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logo

IMS e-포트폴리오 -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발행일 2009년 00월 00일
최신 버전 IMS e-포트폴리오 –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버전 1.0
이전 버전

1)IMS 지적재산권 웹 페이지 : http://www.imsglobal.org/ipr/imsipr_policyFinal.pdf
심의부회 :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원안작성 협력기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IMS Korea 표준화 포럼)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위 원 장) 황대준
성균관대학교
교수
(실무위원) 김성윤
(주)포씨소프트
이사
김 현
(주)씨티유니온
차장
유욱종
(주)다울소프트
부장
조성현
테크빌닷컴(주)
부사장
조용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팀장
차남주
(주)디유넷
부사장
최성기
SK C&C
과장
(자문위원) 권희춘
수원여대
교수
김종현
계원예술대학
교수
김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손진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정광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한태인
(주)메디오피아
부사장
(간 사) 신성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원

목 차

머 리 말

이 표준은 한국의 이러닝 분야 디지털 콘텐츠의 공유 및 유통 체제 확립을 위해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이하 GLC)의 e-포트폴리오 표준을 기초로 작성한 IMS Korea 단체표준이다. 이 표준은 한 국의 문화적, 교육적, 언어적 특수성 등을 감안하여 현지화 등 확장을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또한 이 표준을 실제 구현할 때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필수와 선택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므 로 목적에 따라 선별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이 표준은 포트폴리오를 콘텐츠 패키징(Contents Packaging)표준을 사용하여 정의함으로써 포트폴리 오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기존의 e-포트폴리오가 정적인 웹 페이지의 형태를 띄었 던 반면 최근의 e-포트폴리오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바뀌고 있음에 따라 패키징된 디지털 산출물 외에 학습 활동의 증거 자료, 증거 자료에 대한 자기 평가와 해석, 평가 기 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패키지내의 다양한 클래스들을 정의함으로써 복잡 한 포트폴리오 유형뿐만 아니라 단순한 유형의 포트폴리오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표준은 멀티파트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세가지 표준 문서로 구성된다.
  • Part 1 : 정보모델 (Information Model)
  • Part 2 : XML 바인딩(Binding)
  • Part 3 :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Best practice & Implementation Guide)
이 표준은 저작권법에서 보호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다. 이 표준 문서의 표지에 있는 지적재산권 공지 사항을 숙지할 것을 다시한번 강조한다.

1 적용범위

e-포트폴리오의 일반적 사용 범위를 고려할 때, e-포트폴리오에는 패키징된 디지털 산출물 외에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e-포트폴리오 주체에 대한 설명
  • e-포트폴리오 작성 및 소유
  • 각종 시험 성적
  • 주체가 참여한, 참여하고 있는, 혹은 참여할 계획인 활동
  • 주체의 역량, 기술(기능)
  • 주체의 공인 혹은 비공인 성과
  • 주체의 선호사항
  • 주체의 목표 및 계획
  • 주체의 관심 분야 및 가치관
  • 주체가 전부 혹은 일부 작성한 디지털, 비디지털 산출물
  • 특정 분야와 관련 있는 노트정보, 자기성찰 정보 또는 평가정보
  • 업적이나 활동의 결과에 대한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배경 정보
  • 정보들 간의 관계 (토론에 대해서는 다른 규격 참조)
주 : 상기 목록은 완전한 목록이 아니며 목록 작성시 참조하고 단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따라서 이 목록은 어떤 경우에도 e-포트폴리오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나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2 인용표준

다음은 이 표준의 인용 또는 참조표준으로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표준은 최신판을 적용한다.

2.1 참조표준

  • [ACCG, 02] : IMS Guidelines for Developing Accessible Learning Whitepaper v1.0, IMS GLC.
  • [ACCLIP, 03] : IMS Learner Information Package Accessibility for LIP v1.0, IMS GLC.
  • [ACCMD, 04] : IMS Access For All Meta-data v1.0, IMS GLC.
  • [BUND, 01] : Using IMS Content Packaging to Package Instances of LIP and Other IMS Specifications, v1.0, IMS GLC.
  • [CP, 04] : IMS Content Packaging, v1.1.4, IMS GLC.
  • [EP, 05a] : IMS e-Portfolio Information Model v1.0, IMS GLC.
  • [EP, 05b] : IMS e-Portfolio XML Binding v1.0, IMS GLC.
  • [ES, 04] : IMS Enterprise Services v1.0, IMS GLC.
  • [LIP, 01] : IMS Learner Information Package v1.0, IMS GLC.
  • [LIP, 05] : IMS Learner Information Package Summary of Changes v1.0.1, IMS GLC.
  • [RDCEO, 02] : IMS Reusable Definition of Competency or Educational Objective v1.0, IMS GLC.
  • [RUBRIC, 05] : IMS Rubric Specification v1.0, IMS GLC.
  • [VDEX, 04] : IMS Vocabulary Definition Exchange v1.0, IMS GLC.

3 용어정의

3.1 약자와 약어

  • NLII : EDUCAUSE National Learning Infrastructure Initiative
  • W3C : WWW 콘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
  • XML : 확장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 XSD : XML 스키마 정의(XML Schema Definition)
  • XSL : 확장 스타일시트 언어(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 XSLT : XSL 변환(XSL Transformations)

4 개요

4.1 e-포토폴리오 개요

4.1.1 배경

지난 5 년간 전세계적으로 의무교육과 고등교육 과정에서 e-포트폴리오를 활용하는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그와 같이 활용도가 증가 할 수 있었던 것은 이전에 정적인 웹 페이지의 형태를 띄던 e- 포트폴리오가 데이터베이스 기반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바뀌면서 오픈 소스 e-포트폴리오 도구가 상용화되어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IMS e-portfolios Development Committee 에 따르면 현재 이용 가능한 시스템은 기존의 공개 표준을 반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개 표준과 호환되는 e- 포트폴리오 정보를 탑재(import), 추출(export)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e-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정하지 않고서는 시스템간의 이동을 어렵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e- 포트폴리오 도구를 다른 기업 시스템과 통합할 때도 여러 가지 비효율적인 중복작업이 필요하다. 특정 과정에서만 사용되었던 e-포트폴리오는 이제 거의 모든 교육 프로그램과 기관을 대상으로 그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개인 개발 계획수립, 평생 학습, 사내 교육을 위한 도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평가 및 인증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e-포트폴리오는 상호교류가 가능해야 한다. 이는 e-포트폴리오를 사용하는 교육 기관 내 프로그램 사이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지금까지 이수한 교육 프로그램 내역에 대한 정보를 통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과 평가에 대한 검증이 가능한 정보를 서로 다른 기관, 서로 다른 교육 수준, 그리고 고용주간에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개인적 측면에서는 e-포트폴리오에 기록된 개인의 학습 활동 및 성과에 대한 정보가 교육 기관과 국가간에도 평생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4.1.2 비즈니스 요구사항

EDUCAUSE NLII 는 e-포트폴리오를 ‘보다 큰 정보 저장소에서 추출한 신뢰할 수 있는 다양한 증명 데이터의 집합으로 개인이나 조직이 이수한 모든 교육 과정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학습 활동을 증명해야 하는 경우에 제시할 수 있는 용도로 고안되어 개인이나 조직이 스스로를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정보’라고 정의하고 있다. e-포트폴리오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대개 학습 활동과 성과의 증거 자료, 이들 증거 자료에 대한 자기 평가와 해석, 그리고 증거 자료, 그에 대한 해석과 평가 기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자료 등이다. e-포트폴리오는 학습 활동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집단(가령 업무 수행 능력을 알고 싶어하는 예비 직장 동료나 연구 업적에 대해 알고자 하는 학자들)이 관심 있어 할 개인의 자질이나 특성, 역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e-포트폴리오의 생성 주체가 곧 e-포트폴리오의 열람 주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목적이 자기 성찰에 있으므로, 가용 정보에 대한 접속 한계가 없다. 즉, 정보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전체가 e-포트폴리오로 간주될 수 있다. 당연히 e-포트폴리오의 주체가 e-포트폴리오의 소유자이기는 하지만, 일부 증명 자료나 평가, 관계, 기준은 다른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소유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해당되는 정보는 제 3 의 기관으로부터 검증 받을 필요가 있다. 확장된 버전의 NLII 정의에서는 실제로 e-포트폴리오에서 발견된 가장 복잡하고 세밀한 구조까지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 e-포트폴리오를 활용하는 많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있어 일부 요소들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e-포트폴리오에는 오직 한 가지 관점만 포함되며, 어떤 e- 포트폴리오는 e-포트폴리오의 소유자가 작성한 내용만을 포함하기도 한다. 자기성찰에 대한 정보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e-포트폴리오가 있는가 하면, 평가 정보를 전혀 담고 있지 않는 것도 있다. 또, e- 포트폴리오에 담긴 내용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표준은 복잡한 e-포트폴리오 유형뿐만 아니라 단순한 유형의 e-포트폴리오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4.1.3 적용범위 이외의 항목

4.1.3.1 e-포트폴리오 서비스
e-포트폴리오 서비스 및 행동은 이 표준 문서의 적용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4.1.3.2 e-포트폴리오 정보 저장
이 표준은 e-포트폴리오 정보에 대한 특정한 저장방식에 관해서 다루지 않는다. e-포트폴리오는 서로 다른 시스템과 장소에 저장된 정보가 확인 되어야 한꺼번에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가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e-포트폴리오에서 실시간으로 열람하는 전자정보는 e-포트폴리오 패키지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e-포트폴리오 내에 저장되어야 한다.

4.1.4 사용 대상자

이 표준은 e-포트폴리오 도구 설계 개발자, e-포트폴리오 도구와 여타 시스템간의 통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자, e-포트폴리오 관련 기능을 갖춘 이러닝 도구 개발자에게 활용될 수 있다.

4.2 구성

e-포트폴리오 표준은 다음의 문서들로 구성되며, 각각은 고유의 적용범위를 갖는다.

4.3 e-포트폴리오의 주요 유형

정보 모델 이 표준의 핵심으로서, 바인딩에 대한 정보 모델을 사용하는 기준이 된다. 여기에는 의미론(semantics), 구조, 데이터 유형, 수치영역, 다중도, 필수사항(의무이든 선택이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된다. 정보 모델 바인딩의 유형은 다양하지만 이 문서에서는 XML 바인딩만을 다룰 것이다. e-포트폴리오의 개념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유형의 대부분이 기존에 정립된 표준 및 표준 설명서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정보 모델에서는 그러한 정의에 대해서 중복하여 다루지 않는다. 정보 모델에 설명되어 있는 개념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고자 한다면 XML 바인딩 문서를 참조할 것을 권한다. XML 바인딩 정보 모델이 XML 버전 1.0 에 바인딩 되는 방식을 설명하며, 이 표준에 예약되어 있는 네임스페이스를 참조하거나 선언했는가에 상관 없이 XML 인스턴스인 경우 이 바인딩 방식을 활용한다. 오류가 있거나 누락된 경우 정보 모델이 우선한다. e-포트폴리오 XML 바인딩을 구현할 때, W3C 스키마 언어를 사용한 제어문서가 포함된다.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정보 모델과 XML 바인딩 적용과 관련한 비규범적 가이드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이 표준이 지원하는 정보를 다룰 때 참조할 기존 사례 및 상호운용성과 지속성을 증진시킬 사례들에 대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개념적인 구조와 실제 사용 사례를 어떻게 매핑할 수 있는지와 이 표준과 관련된 IMS 표준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를 수록했다. 표준의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지침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으나 가능한 한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e-포트폴리오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에는 XML 바인딩에 부합하는 활용 사례가 포함된다. 평가 기준 표준(Rubric Specification) e-포트폴리오 표준 중 평가 기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평가 기준 표준에는 표준의 핵심 측면에 대한 규범적인 설명과 이 포함되며, 이 내용의 XML 버전 1.0 으로 바인딩하는 방식 또한 포함된다. XML 인스턴스에는 일반적으로 XML 버전 1.0 이 사용된다. 평가 기준 표준에는 실행 과정에서 사용될 W3C 스키마 언어로 된 제어문서와 평가 기준 표준을 준수하여 작성된 XML 파일 사례도 포함된다.

4.3.1 평가 e-포트폴리오

평가 e-포트폴리오는 특정 기관에 자격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e-포트폴리오에 저장된 데이터 중 해당 기관이 지정한 자격 기준에 맞는 데이터를 제시한다. 평가 포트폴리오를 평가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평가 준거(rubrics)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들의 경우 국가에서 정한 졸업 자격 요건에 맞는 역량을 갖추었는지를 증명하기 위해서 평가 e-포트폴리오를 제출해야 한다. 대학의 학과나 학교에서는 학력 인정 목적으로 평가 e-포트폴리오를 활용할 수 있다.

4.3.2 프리젠테이션 e-포트폴리오

프리젠테이션 포트폴리오는 열람자에게 학습 이력 혹은 그 성과를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대부분의 프리젠테이션 포트폴리오는 열람자에게 어떻게 포트폴리오 내용을 표현하거나 전달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문자격을 입증하는 데에도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취업을 준비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경우, 본인이 취득한 자격증명서와 개발했던 프로그램의 코드, 재직 경력 정보 등을 취합하여 고용 담당자에게 제출할 수 있다. 교직원들의 경우에는 재임용 평가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프리젠테이션 포트폴리오를 사용할 수 있다.

4.3.3 학습 e-포트폴리오

학습 e-포트폴리오는 학습활동의 문서화, 학습가이드, 학습촉진에 사용된다. 자기 성찰의 중요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메타인지(metacognition) 촉진, 학습계획 수립, 다양한 학습경험 통합 등을 위해 사용된다. 학습 e-포트폴리오는 주로 정규 커리큘럼의 수행 과정에서 개발된다. 예를 들어, 지난 1 년 동안의 학습을 통해 어떠한 역량이 향상되었는지를 스스로 추적하고 성찰하게 하기 위해 중고등 학생들에게 학습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게 할 수도 있다.

4.3.4 자기계발 e-포트폴리오

영국에서는 자기계발 계획을 ‘개인이 자신의 학습, 성적 혹은 성과를 스스로 평가하고 자기계발, 학습계발, 진로계발 계획을 세우기 위해 개별 학생단위로 수행되는 체계화된 지원 프로세스’라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자기계발 계획을 위한 e-포트폴리오에는 자기 성찰을 할 수 있는 학습 이력 및 성적/성과가 기록되어 있고 그 성찰의 결과 및 향후 발전계획도 포함되어 있다. 학습 e-포트폴리오가 여기에 속하며, 학습평가를 넘어 경력 개발과 고용에 연계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 e-포트폴리오로도 활용될 수 있다.

4.3.5 복수소유자 e-포트폴리오

복수소유자 e-포트폴리오는 여러 사람이 함께 포트폴리오 내용을 작성하고 제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복수소유자 e-포트폴리오에는 상기의 여러 포트폴리오 유형 요소들이 결합되어 표현될 수도 있겠지만, 웹사이트나 단체 블로그의 목적으로 사용될 때는 주로 프리젠테이션 e-포트폴리오 형식을 채택하고, 학습자 모임이 단체 협력학습의 성과를 증명하고자 사용할 때에는 주로 학습 e-포트폴리오의 형식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복수소유자 e-포트폴리오는 특정 조직이나 부서의 성과 및 발전을 보여주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그렇게 사용될 경우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혹은 조직 포트폴리오라고 부른다.

4.3.6 성과물 e-포트폴리오

성과물 e-포트폴리오는 상기 모든 유형들의 요소를 갖추고 있다. 이 e-포트폴리오는 대체로 다수의 열람 항목을 갖는데, 각 화면은 평가 e-포트폴리오, 프리젠테이션 e-포트폴리오, 학습 e-포트폴리오, 자기계발 e-포트폴리오와 비슷하다. NLII 정의에 의하면 성과물 포트폴리오는 여러 e-포트폴리오로부터 내용을 추출할 수 있는 상위 정보저장소로 간주된다. 성과물 e-포트폴리오 전체는 일반적으로 그 주체만 열람이 가능하지만, 각각의 화면은 주체 이외의 개인 또는 그룹도 열람이 가능하다.

4.3.7 적용범위 이외의 항목

주체의 이해관계에 부합하거나 동의를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사유 없이 주체의 병력이나 재정기록, 범죄와 법률위반을 포함한 공적 기록은 일반적으로 e-포트폴리오 정보에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주체의 이런 정보를 다루고 있는 기타 단체의 기록도 마찬가지이다.

4.4 활용 사례

다음에 제시된 시나리오들은 사용자에게 e-포트폴리오 패키징을 권장할만한 활용 사례를 보여준다. 각 시나리오는 하나의 활용 사례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활용 사례는 패키징 시나리오와 관련된 모든 사례를 다루지는 않는다.

4.4.1 외부 검토 시스템으로 e-포트폴리오 제출

시나리오 한 학생이 취업 대비 과정을 수강하고 있다. 커리큘럼에는 해당 직업을 위한 자격증 및 자격 요건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고, 학생들은 과정 수료 전에 해당 요건을 모두 충족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e- 포트폴리오를 교육기관 평가 시스템에 제출해야 한다. 학생은 자신의 성과 증명 자료를 수집하여 각자의 e-포트폴리오 도구에 있는 기준에 매핑한다. 그리고 툴을 이용하여 모든 필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e-포트폴리오 화면을 프로그램 평가 시스템에 전송하면, 시스템은 증명 자료와 e-포트폴리오 도구 기준이 매핑된 그대로 e-포트폴리오를 접수한다. 주요 행위자: 학습자, 강사, 관리자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
  • 학생 – 예비 직장인으로서 역량을 증명하고 직무 자격 시험에 지원하기 위해 e-포트폴리오 사용
  • 프로그램 교직원 – 학습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e-포트폴리오 사용
  • 프로그램 관리자 – e-포트폴리오 증명자료를 수집하여 인증 기관들과 공유
  • 인증 기관 – 지원자의 자격을 인증하기 위한 신뢰할 수 있는 방법 필요
전제조건
  • 학생은 직업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 해당 프로그램의 커리큘럼은 학생에게 전문기관이 지정한 기본 역량을 제시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 학생은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활동을 완수했다.
  • 해당 프로그램의 완료기간 동안, 학생은 개인의 e-포트폴리오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 증명 자료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e-포트폴리오를 작성했다.
  • 학생은 증명 자료의 일부를 선택하여 그것을 해당 프로그램의 커리큘럼 내에 정의된 표준에 따라 매핑했다.
전송
  • 학습 프로그램 수료 시, 학생은 자신의 e-포트폴리오 도구를 사용하여 e-포트폴리오 화면을 교 육기관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주요 성공 사례
  • 개인의 e-포트폴리오 도구는 증명자료, 구성요소 간의 관계, 구성요소와 기준 간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의 사본을 전송한다.
  • 개인의 e-포트폴리오 도구는 화면을 교육기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 교육기관 시스템은 모든 증명자료, 관계, 표준을 포함하고 있는 화면을 접수한다.
  • 교육기관 시스템은 시스템 내에 지정된 기준에 증명자료와 관계 정보를 매핑한다.
대체 방식
  • e-포트폴리오 도구가 화면의 사본을 전송하면, 학생은 그것을 이동형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교직원에게 제출한다.
  • 교직원은 교육기관 시스템을 통해 e-포트폴리오 화면을 접수한다.

4.4.2 타 e-포트폴리오 시스템과의 공유

시나리오 한 직원은 재직 중에 의무적으로 경력 개발 과정을 수강하여 경력 개발 경험에 대한 정보를 기록으로 남겨두어야 한다. 그 일환으로 직원은 대학원 과정에 등록을 하는데, 대학원에서도 학생들에게 온라인 학업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것을 요구한다. 그런데 회사와 대학원에서는 서로 다른 e-포트폴리오 도구 시스템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이 때 학습자가 동일한 포트폴리오를 각 시스템에 맞추어 따로 두 번 작성하기보다는 각 조직의 요건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 견본과 증명 자료는 양 시스템에서 자유자재로 입출력이 가능해야 한다. 주요 행위자: 학습자, 강사, 관리자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
  • 학습자 - e-포트폴리오를 사용하여, 연수 과정이나 대학원에서 제시한 학업 목표 달성 과정을 기록하고 성찰한다.
  • 강사 - e-포트폴리오를 사용하여 학업 기간 동안 학생들의 실력 향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인사담당 - 인사 관리 절차의 일환으로 직원으로부터 e-포트폴리오 경력 개발 증명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한다.
전제조건
  • 학습자는 e-포트폴리오 작성을 필수로 하는 교육 과정에 등록했다.
  • 학습자는 경력 개발 사항을 관리하는 조직에 고용되어 있다.
  • 해당 과정의 커리큘럼은 제시된 교육 목표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 일부 교육 목표는 고용 기관에서 요구하는 직무 능력 개발 목표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 교육/경력개발 프로세스 참여의 일환으로, 학생은 e-포트폴리오 도구를 이용하여 제시된 교육 목표에 적합한 과정을 수강했다는 증명 자료를 수집하고 성찰하여 e-포트폴리오를 작성한다.
전송
  • 교육 과정을 수강하는 도중에, 학습자가 지정한 주요 시점에,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e-포트폴리 오를 검토한 후 e-포트폴리오 시스템 내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주요 성공 사례
  • 학교의 e-포트폴리오 도구는 모든 증명 자료, 구성요소 간의 관계, 구성요소와 학습 목표 간의 관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화면의 사본을 전송한다.
  • 학습자는 학교의 e-포트폴리오 도구를 활용하여, 재직 회사의 e-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화면을 전송한다.
  • 재직 회사의 e-포트폴리오 시스템은 모든 증거자료, 관계, 목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화면을 접수한다.
  • 재직 회사의 e-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시스템 내부에 지정된 경력 개발 목표에 맞추어 증명 자료와 관계를 매핑한다.
대체 방식
  • e-포트폴리오 도구가 화면의 사본을 전송하면, 학생은 그것을 이동형 저장 매체에 저장한 후, 회사의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출한다.
  • 시스템 관리자는 회사의 시스템을 통해 e-포트폴리오 화면을 접수한다.

4.4.3 피드백을 위한 e-포토폴리오 공유

시나리오
  • 정부방침에 따라, 고등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한 모든 학생들은 특별 과정 외의 일반 과정에 한 해 지원을 받는다. 학생들은 각자의 e-포트폴리오 도구를 활용하여 일반 과정 학습 및 성취 결 과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성찰한다. 정기적으로 교육 기관의 e-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일반 과정 학습 및 성취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지도 교수 및 카운셀러, 교직원들과 정보를 공유한다. e-포트폴리오 열람자는 교육기관의 시스템에서 e-포트폴리오 정보를 열람한 후 검토 의견을 제공한다.
주요 행위자: 학습자, 강사, 관리자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
  • 학생 – 제시된 학습목표의 성취내역을 저장(기록)하고 성찰하기 위해 e-포트폴리오를 사용한다.
  • 강사 – 교육 기간 동안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열람하기 위해 e-포트폴리오를 사용한다. • 프로그램 관리자 – 프로그램 평가의 일환으로 수료자들로부터 e-포트폴리오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한다.
전제조건
  • 학생은 교육 과정에 등록되어 있다.
  • 해당 과정의 커리큘럼은 제시된 교육 목표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 교육/경력개발 프로세스 참여의 일환으로, 학생은 e-포트폴리오 도구를 이용하여 제시된 교육 목표에 적합한 과정을 수강했다는 증명 자료를 수집하고 성찰하여 e-포트폴리오를 작성한다.
전송 교육과정 기간 도중, 강사가 지정한 주요 시점에, 강사는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의 e- 포트폴리오를 검토한다. 주요 성공 사례
  • 개인의 e-포트폴리오 도구는 모든 증명 자료, 구성요소 간의 관계, 구성요소와 학습 목표 간의 관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화면의 사본을 전송한다.
  • 개인의 e-포트폴리오 도구를 활용하여 강사에게 화면을 전송한다.
  • 강사는 모든 증거자료, 관계, 목표 정보를 포함한 화면을 전달받는다.
  • 강사의 시스템은 시스템 내부에 이미 지정된 교육 목표에 증명 자료와 관계를 매핑한다.
대체 방식
  • e-포트폴리오 도구가 화면의 사본을 전송하면, 학생은 그것을 이동형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강사에게 제출한다.
  • 강사는 시스템을 통해, e-포트폴리오 화면을 접수한다.

4.4.4 e-포트폴리오 시스템 간의 e-포트폴리오 이동

시나리오 학습자가 교육 기관을 변경할 경우에는, 학습자의 e-포트폴리오 자료도 가능한 모두 완전하게 전송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교 졸업반 학생은 자신의 모든 e-포트폴리오 자료를 진학할 대학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은 여러 열람자를 고려하여, e-포트폴리오 내의 특정 성과물과 연계된 여러 개의 화면을 작성하였다. 일부 시스템에서는, 화면과 연계되지 않은 e-포트폴리오 추가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데, 중요한 점은, 이러한 자료를 학습자의 e-포트폴리오 자료로 동일하게 저장,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모든 자료 및 그 자료들 사이의 관계는 하나의 e-포트폴리오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학생이 대학을 옮기거나 대학원에 진학할 때도 마찬가지로 모든 e-포트폴리오 자료를 완전하게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강사들이 학교를 옮길 때나, 직장인이 이직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주요 행위자: 작성자, 관리자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
  • 작성자 – e-포트폴리오를 다른 환경으로 전송한다. 이때 동일한 e-포트폴리오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다른 개발사의 응용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일반 시나리오: 대학을 옮기는 학생, 고교에서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 대학에서 대학원으로 가는 학생, 교육기관을 옮기는 강사
  • 시스템 관리자 – 사용자의 해당 시스템을 사용한 기간 보다 더 긴 e-포트폴리오 활용주기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시스템을 이동할 때 자신의 e-포트폴리오를 추출(export)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이전 시스템 에서 관리자가 지원하는 현재 시스템으로 응용 프로그램의 운영환경의 차이와 상관 없이 e-포트폴리오를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제조건 작성자는 어떤 유형이든 e-포트폴리오를 작성해 본 경험이 있다. 전송 주 작성자는 e-포트폴리오의 전송 패키지를 생성한다. 주요 성공 사례
  • 개인의 e-포트폴리오 도구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e-포트폴리오 패키지를 생성한다. 이 패키지는 e-포트폴리오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e-포트폴리오의 내용과 함께, 기타 데이터 유형 및 데이터 유형 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도 적절하게 포함하고 있다.
  • 사용자는 이 e-포트폴리오 패키지를 이동 목표 시스템으로 탑재(import)한다.
  • 목표 시스템은 e-포트폴리오 패키지를 반입(read)한 후, 새로운 e-포트폴리오로서 시스템에 생성시킨다.
  • 주 : 시스템 간의 데이터 매핑 결과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대체 방식
  • 사용자는 기록의 목적 혹은 e-포트폴리오 시스템 외부에서 열람할 목적으로 e-포트폴리오를 추출(export)한다.
  • 관리자는 개인의 e-포트폴리오 도구를 활용하여, 한 명 혹은 여러 명의 사용자 e-포트폴리오를 전송하기 위해 e-포트폴리오 패키지를 생성한다.

5 구현 가이드

5.1 핵심 데이터구조 활용

향후 개정본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고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 표준에서는 주요 데이터 구조에 대해 가능한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을 따른다. 그러나 이것으로도 데이터 요소의 설명이 충분치 못할 경우가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아래에 제시되는 새로운 정의가 제공된다.

5.1.1 소유자(Owner)

포트폴리오의 소유자는 <identification> 요소를 통해 표시되어야 한다. 이 요소는 <formname>과 <name> 을 함께 사용하여 포트폴리오가 한 사람의 것인지, 여러 사람의 것인지, 한 조직의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모든 포트폴리오는 한 명 혹은 다수의 소유자를 하나의 신원 정보로 기록한다.

5.1.2 열람(View)

여러 개의 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하여, 한 포트폴리오 내에 다수의 열람화면이 정의될 수 있다.

5.1.3 상관관계(Relationship)

e-포트폴리오의 여러 요소간의 관계는 자료의 의미와 중요도 파악을 위한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관계 정보가 없으면 요소의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도 있는데, <relationship>요소를 통해 이러한 관계 정보를 표현한다. 원칙적으로 권장되는 관계는 원래 1 대 1 관계지만, 어떤 것은 1 대 다수 관계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N 개의 대응 요소를 가진 1 대 다수 관계는 각각의 대응요소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N 개의 1 대 1 관계와 완전히 동일하다. 표 5.1 은 유용한 몇 가지 관계의 예를 보여준다. 이 관계 유형들은 실제로 사용한 경험자의 검토 의견이 반영되기 이전까지 임시적으로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표 5.1 e-포트폴리오 요소 사이의 관계
목적 활동 역량 목표 관심사 결과물 자격인증 주장/소견
활동 Is part of, precedes evidences, shows up, supports supports evidences supports supports, supplements
그룹활동 supports supports supports supports supports
역량 evidences, supports, precedes is part of, precedes supports evidences supports supports
목표 aims at supports, precedes aims at aims at Supports
관심사 supports supports supports is part of, precedes supports supports
결과물 evidences, supports evidences, shows up supports evidences supports, is part of, precedes supports
자격인증 evidences, supports evidences supports evidences supports supports
주장 attests, evaluates, presents Attests, presents attests, evaluates, presents attests, evaluates, presents attests, evaluates, presents attests, evaluates, presents attests, evaluates, presents
성찰 Evaluates, reflects on reflects on evaluates, reflects on evaluates, reflects on evaluates, reflects on evaluates, reflects on evaluates, precedes, reflects on
5.1.3.1 <typename>
모든 <relationship> 요소는 유형을 갖는데, 이 유형은 제어 어휘(controlled vocabulary)에서 선택되며 <typename> 요소에 표현된다. 표 5.1 에서는 이러한 제어 어휘의 바탕이 되는 일련의 관계 유형을 소개한다. 관계 유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목표(AimsAt) 목표가 특정 역량의 성취여부, 결과물 생성, 자격 획득 및 기타 성과 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우, 또는 관련 항목이 고유 요소 내에 별도로 정의되어 있을 경우, 관계유형 ‘AimsAt’이 사용되어야 하며, 이때 목표를 소스(source)로 하고 나머지 요소를 대응요소로 한다. 목표에 <competency>나 <product>, <qcl> 등의 요소에서 나타나지 않는 기타 정보, 예를 들어, 목표 완료일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앞서 언급된 요소 중 하나를 목표로 정한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해 실행되는 활동은 요소를 실현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간주된다. 증명(Attests) 텍스트나 문서의 e-포트폴리오의 내용이 사실임을 확증하거나, 사실임을 증명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내용을 진술할 경우, 주장을 소스로, 나머지 요소를 대응요소로 하는 관계유형 ‘Attests’를 사용한다. 이것은 추천장과 매우 유사하다. 상관관계는 적합한 추천장 관련 자료를 해당 e-포트폴리오 요소에 적절하게 연결한다. 이는 주체뿐만 아니라 누구라도 생성할 수 있다. 자격(Claims) 주장에 해당하는 문서가 ‘Evidences’ 관계 유형의 영향력이나 특성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 이것은 소스가 주장이고 대응요소가 상관관계인 ‘Claims’ 관계 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지도교사가 ‘이 그룹활동은 N 의 팀웍 기술(기능)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이다’라는 주장을 폈다고 가정해 보자. 이 같은 역량 수준에 대한 정보는 <relationship> 요소에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역량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평가(Evaluates) 주체나 혹은 다른 사람이 어떤 내용을 대상을 평가할 의도로 작성한 경우, 평가를 나타내는 <reflexion> 또는 <assertion>을 소스로 하고, 평가된 요소를 대응요소로 하는 ‘Evaluates’ 관계유형을 사용한다. 역량은 ‘Evaluates’ 관계유형의 대응요소가 될 수 없다. 본래 평가란 상황이나 목적에 어떤 대상이 얼마나 좋고 나쁜지, 혹은 적합한지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증거(Evidences) ‘Evidences’ 관계 유형이 사용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첫째, 관계의 소스가 되는 <activity>, <product>, <qcl> 등의 요소가 관계의 대응요소가 되는 주 체의 역량에 대한 증거로 간주되는 경우
  • 둘째, 소스가 되는 어떤 요소가 대응요소가 되는 또 다른 요소의 진위 증명 자료로 간주되는 경우
  • 셋째 소스가 되는 <activity>, <product>, <qcl> 등의 요소가 대응요소가 되는 관심사(interest)의 간접적인 증거로 여겨지는 경우
  • 넷째, 소스가 되는 <competency>, <qcl> 등의 요소가 대응요소가 되는 관심사의 수준에 대한 증거로 간주되는 경우이다.
일부(IsPartOf) ‘IsPartOf’ 관계 유형은 소스인 한 요소가 대응요소인 다른 요소의 일부가 된다는 사실을 설명할 때 사용한다. 선행(Precedes) ‘Preceses’ 관계 유형은 한 요소가 표현하는 사실이 다른 사실에 선행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제시(Presents) ‘Present’ 관계 유형은 소스가 되는 주장이, 대응요소가 되는 특정 요소를 특정한 열람자에게 특정한 목적으로 제시할 때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presentation>은 필요한 때에 임시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지만, 관계를 선언함으로써, 다른 요소의 특정 <presentation>을 저장할 수 있어, 향후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성과물이 다른 요소를 제시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주장을 매개로 하여, 성과물을 참조할 수 있다. 성찰(ReflectsOn) ‘ReflectsOn’ 관계 유형은 소스가 되는 <reflexion> 요소가 대응요소가 되는 다른 요소와 연관되며, 다른 특정 관계는 더 이상 없을 경우 사용된다. <reflexion>은 주체의 성찰 활동의 결과물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설명일 수도 있다. 이러한 <reflexion>은 누구라도 작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상 요소를 성찰하는 것은 작성자라기 보다는 <reflexion>이 될 것이다. 인식증명(ShowsUp) ‘ShowsUp’ 관계 유형은 소스가 되는 요소가 대응요소가 되는 특정 역량을 향상시킬 필요성을 인식했다는 증거가 될 때 사용한다. ‘ShowsUP’ 관계에서 소스와 대응요소가 관련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주장과 ‘Claims’ 사이의 관계가 사용될 수 있고, 이는 ‘Evidences’ 관계로 연결되는 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 자기계발 계획에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보완(Supplements) ‘Supplements’ 관계 유형은 소스가 되는 <activity> 요소를 대응요소로 하는 <qul>요소에 연결할 때, ‘Supports’ 관계 대신, <qcl>요소마다 적어도 한번씩 사용되어야 한다. <activity> 요소는 전체 교육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이는 <qcl> 요소에 명시한 자격증에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육 프로그램 정보와 자격 증명간의 연계성이 분명하고 명백하게 된다. 지지(Supports) ‘Supports’ 관계 유형은 두 요소 간의 사실이거나, 사실로 예측되는 인과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데, 이 때 관계의 경중이나 필연 여부는 전혀 고려치 않으며 단지 원인이 되는 요소를 소스로 그 원인에 따른 결과를 대응요소로 삼는다. ‘기여하다’나 ‘지원하다’, ‘전제조건이다’와 같은 관계가 여기에 포함된다. 인과관계는 명확하게 구분을 두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하나의 분류로 관리한다. 활용(Use) ‘Use’ 관계유형은 요소 간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관계유형이다. 버전관계(IsversionOf) ‘IsVersionOf’ 관계유형은 두 요소가 동일 항목의 다른 버전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 관계는 어떤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를 나타낸다. 이것은 활동 및 작업 샘플의 수정 이력을 추적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 작성된 e-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하다.
5.1.3.2 <tuple>
모든 <relationship>에는 반드시 하나의 <tuple>요소가 존재하여야 한다. <tuple>의 <tuplesource>와 <tupledest> 요소는 e-포트폴리오의 참조요소인 <contentype>내에 주어진 indexid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관계를 설정함에 있어 대응요소가 동일한 학습자의 e- 포트폴리오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sourcedid> 요소만을 갖게 된다. <tuplerelation>요소는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버전 1.0 표준에서 필수적인데, 명시된 사용은 관계의 <typename> 요소로 이미 충족된다. 이 요소는 공백으로 둘 수도 있고 텍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다른 시스템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 또는 관계가 자동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 어휘가 <tuplerelation>의 <typename> 요소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관계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IMS 어휘교환 표준 버전 1.0 은 제어 어휘(controlled vocabularies)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5.1.3.3 <description>
<description> 요소는 관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요소는 <typename> 요소를 대체할 수도 없고 관련 요소 내에 저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없다. description 의 문자수가 255 자 미만일 경우 <short> 요소 내에 사용해야 한다. Description 문자수가 255 자를 초과할 경우에는, 255 자 미만 분량으로 내용을 요약하여 <short> 요소에 입력하고, <long> 요소에 description 을 입력한다.
5.1.3.4 예시
<relationship>
  <typename>
  <tysource  sourcetype=‘standard’>ePortfolio</tysource>
  <tyvalue>Supplements</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relationship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uple>
  <tuplesource>
  <sourcedid>
  <source>ePortfolio_Example</source>
  <id>1001</id>
  </sourcedid>
  <indexid>activity_01</indexid>
  </tuplesource>
  <tuplerelation>
  <text>results_in</text>
  </tuplerelation>
  <tupledest>
  <sourcedid>
  <source>ePortfolio_Example</source>
  <id>1001</id>
  </sourcedid>
  <indexid>qcl_01</indexid>
  </tupledest>
  </tuple>
  <description>
  <short>The  detailed transcript for an awarded qualification</short>
  </description>
 </relationship>

5.1.4 presentation 클래스

presentation 클래스는 포트폴리오의 presentation 에 대한 표준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사용 가능한 PortfolioParts 로부터 선택된 항목의 배열과 항목의 속성이 포함된다. 항목을 선택하고 배열하는 것과 구성 속성 등이 포함된다. <item>의 순서는 제시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presentation 방법은 이를 구현하는 기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콘텐츠 패키징이 실행 중일 경우, XSLT 가 적합한 필터링 기술이며, 프린팅용 XSLT 도 XSLT-FO 명령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 브라우저를 통해 표현될 때에는 CSS 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열람자의 IMS 학습자 정보 접근 표준에서 알 수 있는 경우, 해당 IMS 학습자 정보 접근 표준에 적합한 스타일 파일을 생성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향후 개정된 표준에서는 더욱 상세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presentation 에 대한 상세한 명세는 특정 화면 구성에 필수적이므로 현재의 표준에서도 다루지만 향후 개정될 표준에서도 다루어질 것이다.

5.1.5 Accessibility 클래스

Accessibility 클래스는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에 의거하여, 포트폴리오 소유자가 기능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 선호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은 자료의 제시 방법,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 위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그리고 사용자가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접근성 정보에 대한 데이터모델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IMS AccessForAll Metadata 표준이 있는데 이 표준은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서 두 표준간에 필드를 매치하여 두 표준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콘텐츠 커스터마이징, 인터페이스 커스터마이징(예를 들어 브라우저 변경) 등 및 실시간 콘텐츠 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만 단독으로 사용된다. 이는 화면과 유사하다. 하나의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인스턴스가 복수의 문맥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 문맥은 특정 선호 환경을 위한 완벽한 정보의 집합일 수 있다.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인스턴스는 편집 가능해야 한다. 활용 사례를 위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 e-포트폴리오는 사용자들이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관련 정보를 관리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 특정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e-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인터페이스와 콘텐츠를 표시하고 전달하는 방식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 사용자가 시스템 사용시 특수한 화면 판독기를 사용할 경우, 시스템은 소유자의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을 참고하여 특수 화면 판독기와 함께 동작하는 환경으로 운용되기 위해 선택된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의 맥락에 따라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콘텐츠가 ACCMD 표준에 맞추어 접근성 정보와 관련된 적절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면, 그에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콘텐츠 전달 방식에 대해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체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콘텐츠를 가지고 있다면,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범위에 맞는 적합한 유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예로, 그림 대신 문자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준비된 화면의 대상이 저장된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정보에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고, 열람화면을 구성할 때 화면열람 대상자의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콘텐츠는 가능한한 최대한의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이는 적합하게 설계된 저작도구를 사용하면 쉽게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자세한 것은 Developing Accessible Learning Applications [ACCG, 02]에서 guidance at system 과 tool design time 을 참조할 것을 권장한다.
  • Organization 은 특정 폰트 등과 같이 고유 스타일을 정의하는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정보는 계단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나 어떤 사용자 그룹을 위한 조직수준의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정보가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사용자가 콘텐츠나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별 사용자의 IMS 학습자 정보 접근성 표준 정보가 우선 적용될 필요가 있다.

5.1.6 <affiliation>

<affiliation> 요소는 e-포트폴리오의 소유자가 관여한 입회에 대한 설명을 저장할 때 사용된다. 이 요소는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에 정의된 Affiliation 구조의 XML 바인딩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5.1.7 <assertion> / <reflecxion>

<reflexion>과 <assertion> 요소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e-포트폴리오 내의 다른 요소와 관련 있는 문서화된 자료를 포함한다. 즉, 다른 요소들의 내부에 <description> 요소와 같은 적절한 조항이 없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요소들의 <description> 요소내의 자료 혹은 텍스트 정보는, 이들 정보가 설명하는 대상 요소에만 한정하여 관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e-포트폴리오 내의 한 개 이상의 다른 요소를 설명하는 텍스트 자료 정보가 작성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또는 이러한 자료가 충분한 설명을 하지 못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요소 내에서의 <description> 사용은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대신에 <reflexion>이나 <assertion> 요소가 사용되어야 한다. 주체가 e-포트폴리오의 다른 요소에 표현되거나 기록된 사항을 성찰한 시점에 대한 정보는 <reflexion> 요소의 주요 카테고리 중에 하나이다. 성찰의 결과물은 단순한 기록이 아니다. <reflextion> 요소는 성찰의 결과물을 포함한다. 관련된 성찰 활동은 교육 프로그램과 자기 개발 프로그램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reflexion> 요소는 <relationship> 요소를 통해 성찰한 대상에 연결된다. <assertion> 요소는 e-포트폴리오 내의 자료와는 연관성이 있는 자료나 텍스트 정보를 표현하는데 사용되지만, 성찰의 산출물은 아니다. 이것은 추천서일 수도 있고, 지인이나 멘토, 동료의 단순한 의견일 수도 있다. <assertion>의 특수용법으로는 특별한 역량에 대한 증명, 다른 요소의 증명, 다른 요소의 표현, 합의 기록 등이 있다.
5.1.7.1 <typename>
다음은 typename 만의 리스트는 아니다. 유형들은 제어 어휘(controlled vocabulary)가 사용되고 있는 곳에서 추출되어야 한다. <assertion> 요소가 합의 이행을 주목적으로 할 때에는 ‘Agreement’ 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assertion> 요소가 e-포트폴리오 내의 다른 요소와 관련이 없고, 다른 유형과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텍스트 정보라면, ‘Note’ 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assertion>이 주체의 특정시기의 상태에 대한 개인적 진술 혹은 유사 형태의 글인 경우는 ‘SelfPresentation’ 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reflexion>이나 <assertion> 요소는 문맥과 기능이 해당 요소가 속한 상관관계로 적절히 표현된 경우 ‘ContextDefined’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reflexion>이나<assertion> 요소의 주목적이 주체가 보유하고 있는 여러 역량을 표현하는 것이라면, ‘Strengths’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reflexion>이나<assertion> 요소의 주요 목적이 e-포트폴리오 내의 다른 요소를 평가하는 것이라면, ‘Valuation’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reflexion>이나<assertion> 요소의 주목적이, 특정활동이나 목표의 측면에서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역량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Weaknesses’ 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reflexion> 요소의 주 목적이 향후 e-포트폴리오에 추가될 요소(예, activity)에 대한 주체의 성찰이라면 <reflection> 요소는 ‘Anticipation’ 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reflexion> 요소가 특정 부분에 대한 하나 이상의 e-포트폴리오 요소의 성찰에 필요하다면, ‘Aspect’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reflexion> 요소의 주 목적이, e-포트폴리오 내의 activity 와 같은 요소가 발생한 이후, 그에 대한 주체의 성찰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Retrospection’유형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5.1.7.2 <authorship>
<authorship> 요소는 <reflexion>이나 <assertion>의 저자를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ssertion 이 추천장이라면 저자는 추천자가 될 것이고, assertion 이 e-포트폴리오의 다른 요소를 평가하는 것이라면 평가자, 합의문 같은 경우에는 공동 작성자가 될 것이며, 한 사람은 저작권자로 다른 사람은 편집자로 기록될 수도 있고 자동 생성될 수도 있다. <authorship>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e-포트폴리오의 주체는 작성자라로 간주한다.
5.1.7.3 <rationale>
<reflextion>이나 <assertion>은 <rationale> 요소를 몇 개라도 가질 수 있다. <rationale>는 <reflexion>, <assertion> 요소가 대상으로 삼는 열람자를 나타내고, 열람자에게 그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또한 성찰이나 강조의 문맥 요소를 제공해야 하며, 열람자가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Rationale’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는 열람자가 주체로 인식되어야 하며, 그럴 경우 그 목적은 일지나 일기와 유사하다. <rationale>은 성찰 혹은 강조가 작성된 이후에도 추가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5.1.7.4 <date>
‘Create’유형의 <date>는 <reflexion>이나 <assertion>이 최초에 작성된 일자를 나타낸다. ‘Update’유형의 <date>는 <reflexion>이나<assertion>이 수정된 일자를 나타낸다. 이것은 수정된 기록이 시스템에 저장된 일자와는 다르며, 임시 메타데이터에 기록되는 것이다. ‘Reference’유형의 <date>는 <reflexion>이나 <assertion>의 내용을 기록한 일자를 나타낸다. 즉 평가나 증명 등이 실제로 발생한 일자를 나타낸다. ‘Publish’유형의 <date>는 <reflexion>이나 <assertion>이 발행되거나 일반에게 공개된 일자를 나타낸다.
5.1.7.5 <status>
‘Draft’유형의 <status>는 아직 저작자의 의도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reflextion> 혹은 <assertion>이 아직 작성중임을 나타낸다. ‘Completed’유형의 <status>는 저작자의 의도가 충분히 반영되어 <reflexion> 혹은 <assertion>이 작성이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Expired’유형의 <status>는 작성 이후 발생한 변경으로 인해 <reflexion>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5.1.7.6 성찰 또는 강조를 포함하는 관계
관계는 <reflexion>과 <assertion>의 문맥과 의미를 완벽하게 표현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아래의 경우에서 <reflexion> 혹은 <assertion> 요소는 관계의 소스가 되고, 나머지 요소는 대응요소(destination)가 된다. ‘Attests’유형의 <relationship>은 e-포트폴리오 내의 다른 요소를 증명하는 목적을 가진 <assertion> 요소와 함께 사용된다. ‘Evaluates’유형의 <relationship>은 e-포트폴리오 내의 다른 요소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reflexion> 혹은 <assertion> 요소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정 활동이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하는 관찰자가 여기에 해당된다. <assertion>요소의 사용 목적이 특정 열람자의 목적에 적절한 용어로 e-포트폴리오 요소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 Presents ‘ 유형의 <relationship> 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ReflectsOn’유형의 <relationship>은 다른 관계에 의해 관련되지 않은 e-포트폴리오 내의 어떤 요소와 관련된 <reflexion> 요소와 함께 사용된다. e-포트폴리오 내의 어떤 요소와 역량 사이에 ‘Evidences’유형의 <relationship>이 있고, 다른 요소가 역량의 증명자료로서 역할을 하는 방식을 <assertion> 요소가 설명할 경우, 그 <assertion> 요소는 ‘Claims’ 관계 유형의 소스가 되고, 이때의 대응요소는 증명관계이다.
5.1.7.7 예시
<asser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sser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authorship>Dr. A. Brown (tutor)</authorship>
  <rationale>A witness statement relating to group  assignment</rational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standard’>ePortfolio</tysource>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2004-05-31T12:25:43</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Michael Short's group work</short>
  <long>I supervised the group assignment on UML modelling.
      Michael related well to the rest of his group, displaying  significant
      leadership potential. He initiated task-oriented communications
      and played an active role in conflict resolution.
      Overall, I would rate his performance as above average.
      The group demonstrated effective knowledge of UML.
  </long>
  </description>
  </assertion>
  <reflex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reflex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rationale>For my travel diary.</rational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standard’>ePortfolio</tysource>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2004-02-13T18:12:45</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Thoughts on Zurich.</short>
  <long>Zurich is obviously a wealthy city.
      In some ways it would be good to live here, if one
      could afford it. But would I feel at home here?</long>
  </description>
 </reflexion>

5.1.8 competency

<competency> 요소는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에 소개된 방식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역량은 가능한 한 IMS 역량 및 학습목표 재사용성 표준의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정의되어야 한다.

5.1.9 goal

<goal> 요소는 주체의 목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이미 달성한 목표도 포함된다. 왜냐 하면 목표는 다른 성과나 또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을 수도 있는 실제 성과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목표는 실행계획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목표를 실제 성과와 비교하는 것은 자기 개발 혹은 경력 개발에 중요한 피드백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목표로 삼은 미래 상황을 표현하는 목표와 실제 성과, 자격증명, 성과물, 역량 또는 그 외 기타 목표간에는 세심한 구분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구별을 할 때, 목표달성을 위한 명확한 기준과 시간 제한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5.1.9.1 <typename>
<goal>유형에는 <goal>의 분야 및 대상이 설명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Work’ 와 ‘Education’, ‘Personal’ 등은 스포츠, 취미, 관심사와 관련된 목표를 나타낼 때 사용될 수 있다. <goal>이 주로 개인적 개발, 직업과 관련된 개발 또는 경력 개발에 목표를 두었다면, ‘Development’ 유형과 함께 사용된다. 이것은 특히 ‘Education’ 유형의 목표와 중복될 수도 있으므로, 어떠한 사례를 각 유형으로 분류할 지에 대해 일관된 결정이 필요하다. 실행 계획을 수립할 때, 장애요소를 기술할 경우(장애를 극복하거나 피해가는 목표가 내재된 경우 이것은 ‘Obstacle’유형의 <goal>로 나타내며, 장애요소에 대한 정보 자체는 목표 자리에 기술되어야 한다.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 목표들의 목록을 나타내야 한다면, ‘List’유형이 사용되어야 하고, <goal>의 설명(description)에 목록을 포함해야 한다. 이 경우, <goal>의 짧은 설명에는 목표의 집합을 수록하고, 긴 설명은 목록 자체를 포함한다.
5.1.9.2 <date>
관련 정보가 있다면, 완성 목표 일자는 ‘Target’유형의 <date>로 표시하고, 이미 완성되었다면 ‘Finish’유형의 <date>로 실제 완성일자를 표시해야 한다.
5.1.9.3 <priority>
<priority> 요소에 대한 typename 조항이 없을 경우, 우선순위 정보가 상호운용, 또는 호환되기 위해서 하나의 e-포트폴리오 내에 설정된 여러 목표에 순서를 두어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순위는 <priority>를 숫자로 나타냄으로써 표현해야 하는데, 낮은 숫자가 더욱 중요한 목표임을 나타낸다. 숫자가 같으면 우선순위가 동일한 목표임을 나타낸다. 순위를 나타내는 숫자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1’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2’는 높은 우선순위, ‘3’은 중간 우선순위, ‘4’는 낮은 우선순위, ‘5’는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이는 여러 개의 e-포트폴리오 간의 우선순위는 보다 구체적인 매핑에 대한 합의가 따라야 비교 가능함을 의미한다.
5.1.9.4 <status>
목표의 <status>는 <goal>의 속성으로 간주되는 표준 유형이 있어야 한다. ‘Active’<goal>은 활발히 추구되고 있는 목표를, ‘Completed’<goal>은 목표를 세운 사람이 만족스럽게 완수한 목표를 의미한다. ‘Inactive’<goal>에는 추구될 지는 모르나 현재로서는 실행되지 않고 있는 목표 및 고려 중이지만 채택되지 않은 목표도 포함된다. 완수될 기회를 잃었거나 포기된 <goal>은 ‘Retired’으로 나타낸다.
5.1.9.5 목표의 위계
목표는 다른 <goal> 요소 내에 포함되어 표시되어서는 안 된다. 그 이유는 중요도가 덜한 하나의 목표가 더 중요한 여러 개의 목표를 지원할 상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파악된 목표가 오직 하나뿐일 지라도 평생의 맥락에서 보면 한 목표가 다른 훨씬 더 큰 목표를 지원하는 상황이 분명히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목표 간의 관계는 <relationship> 요소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이다.
5.1.9.6 목표 위계에 따른 포함 관계
실행 계획이 e-포트폴리오에 표현되어 있으면, 목표 간의 관계 및 활동과 목표 간의 관계가 표시되어야 한다. 목표에 도움을 주는 항목의 경우, 항목이 <goal> 요소를 ‘Support’하는 관계로 표현되어야 한다. 한 목표가 다른 더 큰 목표의 하위 목표일 때는 하위 목표가 상위 목표를 ‘Support’하는 관계로 표현된다. 목표가 주로 역량 달성, 자격 증명, 기타 성취, 산출 목표물의 완성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계는 <goal>이 이들을 ‘목표로 하는(AimsAt)’ 형태를 취한다.
5.1.9.7 사례
목표 위계에 따른 포함 관계와 관련하여 주의할 사항은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 정보 모델 표준의 예를 참조한다.

5.1.10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요소는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 정보 모델 표준에 권장되는 방식과 같이 활용되어야 한다. 포트폴리오는 소유자가 있어야 하므로, 모든 포트폴리오에는 하나의 <identification> 요소가 있어야 한다. 즉 <identification> 요소는 포트폴리오의 소유자를 밝혀준다.

5.1.11 Interests

<interests>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개인의 동기부여와 관련되어 있고, 또 한편으로는 개인의 이력을 더욱 풍부하게 하기 때문이다. <interests> 는 공통 관심사가 될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하여 토론 거리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interests>를 이력서의 항목으로 포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interests>란 스포츠, 취미, 오락, 기타 레크리에이션 활동들을 포함한다. 내재적 동기부여 요인의 범위에는 개인의 가치관과 신념도 포함되기 때문에 이들을 <interest>의 목록에 당연히 포함시켜야 한다.
5.1.11.1 <typename>
자수, 아마추어 연극, 스키 등 <interest>와 직접 관련이 있는 활동에 주체가 실제로 참여할 경우, <interest>는 ‘participant’ 유형과 함께 표현되어야 한다. 연예인이나 팀의 팬 혹은 후원자가 되는 등 주체가 <interest>에 관련된 활동을 관람하며 관심 대상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 <interest>는 ‘observer’ 유형과 함께 표현되어야 한다. 세계평화, 채식주의, 힌두교, 교도소 교정 등 관심사가 일반적인 원칙이나 신념인 경우, <interest>는 ‘value’ 유형과 함께 표현되어야 한다.
5.1.11.2 <product>
<product> 요소는 <interest> 요소의 부분으로 사용될 수 없다. 만약 <product> 요소가 <interest> 요소 내에서 사용된다면 <activity> 요소에서 사용되는 <product>와 충돌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5.1.11.3 관심사와의 관계
<interest>가 다른 요소에 대한 동기부여 요소가 될 수 있는 경우 <relationship>은 관심사가 다른 요소를 ‘support’ 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interest>가 다른 관심사의 부분 관심사가 될 경우, <relationshio>은 구체적인 관심사가 더 큰 관심사의 ‘IsPartOf’ 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interest>가 다른 관심사보다 더 의미 있게 먼저 다가올 경우 <relationship>은 앞의 관심사가 이후의 관심사에 ‘Precedes’.
5.1.11.4 사례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정보 모델 표준의 사례를 참고하고, <interest>내의 <product> 요소 사용에 대한 주의사항에 유의한다.

5.1.12 Participation

Participation 클래스는 사람들의 그룹을 정의하는데, 그룹 내에는 포트폴리오의 소유자가 포함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participation> 요소는 결과물을 공동으로 생성한 그룹 또는 동일한 활동에 함께 참여한 그룹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이 요소는 IMS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표준 버전 1.0 표준의 데이터 모델에서 정의된 Person, Group, Membership 데이터 모델의 XML 바인딩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차후 버전에서 person 구조와 identification 구조를 통합할 때도 이 바인딩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5.1.13 Product

Product 데이터구조는 학습자가 생성한 결과물 자료를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자료들은 공식적 활동의 일부로서 생성되기도 하며, MS Word 문서, Quicktime 무비, HTML 등의 전자문서 양식을 취할 수 있다. 이 요소는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에서 나왔지만, 실제 ‘products’의 저장은 콘텐츠 패키징 표준을 통해 수행되며, 비슷한 방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교육 콘텐츠도 IMS 콘텐츠 패키징 표준을 이용해 추출한다.

5.1.14 Qualification

<qualification> 요소는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정보 모델 표준의 <qcl> 요소에 의거해 이용되어야 한다.

5.1.15 Rubric

Rubrics 와 rubrics 를 활용하여 수행된 평가 결과는 Rubric 표준에 포함되어야 한다.

5.1.16 RubricCell

평가 기준 셀(RubricCell)은 평가 기준 내의 품질의 교차점을 나타낸다. 평가 기준 셀은 평가 기준 내 품질 교차점에서 발생되는 결과를 참조할 때 사용된다.

5.1.17 securitykey

<securitykey> 요소의 사용법은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 정보 모델 표준을 참조한다.

5.1.18 transcript

<transcript> 요소의 사용법은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 – 정보 모델 표준을 참조한다. 가능하다면 transcript 는 성적증명 데이터가 생성된 부문에 적합한 표준 혹은 XML 표준의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정의해야 한다. transcripts 표준 문서는 영국 고등교육 성적증명서(UK Higher Education Transcript) 와 고등교육 전자 표준 협의회 XML 고등교육 성적증명서(Postsecondary Electronic Standards Council XML Postsecondary Transcript)를 포함한다.

5.2 기타 구현 정보

5.2.1 패키징

포트폴리오 패키징 지침은 이 표준 문서에 첨부된 확장사례에 제시되어 있다. 패키징에 대한 표준 규칙은 XML 바인딩을 참조한다. 여러 가지 방식의 화면 열람은 여러 가지 화면 구성을 위한 XSL 파일을 포트폴리오 패키지에 추가함으로써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화면 구성 정보가 presentation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있다면, 해당 화면에 대한 presentation XSL 파일은 포트폴리오 패키지에도 포함되어야 한다.

5.2.2 등급

자격증명이나 인증서로서 주어진 등급은 <qcl> 요소의 <level> 요소 내에 표현되어야 한다. <level> 구조는 모든 레벨이 그 내부에 추가적인 하위 레벨을 가지도록 포함된 구조나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교육 및 기타 평가 활동에 주어진 등급이나 점수는 활동/평가/결과에 별도로 표시된다.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에는 결과를 충분히 나타내 주는 장치가 많이 들어있으므로,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을 준수할 것을 권장한다. 전체적인 교육활동의 결과는 자격 증명의 레벨에 직접 연관이 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를 명확히 하고, 확실하게 표현하는 내용은 향후 버전의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에서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5.2.3 복수 소유자 e-포트폴리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e-포트폴리오에는 한명 이상의 다수의 소유자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모든 소유자는 e-포트폴리오 패키지에 연계되어야 한다. e-포트폴리오 패키지의 수신 시스템 모델에 따라, 그리고 수신 시스템에서 모든 사용자와 그룹 구조에 대한 정보의 관리 여부에 따라, 수신 시스템은 e- 포트폴리오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수의 개인을 연계하며, 개인 사용자들이 그룹과의 연결을 실행하거나 단체 사용자가 하나의 실체로 인식됨으로써 그룹 관계를 유지할 것이다.

5.2.4 주요 메타데이터

어떤 유형의 e-포트폴리오에서는,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너무 중요해서 만일 생략될 경우 e-포트폴리오의 의미가 매우 달라진다. 예를 들어, e-포트폴리오 작성자의 그래픽 디자이너로서의 기술을 증명하기 위해 시각적인 프리젠테이션으로 만들어진 포트폴리오는, 해당 프리젠테이션 내용을 재생할 수 없는 시스템에서는 그 의도를 전달할 수가 없다. 포트폴리오의 여러 관점들에 있어서 중요도에 관련된 정보는 LOM 기록에 표현될 수 있으며, e-포트폴리오 패키지 내의 포트폴리오 <organization>내에 포함된다.

5.2.5 참조 포트폴리오 및 포트폴리오파트에 대한 권고사항

PortfolioParts 는 두 개의 별도의 참조 메커니즘 ‘sourcedid’와 ‘indexid’를 지원하는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의 contentype 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법은 학습자 정보 패키지 표준에서의 사용법과 비슷하다.
  • ‘Sourcedid’ – 포트폴리오 인스턴스 식별자. 이것은 포트폴리오 인스턴스 생성/저장의 역할을 담 당하는 소스의 고유 값인 소스라벨, 그리고 해당 소스내의 기록 식별자로 구성된다. 소스는 각 각의 학습자 포트폴리오 기록이 고유 식별자를 가짐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포트폴리 오 인스턴스에서 광범위한 수준으로 사용된다.
  • ‘Indexid’ – 각 portfolioPart는 contentype의 indexid 요소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내부의 요소를 고 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관계를 갖고 있는 요소들이 서로 참조할 때 필요하다.
이 표준 문서에서 가장 세밀한 수준의 참조 단위는 PortfolioPart 이다. 즉, 관계는 portfolioParts 사이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는 두 개의 유일한 식별자를 사용하여 참조할 수 있는데, 이들 식별자는 사용자의 확인 없이는 자동 생성되거나 할당되지 않는다.
  • Manifest Identifier – 전 세계를 대상으로 유일함을 보장할 수 있는 고유 식별자 이어야 한다.
  • Organization Identifier – 이것은 매니페스트 내에서만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도 유일함을 보장해야 한다. 포트폴리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 외의 바인딩 메커니즘도 학습자 정보 패키지 contentype 구조에 상응하는 식별자 확장을 지원해야 한다.

5.2.6 의견(comment)

PortfolioPart 를 나타내는 의견은 학습자 정보 패키지 contentype 구조에 저장된다.

6 확장사례

이 표준의 문서에는 포트폴리오를 패키징하는 방법 및 그 패키지를 해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몇 가지 사례가 패키지로 제시되어 있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사례를 설명한다. XML 바인딩에도 그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만, 사례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Rubric 표준에서도 몇 가지 사례가 나온다. 이 사례들의 코드는 IMS 웹 사이트 (http://www.imsglobal.org/ep/)에서 제공된다.

6.1 최소사례

여기서는 과제 에세이와 같은 하나의 결과물만을 추출하기 위한 최소한의 용도의 최소 포트폴리오를 소개한다. 포트폴리오 패키지 디렉토리 이름은 ‘minimalPortfolio’이다. 구성파일은 다음과 같다.
  • 매니페스트 파일- 'imsmanifest.xml';
  • 식별 인스턴스 파일- 'minimalIdentification.xml';
  • 결과물 인스턴스 파일- 'minimalProduct.xml';
  • 작업결과는 다음 Microsoft Word 파일이다 - 'Midterm_research_Project_hollandp_Arthur.doc'.
화면 구성 정보나 스타일 파일은 없다. 기본 포트폴리오 패키징 사례를 도식화하면 그림 6.1 과 같다.
IMS KR 1004-3_6.1

그림 6.1 최소 포트폴리오 사례

6.2 성찰 및 강조 사례

이번 사례는 최소 포트폴리오 사례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포트폴리오의 성찰, 강조, 접근성 선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product 인스턴스도 가지고 있다. 포트폴리오 패키지 디렉토리 이름은 'ReflectNassertPortfolio’이다. 구성 파일은 다음과 같다.
  • 매니페스트 파일 - 'imsmanifest.xml';
  • 식별 인스턴스 파일- 'Identification.xml';
  • 결과물 인스턴스 파일- 'Product.xml';
  • 작업 결과물 - 'Midterm_research_Project_hollandp_Arthur.doc'
  • 성찰 인스턴스 파일 - 'Refexion.xml';
  • 강조 인스턴스 파일 - 'Assertion.xml';
  • 접근성 정보 인스턴스 파일 - 'Accessibility.xml';
  • 관계 인스턴스 파일 - 'Relationship.xml'.
화면 구성 정보나 스타일 파일은 없다. 이에 따르는 포트폴리오 패키징 사례를 도식화하면 그림 6.2 와 같다.
IMS KR 1004-3_6.2

그림 6.2 성찰/강조 포트폴리오 사례

6.3 화면구성/스타일 사례

이 사례는 화면 구성 정보와 프리젠테이션이 포함되어 있는 패키지의 파일 구조를 광범위하게 보여준다. 패키지에는 ‘Joanna Hunt’, ‘Gayle Beneville’, ‘Company Competencies’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가 들어있다. 앞의 두 포트폴리오는 개인과 관련되어 있고, 세 번째 것은 단체와 관련된 것으로 해당 단체의 역량을 보여준다. 하지만 각 개인과는 관련이 없다. 이 세 가지 포트폴리오는 그림 6.3 에서처럼 4 번째 패키지를 사용하여 묶여 있다.
IMS KR 1004-3_6.3

그림 6.3 포트폴리오 패키지의 패키지 사례

그림 6.4, 6.5, 6.6 에서는 JoAnna Hunt 와 Gayle Beneville 을 위한 개인용 포트폴리오 및 프로그래밍 능력을 보여준다. Hunt 패키지는 몇 개의 결과물 PortfolioParts 와 평가 준거, 화면을 제공하는 하나의 화면 섹션으로 구성된다. 포트폴리오 패키지 디렉토리 명은 ‘HuntPortfolio’이다. 구성파일은 다음과 같다.
  • 매니페스트 파일 - 'imsmanifest.xml';
  • 식별 인스턴스 파일 - 'Identification.xml';
  • 결과물 인스턴스 파일 - 'ProductPhoto.xml', 'ProductMysenblack.xml', 'ProductResume.xml' 'ProductSample.xml'. 연계된 인위구조 파일은 'content'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다;
  • 화면 구성 정보 파일은 'views'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다.
IMS KR 1004-3_6.4

그림 6.4 JoAnna 포트폴리오 사례

Beneville 패키지는 몇 개의 결과물 PortfolioParts 로 구성된다. 포트폴리오 패키지 디렉토리명은 ‘HuntPortfilio’이다. 구성파일은 다음과 같다.
  • 매니페스트 파일- 'imsmanifest.xml';
  • 식별 인스턴스 파일- 'Identification.xml';
  • 결과물 인스턴스 파일 - 'ProductMidTermProj.xml', 'ProductAbsolutism.xml', 'ProductRevolution.xml' , 'ProductOceanEssay.xml'. 연계된 인위구조 파일은 'content'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다.
IMS KR 1004-3_6.5

그림 6.5 Beneville 포트폴리오 사례

역량 패키지는 단일 역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트폴리오 패키지 디렉토리명은 'CompetenciesPortfolio’ 이다. 구성파일은 다음과 같다.
  • 매니페스트 파일- 'imsmanifest.xml'
  • 식별 인스턴스 파일- 'Identification.xml'
  • 역량 인스턴스 파일- 'programmingCompetencies.xml'
IMS KR 1004-3_6.6

그림 6.6 역량 포토폴리오 사례

7 구현

포트폴리오 시스템이라고 불리거나, 일부 e-포트폴리오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기존 시스템에서 구현할 경우에는 이 표준 문서에 정의된 요소를 기존 시스템의 데이터 요소와 기능에 맞추어 매핑해야 할 것이다. 기존 시스템에 대해 부분적으로 매핑한 것을 보여주는 다음의 사례는 Ufi learndirect (http://www.ufi.com/)을 참조하였다. 다음의 사례에서는 기존 시스템에 대한 포트폴리오 탑재/추출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7.1 learndirect e-포트폴리오 데이터를 IMS e-포트폴리오 표준에 매핑

이 사례는 learndirect e-포트폴리오 요소를 IMS e-포트폴리오 표준에 매핑한 것이다. 목적은 실제로 운용되는 주요 이러닝 환경에 대한 IMS e-포트폴리오 표준의 응용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함이다. 표 7.1 learndirect data 개체를 IMS e-포트폴리오 클래스에 맞게 매핑한 사례
learndirect 데이터 개체 IMS EP 클래스 상관관계 및 의견
개인용 노트북 엔트리 Reflexion 아래의 ‘organiser 엔트리’ 와 동일한 속성 매핑
organiser ‘폴더’ 엔트리 Reflexion Organiser 엔트리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폴더’에 저장된다. 그러한 폴더의 예로는 ‘나의 현 위치는?’, ‘목표는 무엇인가?’,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은?’, ‘개인 노트북’ 등이 있다. 이들은 rationale(배경) 속성으로 표현될 것이다. 엔트리의 heading 과 body 는 각각 <short> 혹은 <long>과 같은 Description 속성으로 표현될 것이다.
과정 노트 엔트리 Reflexion 위의 ‘organiser 엔트리’ 와 동일한 속성 매핑. 과정 등록을 나타내는 활동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됨
과정 등록 과정 이수 Activity learndirect LSE 에서는 ‘나의 학습 요약’으로 나타난다.
학습자의 학습활동 Activity learndirect LSE 에서는 ‘나의 학습 요약’으로 나타나며, 학습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증거자료 엔트리 (‘증거자료 관리’폴더와 ‘자격에 대한 증거자료’ 폴더) Reflexion 위의 ‘organiser 엔트리’ 와 동일한 속성 매핑. 수상 내역을 표시하는 QCL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 그 외에 해당 엔트리의 출처가 과정 노트(course note)라면 과정을 나타내는 활동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
수상 이력 등록 및 성과물수상 이력 등록 및 성과물 QCL (Qualification) QCL 객체는 이름, 수준, 수여 기관, 수상 일자, 수상 내역 등과 같은 특정 학습자의 성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Unit 등록 및 성과 내역 QCL (Qualification) Units 은 상의 일종이다. 상위 수상 이력 등록을 나타내는 QCL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
공모 및 unit 참여 및 수상 내역 관련 참조사항 Reflexion 수상 및 unit 성과 달성을 나타내는 QCL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 참여한 경험이나 수상한 내역 모두에 관해서 참조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참조사항의 저자는 그것을 입력한 학습 센터의 직원이 될 것이다.
‘나의 학습 계획’ 요소 Reflexion ‘나의 학습 계획’은 한 페이지로 보여질 수 있는 여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 ‘원하는 학습 분야’ ‘기존에 알고 있는 지식’ 등). 각 요소는 개별 성찰 기록으로 표현된다.
진척 정도 기록* Reflexion 과정 등록을 나타내는 활동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 기록의 주체는 진척 정도를 입력하는 강사가 될 것이지만, 학습자가 될 경우도 있다.
학습 성과 Competency 과정 등록을 나타내는 활동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 상태(Status)는 이미 달성되었거나 혹은 목표로 표현될 수 있다.
개인적 과정 학습 목표 Goal 과정 등록을 나타내는 활동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 상태(Status)는 이미 달성되렀거나 혹은 목표로 표현될 수 있다.
학습 성과 및 목표에 대한 의견/피드백 Reflexion 학습 성과/목표를 나타내는 역량/목표 객체에 관계 객체를 통해 링크 의견을 입력한 강사가 저자가 된다.
학습자 정보 Identification 학습자 이름 그 외 학습자 주소, 우편 번호, 고유 아이디 등도 포함될 수 있는데, learndirect 개인정보 방침에 따라, 이러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는 상황을 확인해야 한다.
첨부 Product 다수의 파일이 LSE 엔트리 (evidence, organizer, notebook 엔트리 등) 에 첨부될 수 있다. 첨부 형태는 워드 파일, 스프레드시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다양하다. 이들 파일은 e-포트폴리오 엔트리 (아래 참조)를 포함하는 콘텐츠 패키지에 들어가거나 extrefrecord 객체를 통해 참조될 수 있다.
 

7.1.1 바인딩 및 패키징

기록들은 IMS e-포트폴리오 XML 바인딩 가이드에 따라 XML 을 통해 바인딩 될 것이다. 기록들은 일반적으로 IMS e-포트폴리오 XML 바인딩 가이드에 설명된 바와 같이 IMS 콘텐츠 패키지의 형태로 반출되고 전송된다. 한 패키지에는 보통 한 개 이상의 포트폴리오 XML 인스턴스와 다수의 ‘ product’이 첨부파일로 포함된다. 주 :
  1. 여러 가지의 시나리오에 따라 정보를 상세하게 다루는 수준이 다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 본인의 성찰에 관련된 사항과 과정 수료 및 수상 내역 등을 기록해야 하는 경우에도, 학습 성과, 그에 대한 의견 등 세부 상세 정보까지는 요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어떤 경우에는 관련된 모든 정보를 요구하기도 한다.
  2. learndirect organizer 엔트리와 유사한 성찰 관련 기록을 다른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통해 탑재(import)하는 경우, 이들 기록은 learndirect organiser 과 같은 폴더(‘나의 현 위치는?’ ‘목적지는 어디인가?’ 등)에 분류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기록들은 선형 항목(linear entry)으로 탑재되어 엔트리 ‘유형’이 기록될 것이기 때문이다.
  3. 대부분의 learndirect 데이터는 현재 운영되는 시스템에 있다. 그 외 엔트리는 다음 개정본에 실릴 것이다. 상기 도표에는 *로 표시된다.
  4. 이 문서의 목적상, 학습자가 학습의 부분으로 완료한 과정 내 평가는 해당 과정에만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학습자가 교육 기관을 옮겨 다른 교육기관으로 e-포트폴리오를 전송하더라도 e-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함께 전송될 수 없다(수상 내역의 증거로서 필요한 경우는 제외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과정 내 평가와 강사 피드백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8 적합성

e-포트폴리오 표준에 적합하려면 e-포트폴리오를 호환 가능한 e-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추출, 탑재 가능 여부를 명시하여야 한다. 시스템에는 탑재만 가능한지, 추출만 가능한지, 아니면 모두 가능한지의 여부가 반드시 명시되어야 한다.

8.1 탑재(Import) 정의

탑재만 가능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1. IMS 콘텐츠 패키지 매니페스트 파일이 e-포트폴리오를 위해 작성되었음을 이해한다.
  2. ‘Identification’이라는 title 의 PortfolioPart 가 없는 포트폴리오 패키지는 무효한 것으로 거부한다. 즉, 다음과 같은 구조를 포함해야 한다.
<organization identifier = ‘[..]’
...
<item identifier = ‘[...]’>
<title>PortfolioParts</title>
<item identifier = ‘[...]’ identifierref = ‘[...]’>
<title>Identification</title>
</item>
</item>
...
</organization>
  1. 탑재된 포트폴리오 패키지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는 어떠한 형태로라도 저장 되고 사용자가 이용 가능하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정보의 의미를 해석할 수 없는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즉, 시스템은 이해하지 못하는 정보까지 모두 관리해야 한다).

8.2 추출(Export) 정의

추출만 가능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1. 포트폴리오 패키지는 e-포트폴리오를 위해 제작된 IMS 콘텐츠 패키지여야 하며 포트폴리오 패키지 매니페스트는 다음과 같은 구조이어야 한다.
<manifest xmlns = ‘http://www.imsglobal.org/xsd/imsportfoliocp_v1p0’
xmlns:xsi = 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 = ‘http://www.imsglobal.org/xsd/imsportfoliocp_v1p0
http://www.imsglobal.org/xsd/imsportfoliocp_v1p0/imsportfoliocp_v1p0.xsd’
 identifier = ‘[...]’ version = ‘1.0’>
<organizations default = ‘[...]’>
<organization identifier = ‘[...]’>
 ...
</organization>
 </organizations>
<resources>
...
</resources>
 </manifest>
  1. 포트폴리오는 반드시 한 개의 ‘Identification’ PortfolioPart 를 가져야만 한다. 이는 포트폴리오 패키지 매니페스트가 다음과 같은 구조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rganization identifier = ‘[..]’
 ... <item identifier = ‘[...]’>
<title>PortfolioParts</title>
 <item identifier = ‘[...]’ identifierref = ‘[...]’>
 <title>Identification</title>
 </item>
 </item>
 ...
</organization>

부속서 A (참고)

표준개발참여자</a>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연구책임자) 조용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팀장
(참여연구진) 김종현
계원예술대학
교수
김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정광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황대준
성균관대학교
교수
고영승
(주)디유넷
대리
이정우
(주)포씨소프트
차장
장근원
(주)크레듀
과장
정호원
(주)씨티유니온
차장
지승환
테크빌닷컴(주)
차장
최성기
SK C&C
과장
권영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원
신성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