따르도록 한다. 5. 표준개발 참여자 이 규격의 초안은 IMS Korea 표준화 포럼 활동으로 작성되었으며, 규격 개발에 참여한 전문가는 다음과 같다.

표준개발 참여자(경칭생략, 무순)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조용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팀장

김종현

계원디자인예술대학

교수

김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정광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황대준

성균관대학교

교수

고영승

(주)디유넷

대리

이정우

(주)포씨소프트

차장

장근원

(주)크레듀

과장

정호원

(주)씨티유니온

차장

지승환

테크빌닷컴(주)

차장

최성기

SK C&C

과장

권영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원

최미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