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취기준 링크드 데이터 프로파일 - 프레임워크 |
발행일 | 2014년 |
최신버전 |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프로파일 – 프레임워크 버전 1.0 |
이전버전 |
IPR 및 유포에 관한 공지사항
이 표준을 활용하는 이는 표준을 적용하면서 인지하게 된 관련 특허 또는 지적재산권의 침해 가능성 사실을 코멘트와 함께 문서의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
IMS Korea는 이 문서에 명시된 기술의 적용 또는 활용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또는 기타 권리의 적용범위와 유효성에 대한 입장, 또는 그러한 권리와 관련하여 어느 정도까지 허용될 것인지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권리를 파악하는 노력을 기울였다는 사실 또한 명시하지 않는다.
Copyright © IMS Korea 표준화 포럼 2014. All Rights Reserved.
이 표준을 배포하거나 제품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활용하고자 한다면, IMS Korea 표준화 포럼 사무국(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승인 요청을 하고 이메일을 통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IMS 정식회원 및 웹회원은 상기의 저작권 공지사항과 이 문장을 사본에 포함시키는 조건 하에 이 표준을 배포 및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작권 공지사항 또는 IMS Korea 명칭이 표기된 부분을 삭제하는 등, 이 표준을 훼손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단, IMS Korea가 승인한 프로젝트그룹의 감독 하에 IMS Korea 표준을 수정하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상기 부여된 제한된 승인 내용은 영속적이며, IMS Korea 또는 후임기관 그 누구라도 라이센스를 취소할 수 없다.
이 표준은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으며, 특히 불침해에 대한 그 어떤 보증도 하지 않는다. 이 표준의 사용에 대한 책임은 온전히 사용자에 의하며, 그 어떤 컨소시엄이나 제공 주체도 이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제3자가 직간접적으로 입을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
Copyright © 2014 by IMS Korea 표준화 포럼
All Rights Reserved.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프로파일 - 프레임워크
Linked Data Profile for Achievement - Framework
Achievement Standards Network(ASN) Framework를 기반으로 한 이 표준의 주요 목적은 문서로 발행된 교육 분야의 성취 기준을 기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정의와 속성을 명시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요소를 식별하고 해당 속성을 명시하는데 필요한 규칙을 포함한다.
KS X 7004의 프레임워크인 이 표준은 교육 분야의 성취 기준을 링크드데이터로 표현 및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부속서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접근 방법, 즉 방법론과 클래스, 클래스 간의 관계 등을 정의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교육 분야의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이 표준의 기반이 된 ASN Framework와 마찬가지로 우선 초중등 교육분야에 적용할 것을 권장한다.
아래 목록은 이 표준에서 참조한 표준 및 자료이다. 연도가 표시되었을 경우 해당 인용판만 적용되며, 연도가 표시되지 않았을 경우 참고 자료의 가장 최신판이 적용된다.
ISO/IEC 19505-1:2012, Information technology – Object Management Group Unified Modeling Language (OMG UML) - Part 1: Infrastructure
Achievement Standards Network (ASN) Framework (http://www.achievementstandards.org)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http://www.w3.org/RDF)
이 문서에는 아래의 용어와 정의가 적용된다.
유일 자원 식별자(URI)로 식별되고, 각 유일 자원 식별자에 링크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데이터
교수·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실질적인 근거로서 각 교과목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통해 성취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 능력을 기술한 문서
학생들이 교과목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몇 개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 수준별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을 설명한 것
비고 1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은 ‘상-중-하’로 구분된다.
비고 2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은 ‘A-B-C-D-E’ 등으로 구분된다.
개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
비고 1 한 개의 식별자는 문자적으로 중립적이고, 번역이 되지 않는다.
비고 2 ‘’한 개의 식별자는 구성식별자들의 성향을 나타탤 수 있다. 즉, 고유식별자, 두 개 이상의 식별자들 및 데이터 요소들과 내부적으로 작용하는 것들이 규칙에 기반하고 함게 이루어져 “단일”식별자로 활용된다.
[ISO/IEC 11179-3:2003, 3.2.17]
RFC 3986에서 제공되는 구문법칙에 기반한 식별자의 표현
[ISO/IEC 19788-1:2011, 3.36]
한 개 이상의 커뮤니티의 특정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구조화된 명세서들의 모음
[ISO/IEC 19788-1:2011, 3.1]
교과별 성취기준 주에서 핵심 성취기준(3.7)으로 선정되지 않은 성취기준
교과별 성취기준 중에서 중요하고 핵심(필수)적인 것으로 선정된 성취기준
교육 분야의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프로파일은 학교, 기관, 기업 등 교육 관련 조직이 교과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정보를 기계적 (RDF/OWL)으로 이해할 할 수 있도록 정보모델 정의와 이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관련 기술들을 안내한 프레임워크이다.
성취기준이란 교수·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실질적인 근거로서 각 교과목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통해 성취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 능력을 기술한 것이다.
[그림 4.1] 성취기준의 의미(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3)
그림 4.1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의 특징과 방향에 맞게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 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준거로서 활용해야 한다. 즉, 성취기준은 교사가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지, 학생이 무엇을 공부하고 성취해야 하는지에 관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교수·학습의 방향을 설정한다.
핵심 성취기준은 교과별 성취기준 중에서 보다 중요하고 핵심(필수)적인 것으로 선정된 성취기준을 말한다. 각 교과목에서 교수·학습활동을 통해서 성취해야 할 지식과 기능, 태도의 능력과 특성들을 보다 합리적으로 구조화함으로써 교사의 교수활동과 학생의 학습활동에 일종의 “선택과 집중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핵심 성취기준이 아닌 일반 성취기준을 달성하는데 기초가 되는 성취기준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취수준은 학생들이 교과목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취기준에의 도달 정도를 몇 개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 수준별 학생들의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성취수준은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상, 중, 하)과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A-B-C-D-E 등)으로 구분된다.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상, 중, 하)은 수행평가의 채점 기준 및 평가 문항 제작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학기단위의 성취수준(A-B-C-D-E 등)기술은 단위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학습한 학생들이 도달한 정도의 특성을 진술한 것으로 단위학교의 수준 특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한 학기 동안 수학 1~5단원의 내용을 학습한 이후 A 수준의 학생들이 보여줄 전형적인 특성들을 진술한 것으로, 단위 학교의 최종 평정 결과 수학에서 A를 받은 학생의 능력 특성을 포괄적으로 보여준다.
성취기준은 교수·학습계획, 교수·학습활동 및 평가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전반에 핵심적인 기준 정보로 활용된다. 문서 형식으로 표현된 성취기준은 사람을 위한 자료 형식이므로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의 변환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ERD(Entity Relation Diagram) 설계를 통한 데이터베이스화를 고려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단순히 자료의 저장과 검색을 지원하는 수준에 그칠 수 있다. 따라서 RDF/OWL 기반의 링크드데이터로 구현하여 다양한 유형의 학습정보 및 자원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연결망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데이터 연결망은 성취기준 기반의 지능형 교수·학습 서비스를 구현하는데도 바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ASN Framework와 같은 외국의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와의 연결을 통해 성취기준의 비교, 검토, 개선, 연계 등 고도화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프로파일은 아래와 같이 몇가지 특징적인 개념모델을 전제로 구성된다.
성취기준 데이터는 교육과정의 주제 단위별로 성취 기준이 대응되는 구조이며, 성취기준 중에서 핵심 성취기준은 별도로 구분해서 선정 근거와 함께 해설된 문서로 제공된다. 다음은 중학교 과학 교과와 사회 교과의 성취기준 정의 형식을 예시로 추출한 것이다.
예시1. (교과) 중학교 과학과 성취기준
<표 5.1> (단원) 과학이란?
교육과정 내용 | 성취기준 | 핵심성취기준 | 핵심 성취기준 선정 근거 |
과9011. 관심과 흥미 있는 사례를 통하여 과학의 유용성을 이해한다. | 과9011. 자신의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례를 통하여 과학의 유용성을 설명할 수 있다. | √ |
|
과9012. 과학이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안다.[탐구 활동]과학 관련 직업 조사하기[탐구 활동] 과학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조사하기 | 과9012-1. 자신이 흥미를 가지는 과학 관련 직업을 조사하고, 과학 관련 직업이 다양하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 ||
과9012-2. 과학이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
예시2. (교과) 중학교 사회과 성취기준
<표 5.2> (교육과정영역) 중학교 지리 영역
중학교 [지리 영역] 성취기준 |
우리나라와 세계에 대한 자연 및 인문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나를 포함한 사람의 생활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이해한다. 또한 다양한 기후와 지형적 환경에 따라 지리적 관점에서 인구, 도시, 문화, 경제의 공통성과 다양성이 나타남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얻어지는 종합적인 지리적 개념과 원리를 국토와 세계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
(1) 내가 사는 세계(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 성취기준 | 핵심성취기준 | 핵심 성취기준 선정 근거 |
사91011 위치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예, 경위도 좌표, 랜드마크 활용 등)이 있음을 알고, 다양한 공간 스케일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 사91011 위치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예, 경위도 좌표, 랜드마크 활용 등)의 특징을 알고, 이를 다양한 공간 스케일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 √ |
|
사91012 경위도의 차이가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 사91012 경도와 위도의 차이가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 ||
사91013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지리정보기술이 활용되고 있음을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 사91013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지리정보기술이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 √ |
성취기준 데이터 예제들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의 대표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성취기준 데이터를 기계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코드 체계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코딩 원칙을 적용한다. 코드설계를 위해 참조한 교과 및 학년은 초·중등 교육과정이다.
(1) 『교과명-학년군-대영역-중영역-소영역 』으로 구성된 다섯 자리 코딩 체계를 적용한다.
교과명의 코딩은 교과명의 첫글자로 하며, 학년군의 코딩은 <표 5.3>과 같이 해당 학년군의 최종 학년으로 표시하였다.<표 5.3> 학년군 코딩
![]() |
(2) 성취기준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교육과정 내용을 세분할 경우에는 다섯 자리 코드 뒤에 -1, -2 등을 덧붙인다.
예)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을 세분하여 재구성한 경우의 코딩
|
(3) 성취기준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교육과정 내용을 통합한 경우 ‘/’를 사용하여 해당 교육과정에 대한 코드를 모두 쓴다.
예) 체육과에서 교육과정 내용을 통합하여 성취기준을 재구성한 경우의 코딩
|
초ㆍ중등학교 교과의 성취기준 코딩 부여 방식은 이상 세 가지 지침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교과의 특성상 위의 지침을 따르기 어려운 경우 교과에서 코딩 부여 방식을 별도로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성취기준 데이터는 『학교군(급)별-영역별-학습내용별』 기준으로 구성된 계층적 데이터 구조이다. 아래 그림은 성취기준 데이터의 계층적 구조를 논리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림 5.1] 교과목별 성취기준의 계층구조
[그림 5.2] 과학과 교과목의 성취기준 계층구조 예시
링크드데이터는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개별 유일 자원 식별자(URI)로 식별하고, 각 유일 자원 식별자에 링크 정보를 부여함으로서 상호 연결된 웹을 지향하는 모형이다. 링크 기능이 강조된 시맨틱 웹의 모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링크드데이터는 기존 웹 처럼 단순한 문서 간의 연결이 아니라 문서를 구성하는 개념(주제, 사람, 장소, 시간 등)간 연결을 통해서 동일한 객체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고, 문서 내 포함되지 않은 외부 데이터와도 의미적인 연결을 통해서 보다 풍부한 정보탐색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림 6.1] 링크드데이터 개념도(출처:링크드데이터 구축 공정가이드 v1.0)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의 핵심 엔티티는 『교육과정 』, 『 성취기준』, 『성취수준』 등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아래 목록은 각 엔티티를 초중등 교육분야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 성취기준을 예로 활용해서 설명한 것이다.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같이 공표된 교육과정과 성취기준을 표현할 수도 있고, 이를 기반으로 제3의 기관에서 성취기준을 세부적으로 확장할 수도 있는 구조를 지원한다.
[그림 6.2]에 표현한 개념적 계층구조 모형에서 볼 수 있듯이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성취기준은 문서로 표현되며, 문서 내에는 세부 성취기준들이 계층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공표된 각 세부 성취기준을 참고해서 교과서 출판사나 서비스 기관이 파생된(derived) 주제와 성취기준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개인화되고 개별적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림 6.2]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계층구조 개념도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7가지 클래스로 구성되며, [그림 7.1]은 클래스들 간의 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그림 7.1]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클래스 다이어그램
비고 1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프로파일의 클래스를 정의하는 규범표는 정보제공용 UML 다이어그램 형식을 따른 것이다.
성취기준 클래스를 표현하기 위해서 <표 7.1>과 같은 탬플릿을 사용한다. 각 클래스를 설명하는 표에서 문자 시퀀스 ‘n/a’는 ‘not applicable(해당사항 없음)’를 의미하며, 이렇게 표시된 필드는 정의된 클래스와 관련이 없음을 나타낸다. 또한 ‚n/a‘로 표시된 속성은 클래스를 바인딩할 때 무시된다.
<표 7.1> 성취기준 클래스 기술을 위한 태플릿
구분 | 내용 |
클래스명 | 기술되는 클래스에 주어진 이름 |
클래스 라벨 | 클래스의 라벨(정식명칭) |
클래스 유형 | 이 클래스의 추상 클래스 유형 |
클래스 URI |
|
자식클래스 |
|
설명 | 클래스 정의 및 인스턴스에 대해 설명한다. |
구분 | 내용 |
클래스명 | EduOrganization |
클래스 라벨 | Educational Organization |
클래스 유형 | n/a |
클래스 URI | http://kr.kasn.org/KASN/schema/EduOrganization |
자식클래스 | n/a |
설명 |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교육기관을 가리킨다. 교육부, 시도교육청, 교육과정평가원 등이 될 수 있다. 현재는 국가기관으로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생성될 수 있으나 향후 준정부조직 또는 사설기관으로 확대되는 경우 해당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들을 정의하여야 한다. |
구분 | 내용 |
클래스명 | EduSubject |
클래스 라벨 | Education Subject |
클래스 유형 | n/a |
클래스 URI | http://kr.kasn.org/KASN/schema/EduSubject |
자식클래스 | n/a |
설명 | 성취기준을 정의하는 교과목을 가리키는 것으로 학교급(초·중·고등학교)별 개설 교과목을 인스턴스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국어과, 중학교 과학과, 고등학교 수학과 등이 인스턴스로 정의될 수 있다. |
구분 | 내용 |
클래스명 | StandardDocument |
클래스 라벨 |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 |
클래스 유형 | n/a |
클래스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tandardDocument |
자식클래스 | n/a |
설명 | 해당 교과목별로 정의된 성취기준 문서를 가리킨다. 각 교과목별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및 평가방법 등을 기술한 문서 자체를 명세하기 위한 클래스로서 문서의 메타데이터 및 실제 문서로의 링크를 속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
구분 | 내용 |
클래스명 | Statement |
클래스 라벨 | Achievement Statement |
클래스 유형 | n/a |
클래스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tatement |
자식클래스 | n/a |
설명 | 성취기준 문서내에 정의된 개별 성취기준을 정의하는 클래스이다. 성취기준은 교과과정 내용 성취기준과 상세 성취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로 내려갈수록 보다 더 상세하고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정의하게 되므로 해당 클래스는 성취기준 계층구조를 정의하기 위해 자기 자신으로의 포함관계를 가지고 있다. |
구분 | 내용 |
클래스명 | AchievementLevel |
클래스 라벨 | Achievement Level |
클래스 유형 | n/a |
클래스 URI | http://kr.kasn.org/KASN/schema/AchievementLevel |
자식클래스 | n/a |
설명 |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을 정의하는 클래스이다. 성취수준은 “상·중·하” 세가지 유형으로 정의된다. 확장성을 고려하여 상중하를 클래스의 속성으로 정의하는 대신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생성한다. 즉 하나의 성취기준은 최대 세개(상, 중, 하)의 성취기준 인스턴스와 관계를 설정하게 된다. |
구분 | 내용 |
클래스명 | LearningResource |
클래스 라벨 | Learning Resource |
클래스 유형 | n/a |
클래스 URI | http://kr.kasn.org/KASN/schema/LearningResource |
자식클래스 | n/a |
설명 | 성취기준과 연관되는 학습자원을 정의하는 클래스이다. 학습자원은 교수·학습에 활용되는 자원을 가리키며 교과서, 이미지, 웹페이지 등 다양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자원들이 될 수 있다. 향후 학습자원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유형별 상세 클래스를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있다. |
구분 | 내용 |
클래스명 | Syllabus |
클래스 라벨 | Syllabus |
클래스 유형 | n/a |
클래스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yllabus |
자식클래스 | n/a |
설명 | 교과내용 및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계획안을 정의하는 클래스이다. 클래스의 속성은 수업계획안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것으로 교과명, 단원명, 작성자, 작성일자, 학습목표 등을 가지며 실제 수업계획서 문서에 대한 링크를 가진다. |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의 클래스는 아래 [그림 8.1]과 같은 속성을 포함한 클래스들 간의 관계 표현될 수 있다.
[그림 8.1]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클래스들의 datatype 속성 정의
성취기준 클래스의 각 속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표 8.1>과 같은 탬플릿을 사용한다.
<표 8.1> 성취기준 클래스의 속성 기술을 위한 탬플릿
구분 | 내용 |
속성명 | 기술되는 속성에 주어진 이름 |
속성 라벨 | 속성의 라벨(정식명칭) |
클래스 | 이 속성을 요소로 정의하는 클래스 |
속성 URI |
|
상위속성 | 속성의 상위 타입을 가리킨다. |
도메인 | 속성이 정의되는 도메인(domain)을 정의한다. |
범위 | 속성값의 범위(range)를 정의한다. |
설명 | 속성에 대해 설명한다. |
EduOrganization 클래스는 다음 목록과 같은 속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속성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절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구분 | 내용 |
속성명 | eduOrgID |
속성 라벨 | Education Organization Identifier |
클래스 | EduOrganization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eduOrgID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identifier |
도메인 | EduOrganization |
범위 | string |
설명 | 교육기관의 식별자를 기술한다. 이 식별자는 교육기관 인스턴스의 URI 생성에 사용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eduOrgName |
속성 라벨 | Name of Education Organization |
클래스 | EduOrganization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eduOrgNam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koname |
도메인 | EduOrganization |
범위 | string |
설명 | 교육기관의 한글 명칭을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eduOrgEnName |
속성 라벨 | English Name of Education Organization |
클래스 | EduOrganization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eduOrgEnNam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enname |
도메인 | EduOrganization |
범위 | string |
설명 | 교육기관의 영문 명칭을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roleOfAchieve |
속성 라벨 | Role of Education Organization |
클래스 | EduOrganization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roleOfAchiev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EduOrganization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작성, 배포, 관리 등에 있어서 교육기관의 구체적인 역할을 기술한다. 역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문으로 작성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ntact |
속성 라벨 | Contact of Education Organization |
클래스 | EduOrganization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ntac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EduOrganization |
범위 | string |
설명 | 교육기관의 성취기준과 관련된 연락처를 기술한다. 연락처의 유형은 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등이 될 수 있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mment |
속성 라벨 | Description about Education Organization |
클래스 | EduOrganization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mm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escription |
도메인 | EduOrganization |
범위 | string |
설명 | 교육기관의 성취기준과 관련된 추가적인 상세 설명을 기술한다. |
EduSubject 클래스는 다음 목록과 같은 속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속성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절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구분 | 내용 |
속성명 | eduSubID |
속성 라벨 | Education Subject Identifier |
클래스 | EduSubjec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eduSubID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identifier |
도메인 | EduSubject |
범위 | string |
설명 | 교과목의 유일한 식별자를 기술한다. 이 식별자는 교과목 인스턴스의 URI 작성에 식별자로 사용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eduSubName |
속성 라벨 | Name of Education Subject |
클래스 | EduSubjec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eduSubNam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koname |
도메인 | EduSubject |
범위 | string |
설명 | 교과목 한글명칭을 기술한다. ‘초등 국어과’, ‘중등 과학과’ 식으로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eduSubEnName |
속성 라벨 | English Name of Education Subject |
클래스 | EduSubjec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eduSubEnNam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enname |
도메인 | EduSubject |
범위 | string |
설명 | 교과목 영어명칭을 기술한다. ‘Elementary-Korean Languge’, ‘Middle-Science’ 식으로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schoolGrade |
속성 라벨 | School Grade |
클래스 | EduSubjec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choolGrad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EduSubject |
범위 | [“초등”,”중등”,”고등”] |
설명 | 교과목이 개설되는 학교급을 기술한다. 학교급은 초등, 중등, 고등을 가리킨다. 현재 정규 교육과목 측면에서는 초등, 중등, 고등의 세가지 값 중에서 선택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description |
속성 라벨 | Description |
클래스 | EduSubjec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description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EduSubject |
범위 | string |
설명 | 교과목의 학습개요 중심으로 상세 내용을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mment |
속성 라벨 | Comment |
클래스 | EduSubjec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mm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escription |
도메인 | EduSubject |
범위 | string |
설명 | 교과목에 대하여 추가적 사항들을 자유롭게 기술한다. |
StandardDocument 클래스는 다음 목록과 같은 속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속성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절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구분 | 내용 |
속성명 | standardID |
속성 라벨 |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 Identifier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tandardID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identifier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문서의 식별자를 기술한다. 이 식별자는 성취기준 문서 인스턴스의 URI 작성에 인스턴스 식별자로 사용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standardTitle |
속성 라벨 |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 Title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tandardTitl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title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문서의 제목을 기술한다. 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중학교-과학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urriculumTitle |
속성 라벨 | Curriculum Title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urriculumTitl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title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이 제정된 교육과정의 명칭을 기술한다. 예) 2007 개정교육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등 |
구분 | 내용 |
속성명 | publicationStatus |
속성 라벨 | Publication Status of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publicationStatus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문서의 현재 상태를 가리킨다. 상태의 유형은 “초안”, “발간”, “중지” 등이 있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jurisdiction |
속성 라벨 | Jurisdiction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jurisdiction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문서 상에 기술되어 있는 행정기관의 명칭을 기술한다. 예) 교육부, 서울시교육청 등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reatedDate |
속성 라벨 | Created Date of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reatedDat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ate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date |
설명 | 성취기준 문서 상에 기술된 일자를 기술한다. 일자는 작성 완료 또는 배포일자를 가리킨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linkedDate |
속성 라벨 | Linked Date of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linkedDat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ate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date |
설명 | 성취기준 문서 링크드데이터의 작성 및 저장소 등록일자를 가리킨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docLink |
속성 라벨 |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 URI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docLink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URI |
설명 | 성취기준 문서 파일과의 링크를 기술한다. 즉 해당 문서 파일의 URI를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mment |
속성 라벨 | Comment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mm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escription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문서에 대하여 추가적 사항들을 자유롭게 기술한다. |
Statement 클래스는 다음 목록과 같은 속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속성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절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구분 | 내용 |
속성명 | statementID |
속성 라벨 |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 Identifier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tatementID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identifier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식별자를 기술한다. 이 식별자는 성취기준 인스턴스의 URI 작성에 인스턴스 식별자로 사용된다. 성취기준 문서 내에 각 성취기준 을 식별하는 코드(예. 과9011)가 정의되어 있으나 한글 사용 및 중복코드 문제로 인해 URI 식별자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statementNotation |
속성 라벨 |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 Notation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tatementNotation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문서에 정의된 각 성취기준 코드를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authorityStatus |
속성 라벨 | Authority Status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authorityStatus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핵심”, “일반”] |
설명 | 핵심 성취기준 또는 일반 성취기준을 구분하여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nceptKeyword |
속성 라벨 | Concept Keywords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nceptKeyword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에 포함되어 있는 핵심 개념어들을 기술한다. 개념어의 개수만큼 해당 속성을 나열하여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hapterTitle |
속성 라벨 | Title of Chapter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hapterTitl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이 정의되어 있는 단원명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01.과학이란?’ 또는 ‘02.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등과 같이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statement |
속성 라벨 |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tatem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 내용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관심과 흥미 있는 사례를 통하여 과학의 유용성을 이해한다.’ 와 같이 기술한다. 이때 성취기준 코드는 statementNotation 속성에 기술하기 때문에 해당 속성 값에서는 생략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bloomTaxonomy |
속성 라벨 | Bloom’s Taxonomy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bloomTaxonomy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지식’,’적용’,’문제해결’] |
설명 | 성취기준과 관련된 Bloom 목표분류 항목을 기술한다. 지식, 적용, 문제해결의 세가지 항목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localSequence |
속성 라벨 | Local Sequence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localSequenc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의 순번을 기술한다. 성취기준이 세분화되는 경우 하나의 상위 성취기준에 대해 하나 이상의 하위 성취기준들이 정의되는데 이때 하위 성취기준들 사이의 학습 성취 순서가 중요하다. 성취기준 코드에 -1, -2, -3과 같이 순번이 포함되어 있으나 보다 명확한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해당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순번을 정의하는 값의 유형은 1, 2, 3 또는 a, b, 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mment |
속성 라벨 | Comment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mm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escription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기준에 대하여 추가적 사항들을 자유롭게 기술한다. |
Achievement 클래스는 다음 목록과 같은 속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속성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절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구분 | 내용 |
속성명 | achiLevelID |
속성 라벨 | Achievement Level Identifier |
클래스 | AchievementLevel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achiLevelID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identifier |
도메인 | AchievementLevel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수준 식별자를 기술한다. 이 식별자는 성취수준 인스턴스의 URI 작성에 인스턴스 식별자로 사용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statementURI |
속성 라벨 | Statement URI |
클래스 | AchievementLevel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tatementURI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AchievementLevel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수준의 기준이 되는 성취기준에 대한 URI 주소를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achiLevelLabel |
속성 라벨 | Achievement Label |
클래스 | AchievementLevel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achiLevelLabel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AchievementLevel |
범위 | [‘상’,’중’,’하’] |
설명 | 성취수준의 라벨을 기술한다. 상, 중, 하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achiLevelContent |
속성 라벨 | Achievement Level Content |
클래스 | AchievementLevel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achiLevelCont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AchievementLevel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수준의 내용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지시약을 넣었을 때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용액을 산과 염기로 분류할 수 있다.’와 같이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mment |
속성 라벨 | Comment |
클래스 | AchievementLevel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mm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escription |
도메인 | AchievementLevel |
범위 | string |
설명 | 성취수준에 대하여 추가적 사항들을 자유롭게 기술한다. |
LearningResource 클래스는 다음 목록과 같은 속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속성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절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구분 | 내용 |
속성명 | learningRscID |
속성 라벨 | Learning Resource Identifier |
클래스 | LearningResource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learningRscID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identifier |
도메인 | LearningResource |
범위 | string |
설명 | 학습자원 식별자를 기술한다. 이 식별자는 학습자원 인스턴스의 URI 작성에 인스턴스 식별자로 사용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learningRscFormat |
속성 라벨 | Learning Resource Format |
클래스 | LearningResource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learningRscForma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LearningResource |
범위 | string |
설명 | 학습자원 유형을 가리킨다. 유형에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웹페이지 등이 있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learningRscTitle |
속성 라벨 | Learning Resource Title |
클래스 | LearningResource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learningRscTitl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LearningResource |
범위 | string |
설명 | 학습자원 제목을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resourceURI |
속성 라벨 | Learning Resource URI |
클래스 | LearningResource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resourceURI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LearningResource |
범위 | string |
설명 | 온라인 학습자원인 경우 실제 학습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URI를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learningRscSubject |
속성 라벨 | Learning Resource Subject |
클래스 | LearningResource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learningRscSubjec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LearningResource |
범위 | string |
설명 | 학습자원의 교과 영역을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mment |
속성 라벨 | Comment |
클래스 | LearningResource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mm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escription |
도메인 | LearningResource |
범위 | string |
설명 | 학습자원에 대하여 추가적 사항들을 자유롭게 기술한다. |
Syllabus 클래스는 다음 목록과 같은 속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속성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절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구분 | 내용 |
속성명 | syllabusID |
속성 라벨 | Syllabus Identifier |
클래스 | Syllabus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yllabusID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identifier |
도메인 | Syllabus |
범위 | string |
설명 | 수업계획안 식별자를 기술한다. 이 식별자는 수업계획안 인스턴스의 URI 작성에 있어서 인스턴스 식별자로 사용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urseName |
속성 라벨 | Course Name |
클래스 | Syllabus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urseNam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yllabus |
범위 | string |
설명 | 수업계획안의 해당 교과목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 과학, 중학교 2학년 사회 등으로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schoolGrade |
속성 라벨 | School Grade |
클래스 | Syllabus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choolGrad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yllabus |
범위 | [‘초등’,’중등’,’고등’] |
설명 | 수업계획안의 학교급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초등 또는 중등 등을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schoolYear |
속성 라벨 | School Year |
클래스 | Syllabus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choolYear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yllabus |
범위 | string |
설명 | 수업계획안의 학년을 기술한다. 이때 학교급은 생략하고 학년 숫자만 기술한다. 예를 들어, 중등1 대신에 1로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instructor |
속성 라벨 | Course Instructor |
클래스 | Syllabus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instructor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yllabus |
범위 | string |
설명 | 수업계획안을 작성한 교사의 이름을 기술한다. 향후 온톨로지의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이 부분은 해당 교사의 URI를 기술함으로써 데이터를 추가 확장할 수 있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learningObjective |
속성 라벨 | Learning Objectives |
클래스 | Syllabus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learningObjective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yllabus |
범위 | string |
설명 | 수업계획안의 학습목표를 기술한다. 학습목표가 여러 건인 경우 해당 속성을 연속하여 기술할 수 있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syllabusURI |
속성 라벨 | Syllabus URI |
클래스 | Syllabus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syllabusURI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 |
도메인 | Syllabus |
범위 | string |
설명 | 온라인 문서 또는 이미지 형태로 존재하는 수업계획안에 접근할 수 있도록 수업계획안의 URI를 기술한다. |
구분 | 내용 |
속성명 | comment |
속성 라벨 | Comment |
클래스 | Syllabus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comment |
상위속성 |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Propertyhttp://kr.kasn.org/KASN/schema/description |
도메인 | Syllabus |
범위 | string |
설명 | 수업계획안에 대하여 추가적 사항들을 자유롭게 기술한다. |
이 장에서는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클래스들 간 의미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표 9.1>은 관계(Object Property) 명세를 위해 사용된 탬플릿이다.
<표 9.1> 성취기준 클래스 관계 기술을 위한 탬플릿
구분 | 내용 |
관계명 | 기술되는 속성에 주어진 이름 |
관계 라벨 | 속성의 라벨(정식명칭) |
클래스 | 이 속성을 관계 요소(object property)로 정의하는 클래스 |
속성 URI |
|
상위속성 | 관계의 상위 타입을 가리킨다. |
도메인 | 관계가 정의되는 도메인(domain)을 정의한다. |
범위 | 관계의 범위(range)를 정의한다. |
다중성 | 클래스의 속성으로, 특정 부모 컨텍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횟수 또는 특정 부모 컨텍스트에서 나타나는 횟수를 표시한다. 이 속성의 값은 범위로 표시되거나 다음 약식 표기법을 사용한 범위로 표현된다.‘0..1’ [옵션; 무제한]‘0..무제한’ [옵션; 무제한]‘1..1’ [필수; 제한]‘1..무제한’ [필수; 무제한]다중성은 UML 모델의 약식 표기법에도 나타날 수 있다. 약식 표기는 다음과 같다([ ] 안의 코멘트는 제외).‘*’ [옵션; 무제한]‘1’ [필수; 제한]‘1..*’ [필수; 무제한]다중성이 1 이상일 때, 나열되는 순서의 중요성을 ‘순차적(ordered)’ 또는 ‘비순차적(unordered)’으로 표시한다.‘순차적’은 나열된 시퀀스를 상술하며, ‘비순차적’은 나열된 항목들의 집합을 상술한다.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
역관계 | 역관계를 정의한다. |
설명 | 속성에 대해 설명한다. |
구분 | 내용 |
관계명 | createStandard |
관계 라벨 | Create a Standard Document |
클래스 | EduOrganization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hasStandard |
상위속성 | n/a |
도메인 | EduOrganization |
범위 | StandardDocument |
다중성 | 1..* |
역관계 | part of, isCreatedby |
설명 | 교육기관에서 성취기준 문서를 생성하였음을 정의한다. |
구분 | 내용 |
관계명 | isStandardsOfSubject |
관계 라벨 | Is a Standards of a Subject |
클래스 | EduSubjec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hasEducationalSubject |
상위속성 | n/a |
도메인 | EduSubject |
범위 | StandardDocument |
다중성 | 1..1 |
역관계 | hasStandardDocument |
설명 | 교과목과 성취기준문서 사이의 관계로서 교과목이 성취기준문서를 가지는 관계를 정의한다. 그 역관계는 성취기준문서가 어떤 교과목의 성취기준을 정의한 것으로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구분 | 내용 |
관계명 | hasStatement |
관계 라벨 | A standard document has statements |
클래스 | StandardDocu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hasStatement |
상위속성 | n/a |
도메인 | StandardDocument |
범위 | Statement |
다중성 | 1..* |
역관계 | part of, isStatementOf |
설명 | 성취기준문서와 그 문서내에 정의된 단원별 교과내용 성취기준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
구분 | 내용 |
관계명 | hasSubStatement |
관계 라벨 | A statement has the detailed sub statements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hasSubStatement |
상위속성 | n/a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Statement |
다중성 | 1..* |
역관계 | part of, isSubStatementOf |
설명 | 하나의 성취기준은 그 하위 계층 구조에 보다 상세하게 세분화된 다수의 성취기준들을 가질 수 있다. hasSubStatement 관계는 Statement 인스턴스들 사이에 계층구조를 정의한다. |
구분 | 내용 |
관계명 | hasAchievementLevel |
관계 라벨 | A statement has an achievement level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hasAchievementLevel |
상위속성 | n/a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AchievementLevel |
다중성 | 1..3 |
역관계 | part of, isAchievementLevelOf |
설명 | 하나의 성취기준은 상, 중, 하의 성취수준을 가진다. |
구분 | 내용 |
관계명 | hasLearningResource |
관계 라벨 | A statement has one or more learning resources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hasLearningResource |
상위속성 | n/a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LearningResource |
다중성 | 1..* |
역관계 | part of, isLearningResourceOf |
설명 | 하나의 성취기준은 다수의 학습자원들과의 관계를 가진다. |
구분 | 내용 |
관계명 | hasSyllabus |
관계 라벨 | A statement has one or more learning resources |
클래스 | Statement |
속성 URI | http://kr.kasn.org/KASN/schema/hasLearningResource |
상위속성 | n/a |
도메인 | Statement |
범위 | LearningResource |
다중성 | 1..* |
역관계 | part of, isLearningResourceOf |
설명 | 하나의 성취기준은 다수의 학습자원들과의 관계를 가진다. |
매핑관계 | KS X 7004-1엔티티 | ASN Framework엔티티 | 다중성 | 비고 |
동일 | EduOrganization | JurisdictionEncodingSchemes | 1:1 | 교육기관 |
KS 고유 엔티티 | EduSubject | n/a | 교과목 | |
동일 | StandardDocument | StandardDocument | 1:1 | 성취기준 |
동일 | Statement | Statement | 1:1 | 성취기준항목 |
KS 고유 엔티티 | AchievementLevel | n/a | 성취수준 | |
KS 고유 엔티티 | Syllabus | n/a | 수업계획서 | |
동일 | LearningResource | LearningResource | 1:1 | 학습자원 |
ASN 고유 엔티티 | n/a | CompetencyMap | 성취기준항목 연계 그래프 | |
ASN 고유 엔티티 | n/a | CorrelationResource | 성취기준항목과 학습자원사이의 상세 연관관계 | |
ASN 고유 엔티티 | n/a | Map | 성취기준항목 사이의 관계정의 | |
ASN 고유 엔티티 | n/a | StatusEncodingSchemes | 성취기준 상태 용어 |
매핑관계 | KS X 7004-1속성 | ASN Framework속성 | 다중성 | 엔티티 |
KS 고유 속성 | eduOrgID | n/a | EduOrganization | |
KS 고유 속성 | eduOrgName | n/a | ||
KS 고유 속성 | eduOrgEnName | n/a | ||
KS 고유 속성 | roleOfAchieve | n/a | ||
KS 고유 속성 | contact | n/a | ||
KS 고유 속성 | standardID | URI | StandardDocument | |
KS 고유 속성 | standardTitle | n/a | ||
KS 고유 속성 | curriculumTitle | n/a | ||
동일 | publicationStatus | publicationStatus | 1:1 | |
동일 | jurisdiction | jurisdiction | 1:1 | |
동일 | createdDate | repositoryDate | 1:1 | |
KS 고유 속성 | linkedDate | n/a | ||
KS 고유 속성 | docLink | n/a | ||
KS 고유 속성 | statementID | URI | Statement | |
동일 | statementNotation | statementNotation | 1:1 | |
동일 | authorityStatus | authorityStatus | 1:1 | |
동일 | conceptKeyword | conceptKeyword | 1:1 | |
동일 | chapterTitle | localSubject | 1:1 | |
KS 고유 속성 | statement | n/a | ||
동일 | bloomTaxonomy | skillEmbodied | 1:1 | |
KS 고유 속성 | localSequence | n/a | ||
KS 고유 속성 | learningRscID | n/a | LearningResourse | |
KS 고유 속성 | learningRscFormat | n/a | ||
KS 고유 속성 | learningRscTitle | n/a | ||
KS 고유 속성 | resourceURI | n/a | ||
KS 고유 속성 | learningRscSubject | n/a |
ASN Framework schema : http://s3.amazonaws.com/jestaticd2l/purl/schema/standard
제목 |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프로파일 - 프레임워크 |
에디터 | 정현숙 교수 (조선대), 조용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버전 | 1.0 |
원안작성일자 | 2014. 11. 8 |
최종수정일자 | - |
상태 | 공개 표준 (Public Draft 1.0) |
목적 |
이름 | 직책 (소속) | 비고 |
이재호 | 교수 (서울시립대) | |
정의석 | 선임연구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손정은 | 연구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정은미 | 연구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함영경 | (솔트룩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