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 XML 바인딩 |
발행일 | 2009년 00월 00일 |
최신 버전 |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 XML 바인딩 버전 1.0 |
이전 버전 |
Copyright ©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2007. All Rights Reserved.
이 표준을 배포하거나 제품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활용하고자 한다면, IMS Korea 표준화 포럼 사무국(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승인 요청을 하고 이메일을 통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IMS 정식회원 및 기부회원, 개발자 네트워크는 상기의 저작권 공지사항과 이 문장을 사본에 포함시키는 조건 하에 표준을 배포 및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작권 공지사항 또는 IMS 명칭이 표기된 부분을 삭제하는 등, 이 표준을 훼손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단, IMS가 승인한 프로젝트그룹의 감독 하에 IMS 표준을 수정하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상기 부여된 제한된 승인 내용은 영속적이며, IMS 또는 후임기관 그 누구라도 라이센스를 취소할 수 없다. 이 표준은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으며, 특히 불침해에 대한 그 어떤 보증도 하지 않는다. 이 표준의 사용에 대한 책임은 온전히 사용자에 의하며, 그 어떤 컨소시엄이나 제공 주체도 이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제3자가 직간접적으로 입을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Copyright © 2007 by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Inc. All Rights Reserved.
원안작성 협력기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IMS Korea 표준화 포럼) | |||
성 명 | 근 무 처 | 직 위 | |
(위 원 장) | 황대준 |
성균관대학교 |
교수 |
(실무위원) | 김성윤 |
(주)포씨소프트 |
이사 |
김 현 |
(주)씨티유니온 |
차장 | |
유욱종 |
(주)다울소프트 |
부장 | |
조성현 |
테크빌닷컴(주) |
부사장 | |
조용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팀장 | |
차남주 |
(주)디유넷 |
부사장 | |
최성기 |
SK C&C |
과장 | |
(자문위원) | 권희춘 |
수원여대 |
교수 |
김종현 |
계원디자인예술대학 |
교수 | |
김현진 |
한국교원대학교 |
교수 | |
손진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교수 | |
정광식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교수 | |
한태인 |
(주)메디오피아 |
부사장 | |
(간 사) | 신성욱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연구원 |
<title> <langstring xml:lang="en">Title</langstring > <langstring xml:lang="es">Ttulo</langstring > </title>위에서 나열된 ‘title’의 순서는 의미가 없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imsmd_rootv1p2p1.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주: xsi:schemaLocation는 ‘xml.xsd’ 파일을 네임스페이스 ‘http://www.w3.org/XML/1998/namespace’에 연계시킨다. ‘xml.xsd’파일은 http://www.w3.org/2001/xml.xsd에 있는 마스터 참조 사본의 개정판이다. 이 파일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원칙을 피하기 위해, W3C 스키마 문법을 정의하는 문서 유형 정의 참조사항을 제거하였고, Microsoft XML Parser 4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네임스페이스 선언: xmlns=’http://www.w3.org/XML/1998/namespace’를 포함시켰다. xml.xsd 파일이 이 표준의 지원 파일에 포함된다.
예: <title> <langstring xml:lang="en">An Example Definition</langstring> </title>
예: <statementtoken> <source>http://www.imsglobal.org/fictional/tokens1.xml</source> <value>fictional</value> </statementtoken>
<rdceo> <identifier> http://www.imsglobal.org/fictional/rdceo_cat1.xml#definition1 </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Example Minimal Definition</langstring> </title> </rdceo>이 식별자의 배제되지 않고 바인딩되지 않은 유형은 다음의 구성요소를 가진다.
<rdceo> <identifier> http://www.imsglobal.org/fictional/rdceo_cat1.xml#definition%201 </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Example Minimal Definition</langstring> </title> </rdceo>이 식별자의 배제되지 않고 바인딩되지 않은 유형은 다음의 구성요소를 가진다.
<rdceo> <identifier>URN:PublicID:12345678901234567890</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base="en">Testing URN</langstring> </title> </rdceo>URI 참조의 예 – 특정 카탈로그를 식별하는 URN을 특정 카탈로그 엔트리 값과 연결
<rdceo> <identifier>URN:PublicID:12345678901234567890#abcdefgh</identifier> <title> <langstring xml:lang="en">Testing URN</langstring> </title> </rdceo>
예: <title> <langstring xml:lang="en">Example</langstring> <langstring xml:lang="es">Ejemplo</langstring> </title>
예: <statement statementname="core"> <statementtoken> <source>http://www.imsglobal.org/fictional/tokens1.xml</source> <value>fictional</value> </statementtoken> </statement>
예: <metadata> <rdceoschema>IMS RDCEO</rdceoschema> <rdceoschemaversion>1.0</rdceoschemaversion> </metadata>
<metadata> <imsmd:lom> <imsmd general> <imsmd:title> <imsmd:langstring xml:lang="en">Example</imsmd:langstring> </imsmd:title> </imsmd general> </imsmd:lom> </metadata>(접두어 imsmd가 xmlns:imsmd=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에 의해서 이전에 선언되었다.)
<metadata> <lom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general> <title> <langstring xml:lang="en">Example</langstring> </title> </general> </lom> </metadata>
식별자 |
내용 |
적합성 여부 (yes 또는 no) |
1 |
식별자 요소는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바인딩 가이드 1.0버전에 기술된 대로 실행되었다. | |
2 |
정의 요소가 실행되었다. | |
3 |
정의 요소의 명시 요소 내용이 명시된 모델의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 |
4 |
메타데이터 요소가 활용되었다. |
<title> <langstring xml:lang="en">Title</langstring > <langstring xml:lang="es">Ttulo</langstring > </title>위에서 나열된 ‘title’의 순서는 의미가 없다. 유효한 글자세트 및 인코딩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 인스턴스는 ISO 10646의 RFC 2044 (문자암호화)에 정의된 UTF-8 암호방식을 사용한다. 그 밖의 암호방식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상호운용성에 제한이 가해질 수 있다. 숫자 개체(numeric entity)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W3C 스키마 언어 관리 문서(control document)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은 W3C 스키마 언어(예: XSD 파일)를 사용하는 관리문서와 함께 공개된다(단, 문서 유형 정의와는 함께 공개되지 않는다). 이는 XML 표준의 발전 과정과 W3C 스키마 언어의 보편적인 채택 관행을 반영하는 것이다. W3C 스키마 언어는 매우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고 정확하다. 이 바인딩과 함께 공개되는 W3C 스키마 언어 관리문서는 다음의 원칙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모든 요소들은 글로벌적으로 선언되고 그들의 명칭은 네임스페이스에서 고유하게 정해진다. 그 밖의 다른 네임스페이스들은 구체적으로 참조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현재 개발 중인 다른 표준들과 ‘연계(tie-in)’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2.1.1 인간언어 문자열, <langstring>을 참조한다. W3C 스키마 언어 관리문서는 네임스페이스 http://www.w3.org/2001/XMLSchema를 준수하고 있는지 또한 다음에 열거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xml 인스턴스 확인에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가 테스트되어 왔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rdceo xmlns="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xsi:schemaLocation="http://www.imsglobal.org/xsd/imsrdceo_rootv1p0 imsrdceo_rootv1p0.xsd http://www.imsglobal.org/xsd/imsmd_rootv1p2p1 imsmd_rootv1p2p1.xsd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xml.xsd"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주: xsi:schemaLocation는 ‘xml.xsd’ 파일을 네임스페이스 ‘http://www.w3.org/XML/1998/namespace’에 연계시킨다. ‘xml.xsd’파일은 http://www.w3.org/2001/xml.xsd에 있는 마스터 참조 사본의 개정판이다. 이 파일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원칙을 피하기 위해, W3C 스키마 문법을 정의하는 문서 유형 정의 참조사항을 제거하였고, Microsoft XML Parser 4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네임스페이스 선언: xmlns=’http://www.w3.org/XML/1998/namespace’를 포함시켰다. xml.xsd 파일이 이 표준의 지원 파일에 포함된다. 5. 표준개발 참여자 이 규격의 초안은 IMS Korea 표준화 포럼 활동으로 작성되었으며, 규격 개발에 참여한 전문가는 다음과 같다.
표준개발 참여자(경칭생략, 무순)
성 명 |
근 무 처 |
직 위 |
조용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팀장 |
김종현 |
계원디자인예술대학 |
교수 |
김현진 |
한국교원대학교 |
교수 |
정광식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교수 |
황대준 |
성균관대학교 |
교수 |
고영승 |
(주)디유넷 |
대리 |
이정우 |
(주)포씨소프트 |
차장 |
장근원 |
(주)크레듀 |
과장 |
정호원 |
(주)씨티유니온 |
차장 |
지승환 |
테크빌닷컴(주) |
차장 |
최성기 |
SK C&C |
과장 |
권영진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연구원 |
최미애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