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logo IMS 학습자정보 관리 -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발행일 2008년 00월 00일
최신 버전 IMS 학습자정보 관리 –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 1.0버전
이전 버전

1)IMS 지적재산권 웹 페이지 : http://www.imsglobal.org/ipr/imsipr_policyFinal.pdf
심의부회 :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원안작성 협력기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IMS Korea 표준화 포럼)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위 원 장) 황대준
성균관대학교
교수
(실무위원) 김성윤
(주)포씨소프트
이사
(실무위원) 김 현
(주)씨티유니온
과장
(실무위원) 유욱종
(주)다울소프트
부장
(실무위원) 조성현
테크빌닷컴(주)
부사장
(실무위원) 조용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팀장
(실무위원) 장근원
(주)크레듀
과장
(실무위원) 차남주
(주)디유넷
부사장
(실무위원) 최성기
SK C&C
과장
(자문위원) 권희춘
수원여대
교수
(자문위원) 김종현
계원예술대학
교수
(자문위원) 김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자문위원) 손진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자문위원) 정광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자문위원) 한태인
(주)메디오피아
부사장
(간 사) 신성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원

목 차

머 리 말

이 표준은 한국의 맞춤형 이러닝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학습자 정보의 공유 및 유통 체제 확립을 위해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이하 GLC)의 Learner Information Package 표준을 기초로 작성한 IMS Korea 단체표준이다. 이 표준은 한국의 문화적, 교육적, 언어적 특수성 등을 감안하여 현지화 등 확장을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또한 이 표준을 실제 구현할 때,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 록 필수와 선택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목적에 따라 선별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이 표준은 맞춤형 이러닝 서비스를 위한 학습자의 신상정보 표현 방법을 체계적으로 바인딩할 수 있도록 정의된 모델로서, 학습자의 이력, 목표, 성취도 기록 및 관리, 학습경험 유도, 학습자의 학습 기회 파악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IMS 학습자 정보 패키지는 학습관리시스템, 인적자원 관리시스템, 지식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들간 학습자 정보를 교환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 표준은 멀티파트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세가지 표준 문서로 구성된다.
  • Part 1 : 정보모델 (Information Model)
  • Part 2 : XML 바인딩(Binding)
  • Part 3 : 활용 사례 및 실행 가이드(Best practice & Implementation Guide)
이 표준은 저작권법에서 보호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다. 이 표준 문서의 표지에 있는 지적재산권 공 지 사항을 숙지할 것을 다시한번 강조한다. 참고로 이 표준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사이버가정학습 및 디지털 교과서 등과 같은 정책사업에 우선 적용 가능한 표준이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테스트를 서비스하고 있는 고등교육기관 및 직업훈력기 관에서도 적용 가능한 표준이다.

1. 적용범위

이 문서의 학습자정보 패키지는 학습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모델을 기반으로 다음에 열거된 사항을 수행한다.

  • 학습자의 이력, 목표, 성취도 기록 및 관리
  • 학습경험 유도
  • 학습자의 학습기회 파악

IMS 학습자정보 표준은 학습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학습관리시스템, 인적자원관리시스템, 학생정보시스템, 엔터프라이즈 이러닝시스템, 지식관리시스템, 이력서저장소, 기타 시스템 내의 학습자정보를 교환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 문서상에서는 상기의 시스템을 기능과 역할에 상관 없이 공통적으로 ‘학습정보시스템(learner information systems)’으로 명기할 것이다. IMS 학습자정보 패키지 표준은 학습자정보 또는 교환 트랜젝션 매커니즘(exchange transaction mechanism)의 요구사항을 다루지는 않는다.

2. 인용 표준

2.1 참조 표준

  • [ANSI, 98] : Student Educational Record (Transcript), ANSI ASC X.12
  • TS130 [CP, 00a] : IMS Content Packaging Information Model
  • [CP, 00b] : IMS Content Packaging XML Binding
  • [CP, 00c] : IMS Content Packaging Best Practice and Implementation Guide
  • [eduPerson, 01] : EduPerson 1.0 Specification
  • [Enterprise, 99a] : IMS Enterprise Information Model
  • [Enterprise, 99b] : IMS Enterprise XML Binding [Enterprise, 99c] : IMS
  • Enterprise Best Practice and Implementation Guide
  • [Gestalt, 00] : Gestalt: WP4 - Integrating IMS Enterprise
  • [Gestalt, 99] : Gestalt: WP5 - Object (Interfaces) Specification
  • [HR, 00a] : Resume DTD, HR-XML Consortium, June 2000, http://www.hr-xml.org/.
  • [HR, 00b] : Candidate DTD, HR-XML Consortium, June 2000, http://www.hr-xml.org/.
  • [LIP, 00a] : Profiles Interchange Requirement Specification
  • [LIP, 01a] : IMS Learner Information Package Information Model Final Specification
  • [LIP, 01b] : IMS Learner Information Package XML Binding Final Specification
  • [LIP, 01c] : IMS Learner Information Package Best Practices & Implementation Guide Final Specification
  • [MD, 99a] : IMS Meta-data Information Model
  • [MD, 99b] : IMS Meta-data XML Binding
  • [MD, 99c] : IMS Meta-data Best Practice and Implementation Guide
  • [QTI, 01] : IMS Question & Test Interoperability Information Model
  • [Saba, 00] : Profile Format: Design Specification
  • [SIF, 99] : Schools Interoperability Framework Preliminary Implementation Specifications
  • [vCard, 98] : The vCard v3.0 XML DTD

3. 용어정의

  • ANSI : 미 국립표준원(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CMA : 경력관리(Career Account Management)
  • CV : 이력서(Curriculum Vitae)
  • DTD : 문서유형 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
  • EDI : 전자데이터 상호교류(Electronic Data Interchange)
  • FE : 직업교육(Further Education)
  • GUI : 일반사용자 인터페이스(Generic User Interface)
  • GUID : 글로벌사용자 식별자(Global User Identifier)
  • HE : 고등교육(Higher Education)
  • HRMS : HR관리시스템(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 IEEE : 전기 및 전자 엔지니어 협회(Institute of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s)
  • JPEG : 전자영상부호화기술(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 LIP : 학습자정보 패키징(Learner Information Packaging)
  • LIQ : 학습자정보 조회(Learner Information Querying)
  • LIX : 학습자정보 교환(Learner Information Exchange)
  • LLL : 평생교육(Life-long Learning)
  • LOM : 학습객체 메타데이터(Learning Object Meta-data)
  • LTSC : 학습기술표준위원회(Learning Technology Standards Committee)
  • NVC : 국립인증센터(National Validation Center)
  • PAPI : 공개 및 비공개 정보(Public & Private Information)
  • QTI : 평가문항 상호운용성(Question & Test Interoperability)
  • SIF : 교육기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Schools Interoperability Framework)
  • UCAS : 대학입학서비스 협의회(University Council for Admissions Services)
  • UML : 통합모델링 언어(Unified Modelling Language)
  • URI : 통합리소스 식별자(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 XML : 확장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 ANSI : 미 국립표준원(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CMA : 경력관리(Career Account Management)

4. 총체적 데이터모델(Overall Data Model)

4.1 정보모델(Information Model)

LIP의 데이터모델은 그림 4.1과 같다 (LIP 정보모델[LIP, 01b]에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다).

IMS KR 1003-3_4.1

그림 4.1 IMS LIP 데이터모델

이 모델의 객체(object)및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정보(learnerinformation) : 11가지 핵심 학습자정보 클래스로 구성된다. 학습자정보를 기술하는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는 ‘contentype’ 클래스 내에 포함된다.
  • 식별(identification) : ‘식별’ 학습자정보에는 개인 또는 조직의 모든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 (예: 성명, 주소, 연락처, 대리인, 신상정보 등).
  • 접근성(accessibility) : ‘접근성’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의 인지적,기술적,물리적 학습기법의 선호도, 능력, 언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학습환경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의 역량을 의미한다.
  • 목표(goal) : ‘목표’ 학습자정보는 개인의 목표 및 열망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목표달성의 진전사항도 포함된다. 목표와 더불어 세부목표까지 기록될 수 있다.
  • 자격인증정보(qcl) : ‘자격인증정보’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인증, 자격증, 면허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학력 및 실무경험을 증명해주는 공식문서 등). 이 학습자정보는 인증기관에 대한 정보와 전자형태로 된 공식문서 등이 포함된다.
  • 활동(activity) : ‘활동’ 학습자정보는 교육/연수, 실무경험, 각종 공익활동(군경력, 커뮤니티봉사, 자원봉사 등)의 기록 및 증명서 (공식포상은 제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자가 이수한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과 평가결과가 기록된다.
  • 성적증명서(transcript) : ‘성적증명서’ 학습자정보에는 교육기관이 발행하는 성적표가 저장된다. 성적증명서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성취도를 평가한 기관에 의해 제공된다.
  • 역량(competency) : ‘역량’ 학습자정보에는 학습자가 습득한 기술(skill)이 기록된다. 이 기술(skill)들은 공식적/비공식적 연수 또는 실무경험 (‘활동’에 기록됨), 공식포상 (‘qcl’에 기록됨)과 연관이 된다. 역량 등급(competency level) 또한 기록된다.
  • 관심사(interest) : ‘관심사’ 학습자정보는 취미 및 기타 오락활동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공식포상 (‘qcl’에 기록됨)도 포함될 수 있다. 전자형태의 증명서류가 포함될 수 있다.
  • 그룹활동(affiliation) : ‘그룹활동’ 학습자정보에는 학습자의 그룹활동 (학급, 학습그룹 등)이 저장된다. 관련 그룹들에 대한 회원정보 (예: 교육 및 훈련 이수시기) 기재 등은 IMS ENTERPRISE 표준에 의해 지원된다.
  • 보안키(securitykey) : ‘보안키’ 학습자정보는 암호, 인증서, PIN, 본인확인키 등을 저장하는데 활용된다. 이들 키는 학습자와 관련 정보를 교환할 때 활용된다.
  • 상관관계(relationship) : ‘상관관계’ 학습자정보는 다른 핵심적 데이터구조 (예: ‚자격인증정보(qcl)와 발행기관)와의 상관관계를 저장할 때 활용된다. ‘상관관계’를 통해, 핵심 데이터구조 간의 상관관계 수립이 가능하다.
  • 콘텐츠유형(contentype) : 학습자정보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참고정보(referential), 시간정보(temporal), 프라이버시(privacy) 정보로 구성되며, 학습자정보의 ‘atomic’ 부분 각각에 적용이 가능하다.
  • 참고정보(referential) : 학습자정보와 학습자정보 기록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 요소(data component)를 찾는데 필요한 정보이다. 참고정보를 활용하여 관련된 정보를 모두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식별시스템(identification system)은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다.
  • 시간정보(temporal) : 정보와 관련된 시간을 기술하는데 활용되는 정보 (예: 발행일자/시간 등)이다. 일자/시간 기술방식은 ISO8601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 프라이버시(privacy) : 정보의 무결성과 프라이버시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프라이버시 정보를 지원하는 매커니즘과 아키텍처는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지만, 프라이버시 구조(privacy structure)를 통하여 학습자정보가 상호교환된다.

4.2 XML 스키마 수형도(XML Schema Tree)2

4.2.1 Core XML 스키마 수형도(Core XML Schema Tree)

핵심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2와 같다.

IMS KR 1003-3_4.2

그림 4.2 핵심 XML 스키마 수형도


2 본 문서의 XML 스키마 수형도는 Extensiblity Inc.가 생산한 XML Authority product에 의해서 생성되었다.

4.2.2 <identification> XML 스키마 수형도

식별(identification)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3과 같다.

IMS KR 1003-3_4.3

그림 4.3 <identification> XML 스키마 수형도

4.2.3 <goal> XML 스키마 수형도

목표(goal)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4와 같다.

IMS KR 1003-3_4.4

그림 4.4 <goal> XML 스키마 수형도

4.2.4 <qcl> XML 스키마 수형도

자격인증정보(qcl)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5와 같다.

IMS KR 1003-3_4.5

그림 4.5 <qcl> XML 스키마 수형도

4.2.5 <accessibility> XML 스키마 수형도

접근성(accessibility)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6과 같다.

IMS KR 1003-3_4.6

그림 4.6 <accessibility> XML 스키마 수형도

4.2.6 <activity> XML 스키마 수형도

활동(activity)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7과 같다.

IMS KR 1003-3_4.7

그림 4.7 <activity> XML 스키마 수형도

4.2.7 <competency> XML 스키마 수형도

역량(competency)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8과 같다.

IMS KR 1003-3_4.8

그림4.8 <competency> XML 스키마 수형도

4.2.8 <interest> XML 스키마 수형도

관심사(interest)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9와 같다.

IMS KR 1003-3_4.9

그림 4.9 <interest> XML 스키마 수형도

4.2.9 <transcript> XML 스키마 수형도

성적증명서(transcript)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10과 같다.

IMS KR 1003-3_4.10

그림4.10 <transcript> XML 스키마 수형도

4.2.10 <affiliation> XML 스키마 수형도

그룹활동(affiliation)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11과 같다.

IMS KR 1003-3_4.11

그림 4.11 <affiliation> XML 스키마 수형도

4.2.11 <securitykey> XML 스키마 수형도

보안키(securitykey)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12와 같다.

IMS KR 1003-3_4.12

그림 4.12 <securitykey> XML 스키마 수형도

4.2.12 <relationship> XML 스키마 수형도

상관관계(relationship) XML 스키마 수형도는 그림 4.13과 같다.

IMS KR 1003-3_4.13

그림 4.13 <relationship> XML 스키마 수형도

5. LIP 인스턴스 기초사례

기초 사례는 11가지 핵심 데이터구조를 따른다.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접근성(Accessibility) ― 언어(Language):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에 대한 정의 ― 선호도(Preference): 학습자의 인지적, 물리적, 기술적 학습기법의 선호도에 대한 정의
  • 활동(Activity) ― 학습활동 참조(Learning activity reference): 학습자료에 대한 외부 참조 매커니즘(external reference mechanism) ― 정의(Definition): 학습한 자료에 대한 정의 ― 산출물(Product): 학습자 스스로 개발한 학습자료 ― 추천서(Testimonial): 학습자의 역량을 증명해 줄 수 있는 기록 ― 평가(Evaluation): 평가결과
  • 그룹활동(Affiliation) – 전문 그룹 및 그룹 내에서 학습자가 수행하고 있는 역할
  • 역량(Competency) – 학습자의 역량
  • 목표(Goal) – 학습자의 목표 및 세부목표
  • 식별(Identification) ― (포맷화된) 성명: 학습자 성명 (포맷화됨) ― 성명: 학습자 성명 ― 주소: 학습자 주소 ― 연락처: 학습자 연락처 (전자방식) ― 신상정보: 학습자의 신상정보 ― 대리인: 학습자의 대리인
  • 관심사(Interest) – 학습자의 취미 및 오락활동
  • 자격인증정보(Qcl) – 학습자의 자격, 인증, 면허 현황
  • 상관관계(Relationship) – 학습자와 학습자의 식별, 접근성, 자격, 역량, 목표, 활동, 관심사, 성적증명서, 보안키, 그룹활동과의 관계도
  • 보안키(Securitykey) – 학습자의 보안정보
  • 성적증명서(Transcript) –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5.1 접근성 사례(Accessibility Examples)

5.1.1 접근성 언어 사례(Accessibility Language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독어’ 능력을 정의한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cessibil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1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cessibility>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cessibil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languag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Germa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languag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oficiency profmode="OralSpeak">Excellent</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OralComp">Excellent</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Read">Good</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Write">Poor</proficiency>
          </language>
      </accessibil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cs_lang_001/accs_lang_001.xml 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정보는 of ‘IMS_LIP_V1p0Example:basic_1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20째줄에 ‘독어’로 기록되어 있다.
  • 언어에 대한 구술, 독해, 작문 능력은 27-30째 줄에 각각 기록되어 있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언어사용의 숙련도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cessibil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1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cessibility>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cessibil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languag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panish</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language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oficiency profmode="OralSpeak">Poor</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OralComp">Poor</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Read">Good</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Write">Good</proficiency>
          </language>
      </accessibil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cs_lang_002/accs_lang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1001’ (lines 6 and 7)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전의 언어숙련도 사례를 따른다.
  • 동일한 접근성 기록(accessibility record)은 동일한 indexid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14째줄). 새로운 언어의 indexid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통해 새로운 언어가 추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 ‘language_02’ (21째줄 참조)).
  • 언어에 대한 구술, 독해, 작문 능력은 27-30째 줄에 각각 기록되어 있다

5.1.2 접근성 선호도 사례(Accessibility Preference Examples)

학습자의 입력 기술 선호도(input technology preferences)를 나타낸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cessibil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1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cessibility>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cessibil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eferenc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InputTech</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preferenc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efcode>Large Font Display Devices</prefcode>
          </preference>
      </accessibil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cs_pref_001/accs_pref_001.xml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1001’의 <sourcedid> 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선호도는 ‘Input Technology’로 표시된다 (20째줄).
  • 실질적 선호도는 27째줄에 기록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가 선호하는 또 다른 학습기법의 선호도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cessibil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1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cessibility>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cessibil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eferenc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ognitive</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preference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efcode>Exploratory</prefcode>
          </preference>
      </accessibil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cs_pref_001/accs_pref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1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 이전의 언어숙련도 사례를 따른다.
  • 동일한 접근성 기록(accessibility record)은 동일한 indexid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14째줄). 새로운 언어의 indexid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통해 새로운 언어가 추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 ‘language_02’ (21째줄 참조)).
  • 새로운 선호도 (인지적 유형)는 27째줄에 기록되어 있다.

5.2 활동사례(Activity Examples)

5.2.1 활동 Learningactivetyref 사례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학습활동(learningactivityref) 기록을 포함하는 활동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80:7</datetime>
          </date>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CreditNumbe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10</fielddata>
             </unitsfield>
          </units>
          <learningactivityref>
             <text>HNC in Mathematics</text>
          </learningactivityref>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lref_001/actv_lref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 <sourcedid> 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활동기록(콘텐츠)은 활동실시일자 (21-27째줄), 활동인증 (28-37째줄), 외부 참고자료 (38-40째줄)을 토대로 구성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또 다른 활동에 대한 기록을 생성하는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88:7</datetime>
          </date>
          <learningactivityref>
             <text>HND in Electronics</text>
          </learningactivityref>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lref_002/actv_lref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 이전의 학습활동 사례를 따른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활동기록(콘텐츠)은 활동실시일자 (21-27째줄), 외부 참고자료 (38-40째줄)을 토대로 구성된다.

5.2.2 활동 정의 사례(Activity Definition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활동(이수과정)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ourse</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DegreeCourse</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urriculum</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Year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Module</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Electronics_1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Lecture1</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BooleanLogic</fielddata>
                    </definitionfield>
                    <definition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Lecture2</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Transistors</fielddata>
                    </definitionfield>
                 </definition>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Module</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Maths_1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Lecture1</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BooleanLogic1</fielddata>
                    </definitionfield>
                    <definition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Lecture2</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BooleanLogic2</fielddata>
                    </definitionfield>
                 </definition>
             </definition>
          </definition>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defn_001/actv_defn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의 <sourcedid> 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전체 학습활동 기록은 21-96째줄에 기록된다. 이는 과정 첫 해에 교육되는 두 개의 모듈에 대한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이며,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은 26-30째줄에 기록된다. 첫 해의 커리큘럼에 대한 설명은 31-95째줄에 기록되며, 전자공학(electronics) 101(41-67째줄)과 수학(maths) 101(68-94째줄)의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공학(electronics) 모듈은 또 두 개의 강의 (Lecture 1 in Boolean Logic (51-58째줄)과 Lecture 2 in Transistors (59-66째줄))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수학(maths) 101도 두 개의 강의(Lecture 1 in Boolean Logic (lines 78-85째줄)과 Lecture 2 in Boolean Logic (lines 86-93째줄))로 이루어진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또 다른 교육과정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ourse</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DegreeCourse</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urriculum</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Year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Module</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Maths_2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Lecture1</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FourierTransform1</fielddata>
                    </definitionfield>
                    <definition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Lecture2</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FourierTransform2</fielddata>
                    </definitionfield>
                 </definition>
             </definition>
          </definition>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defn_002/actv_defn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 이전의 정의(definition) 사례를 따른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두 번째 해의 커리큘럼 정보가 1년차 커리큘럼 정보에 추가된다. 이 내용은 31-69째줄에 기록된다. 2개의 강의 (51-58째줄, 59-66째줄)로 구성된 하나의 모듈 (41-68째줄)로 이루어져 있다.

5.2.3 활동 산출물 사례(Activity Product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활동 산출물을 기록한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1980:7</datetime>
          </date>
          <produc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ours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produc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Thesis</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myfile/thesis.doc
                    </media>
                 </full>
             </description>
          </product>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prod_001/actv_prod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의 <sourcedid> 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이 기록은 다른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에 활용된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활동 산출물의 생성일자를 기록한다 (21-27째줄). 활동 산출물 자체에 대한 설명은 28-46째줄에 기록된다. 산출물 유형은 31째줄에 기록되고 색인 식별자(index identifier)는 33-37째줄에 기록된다. 학습자의 논문에 대한 기록은 38-45째줄에 있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또 다른 활동 산출물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1980:7</datetime>
          </date>
          <produc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xam</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product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Archived CBT Exam Paper</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assess/exam1.cbt
                    </media>
                 </full>
             </description>
          </product>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prod_002/actv_prod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 이전의 정의(definition) 사례를 따른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활동 산출물의 생성일자를 기록한다 (21-27째줄). 활동 산출물 자체에 대한 설명은 28-46째줄에 기록된다. 산출물 유형은 31째줄에 기록되고 색인 식별자(index identifier)는 33-37째줄에 기록된다. CBT 시험에 대한 기록은 38-45째줄에 있다.

5.2.4 활동 추천서 사례(Activity Testimonial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추천서 기록에 대한 사항을 기록한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80:7</datetime>
          </date>
          <testimoni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ademic</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testimonia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Tutors reference</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tutor/ref.doc
                    </media>
                 </full>
             </description>
          </testimonial>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test_001/actv_test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이 기록은 다른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에 활용된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추천서 기록 생성일자를 기록한다 (21-27째줄). 추천서 기록에 대한 설명은 28-46째줄에 기록된다. 추천서 유형은 31째줄에 기록되고 색인 식별자(index identifier)는 33-37째줄에 기록된다. 강사가 제출한 실제 추천서에 대한 기록은 38-45째줄에 있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또 다른 추천서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1980:7</datetime>
          </date>
          <testimoni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ademic</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testimonial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Head of Departments reference</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Base-64">
                        This is an outstanding student.
                    </media>
                 </full>
             </description>
          </testimonial>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test_002/actv_test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 이전의 추천서(testimonial) 사례를 따른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추천서 기록 생성일자를 기록한다 (21-27째줄). 추천서 기록 자체에 대한 설명은 28-46째줄에 기록된다. 추천서 유형은 31째줄에 기록되고 색인 식별자(index identifier)는 33-37째줄에 기록된다. 부서장(Head of Department)이 제출한 실제 추천서에 대한 기록은 38-46째줄에 있다 (이 내용은 XML 인스턴스에 포함되어 있다).

5.2.5 활동 평가 사례(Activity Evaluation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평가결과를 포함하는 활동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CreditNumbe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20</fielddata>
             </unitsfield>
          </units>
          <evaluation>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ExamBoard</source>
                        <id>12345</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result>
                 <interpret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MinimumSco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0</fielddata>
                 </interpretscore>
                 <interpret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MaximumSco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100</fielddata>
                 </interpretscore>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Sco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30</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Examples/Valid/Basic/actv_eval_001/actv_eval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이 기록은 다른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에 활용된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평가기록에는 각 활동에 할당된 단원의 수(21-30째줄), 평가 식별자 (32-39째줄), 실제 평가결과 (40-65째줄)가 포함된다. 평가결과는 평가에 대한 설명 (41-48째줄과 49-56째줄)과 실제 평가점수 (57-64째줄)의 두 가지 정보로 구성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동일한 학습자의 또 다른 평가기록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ctivit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2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valuation>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ExamBoard</source>
                        <id>12346</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result>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Sco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65</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ctv_eval_002/actv_eval_002.xml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2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 이전의 평가(evaluation) 사례를 따른다.
  • 활동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평가기록 (21-40째줄)에는 평가 식별자 (22-39째줄)와 실제 평가결과 (30-39째줄)가 포함된다. 평가결과는 실제 평가점수 (31-38째줄)로 구성된다.

5.3 그룹활동 사례(Afiliation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직업상 수행하는 그룹(professional affiliation)을 기록한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ffiliation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3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ffili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lassification>Member</classification>
          <affiliationid>2457923A</affiliationid>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s</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Join</tyvalue>
             </typename>
             <datetime>1992</datetime>
          </date>
          <statu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tive</tyvalue>
             </typename>
          </status>
          <description>
             <short>All fees paid</short>
          </description>
      </affili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ffl_002/affl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3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그룹의 유형은 ‘직업상 그룹(professional)’으로 기록된다 (14째줄).
  • 회원자격 분류, 회원번호, 조직명은 21, 22, 23째줄에 각각 기록된다.
  • 회원가입일자와 현 상황은 32-38, 39-44째줄에 각각 기록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그룹활동에서의 역할을 추가하는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Affiliation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3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ffili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rol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Officer</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ffiliation_rol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4:04:01</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95:03:31</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IEEE Local Chapter Treasurer</short>
             </description>
          </role>
      </affili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affl_003/affl_003.xml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Example:basic_3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and 7) – 이전의 그룹(affiliation) 사례를 따른다.
  • 동일한 그룹 식별자가 사용되며 (18째줄), 따라서 이번 트랜잭션은 업데이트된 트랜잭션임을 알 수 있다.
  • 역할정보는 21-48째줄에 기록된다. 역할 자체는 24째줄에 기록되며 관련된 역할의 시작일과 완료일은 31-44, 38-44째줄에 각각 기록된다. 요약내용은 45-47째줄에 기록된다.

5.4 역량사례(Competency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가 습득한 역량기록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Competenc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4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competency>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mpetenc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xrefrecord>
             <recformat uri="compformats/vocabulary.doc"/>
             <recdata uri="learner1/competency.doc"/>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98</datetime>
             </date>
          </exrefrecord>
          <description>
             <short>IT Competencies</short>
          </description>
      </competenc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comp_002/comp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4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학습자의 실제 역량은 역량의 포맷(18째줄)과 자료(materials)에 대한 외부 참조(19째줄)에 따라 정의된다. 수상일자 또한 저장되어 있다 (20-26째줄).

다음 단계는 다른 학습자의 역량을 기록한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Competenc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4002</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competency>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mpetenc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xrefrecord>
             <recformat uri="compformats/vocabulary.doc"/>
             <recdata uri="learner2/competency.doc"/>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98</datetime>
             </date>
          </exrefrecord>
          <description>
             <short>IT Competencies</short>
          </description>
      </competenc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comp_003/comp_003.xml파일에 저장되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4002’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학습자의 실제 역량은 역량의 포맷(18째줄)과 자료(materials)에 대한 외부 참조(19째줄)에 따라 정의된다. 수상일자 또한 저장되어 있다 (20-26째줄).

5.5 목표사례(Goal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목표를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a Goal.</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5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go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goa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2000:11:06</datetime>
          </date>
          <priority>Primary Objective</priority>
          <statu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tive</tyvalue>
             </typenam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ffective</tyvalue>
                 </typename>
                 <datetime>2000:11:06</datetime>
             </date>
          </status>
          <description>
             <short>Career Plan</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learner1/careerplan.doc
                 </media>
             </full>
          </description>
      </goal>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goal_002/goal_002.xml파일에 저장되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5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목표유형(type of goal)은 14째줄, 목표색인(index for the goal)은 18째줄에 기록된다.
  • 목표 우선순위는 28째줄, 목표의 달성상황은 29-41째줄에 기록된다. 달성상황은 ‘active’로 입력되고 입력일자는 32째줄에 기록된다.
  • 실제 목표는 42-49째줄에 기록되며 여기에는 참고자료로 텍스트파일이 포함된다. 텍스트파일은 실제 목표에 대한 구체적 내용으로 46째줄에 기록된다. 파일명에 디렉토리(‘learner1’)가 포함된다. – 이러한 방법을 통해 IMS 콘텐츠 패키징 표준을 활용하여 다중 인스턴스(multiple instance) 패키징이 가능하다.
다음은 이전 사례에서 작성된 목표에 세부목표를 추가시키는 단계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adding a sub-goal.</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5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go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goa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Update</tyvalue>
             </typename>
             <datetime>2000:11:07</datetime>
          </date>
          <go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goal_01_subgoa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2000:11:07</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Sub-goal for the goal that is the primary objective</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learner1/subgoal1.doc
                    </media>
                 </full>
             </description>
          </goal>
      </goal>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goal_003/goal_003.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5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이전 ‘목표’ 사례를 따른다. 동일한 목표 식별자(goal identifier)가 19째줄에 기록된다.
  • 세부목표 자체는 29-54째줄, 세부목표의 색인번호는 36째줄에 기록된다. 세부목표 텍스트는 49째줄에 정의되어 있는 것처럼 외부파일(external file)에 저장된다 (예: “learner1/subgoal1.doc”).
  • 트랜잭션 지침은 XML 인스턴스에 포함되지 않으며, IMS LIP 표준의 적용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5.6 식별사례(Identification Examples)

5.6.1 식별포맷명 사례(Identification Formatted Name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Frederick Williams의 포맷명을 기록한 것이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creating a formatted name.</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example_v1p0</source>
                 <id>basic_6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form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eferred</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formnam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ext>Frederick Williams</text>
          </formname>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fnme_001/iden_fnme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example_v1p0:basic_6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포맷명은 ‘Preferred name’으로 기록된다 (20째줄).
  • 포맷명 자체는 27째줄에 기록된다.
다음 단계는 Frederick Williams의 두 번째 포맷명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두 번째 포맷명은 그의 연락명칭(contact name) 으로 활용되고 있다. 사례에는 인스턴스 기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creating a formatted name.</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example_v1p0</source>
                 <id>basic_6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form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ontact</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formname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ext>Professor Frederick Calland Williams</text>
          </formname>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fnme_002/iden_fnme_002.xml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포맷명 사례(previous formatted name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identification> 식별자가 두 개의 사례에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는 구현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implementation dependent issue)(14째줄).
  • 새로운 포맷명이 쓰이는 경우에는 새로운 <indexid>를 추가한다. 예를 들어, 지난 번 사례에 ‘formname_01’이라고 기록하였다면, 이번 사례에는 ‘formname_02’ (24째줄)라고 기록한다.
  • 포맷명은 27째줄에 기록하고, 포맷명의 특성 (예: ‘Contact’ name)은 20째줄에 기록한다.

5.6.2 식별 명칭 사례(Identification Name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Alan Turing의 이름기록(name record)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creating a compound name.</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example_v1p0</source>
                 <id>basic_6002</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eferred</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nam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rst</tyvalue>
                 </typename>
                 <text>Alan</text>
             </partnam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Last</tyvalue>
                 </typename>
                <text>Turing</text>
             </partname>
          </name>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name_001/iden_name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example_v1p0:basic_6002’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이름은 ‘Preferred name’으로 정의된다. (20째줄).
  • 이름 자체는 32과 39째줄에 기록되며, 해당 유형은 30과 37째줄에 각각 정의된다.
다음 단계는 학습자 이름에 중간 이름(middle name)을 추가한다. 사례에는 인스턴스 기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creating a compound name.</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example_v1p0</source>
                 <id>basic_1002</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eferred</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nam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Middle</tyvalue>
                 </typename>
                 <text>Mathison</text>
             </partname>
          </name>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fnme_002/iden_fnme_002.xml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포맷명 사례(previous formatted name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identification> 식별자가 두 개의 사례에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는 구현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implementation dependent issue) (14째줄).
  • 동일한 <indexid>가 사용되면 동일한 명칭임을 알 수 있다 (예: ‘name_01’). 시스템 간에 실행되는 트랜잭션을 관련된 매커니즘은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다(예: 현재 데이터를 새로운 정보로 업데이트한다).
  • 새롭게 추가되는 이름 부분은 32째줄에 기록되고, 포맷명의 성격은 30째줄에 정의된다 (예: 중간이름(middle name)을 의미한다).

5.6.3 식별 주소 사례(Identification Address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주소를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an address in an 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6003</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addres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ivate</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ddress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street>
                 <nonfieldedstreetaddress>Towerview Apartment 3A, 34 Oxford St
                 </nonfieldedstreetaddress>
                 <complex>Towerview</complex>
                 <streetnumber>34</streetnumber>
                 <streetname>Oxford</streetname>
                 <streetype>Street</streetype>
                 <aptnumber>3</aptnumber>
                 <aptnumsuffix>A</aptnumsuffix>
             </street>
             <locality>West-end</locality>
             <city>London</city>
             <country>UK</country>
             <postcode>SE23 2RR</postcode>
             <timezone>GMT</timezone>
             <geo>
                 <lat>57.01.49N</lat>
                 <lon>00.00.00E</lon>
             </geo>
          </address>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addr_001/iden_addr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example_v1p0:basic_6003’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주소 유형은 20째줄에 기록된다 (예: ‘Private’ 주소).
  • 주소는 27-45째줄에 기록되며, 구체적인 사항은 거리(street)는 27-36째줄, 동(locality)은 37째줄, 시(city)는 38째줄, 국가(country)는 39째줄, 우편번호(postcode)는 40째줄, 시간대(time-zone)는 41째줄, 지역적 위치(geographic location)는 42-45째줄에 기록된다.
  • 구체적인 거리의 주소는 두 가지 형태로 기록되는데, non-field form은 28-29째줄에 compound form은 30-35째줄에 기록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두 번째 주소를 추가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an address in an 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6003</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addres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ddress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obox>PO236</pobox>
             <city>London</city>
             <country>UK</country>
             <postcode>SW3 4RQQ</postcode>
          </address>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addr_002/iden_addr_002.xml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포맷명 사례(previous formatted name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identification> 식별자가 두 개의 사례에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는 구현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implementation dependent issue)(14째줄).
  • 새로운 주소는 24째줄에 기록된 색인(index)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 새롭게 추가된 주소 식별자는 이전에 사용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 주소 자체는 27-30째줄에 기록된다.

5.6.4 식별 연락처 사례(Identification Contactinfo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연락처 정보를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contact information in an 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6004</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ontactinfo>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ntactinfo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elephone>
                 <countrycode>44</countrycode>
                 <areacode>020</areacode>
                 <indnumber>6472239</indnumber>
             </telephone>
          </contactinfo>
          <contactinfo>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ntactinfo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facsimile>
                 <countrycode>44</countrycode>
                 <areacode>020</areacode>
                 <indnumber>6472238</indnumber>
             </facsimile>
          </contactinfo>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cinf_001/iden_cinf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6004’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두 가지 유형의 연락처 정보가 제공된다 (예: 전화번호 (27-31째줄), 팩스 (43-47째줄)). 연락처 정보의 유형은 20과 36째줄에 각각 명시되며, 식별자는 24와 40째줄에 각각 기록된다.
  • 전화번호와 팩스번호는 국가코드, 지역코드, 전화/팩스 번호로 구성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연락처 정보를 추가한다(예: 이메일 주소).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contact information in an 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6004</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ontactinfo>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ntactinfo_03</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mail>enquiries@work.com</email>
          </contactinfo>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cinf_002/iden_cinf_002.xml 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연락처 정보명 사례(previous contact information name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identification> 식별자가 두 개의 사례에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는 실행방법구현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implementation dependent issue)(14째줄).
  • 새로운 이메일 주소는 27째줄, 새로운 정보는 24째줄과 같이 고유의 식별자를 갖는다.

5.6.5 식별 신상정보 사례(Identification Demographics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신상정보를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demographics in an 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6005</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mographic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dult</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demographics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gender gender="M"/>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Birth</tyvalue>
                 </typename>
                 <datetime>1901:04:01</datetime>
             </date>
             <placeofbirth>Boston, Massacheusettes</placeofbirth>
             <uid>09234789A</uid>
          </demographics>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demg_001/iden_demo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6005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신상정보 유형은 20째줄, 구조 식별자(structure identifier)는 24째줄에 기록되어 있다.
  • 신상정보에는 성별 (27째줄), 생년월일 (28-34째줄), 출생지 (35째줄), 사용자 식별자 (36째줄)를 포함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신상정보를 추가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demographics in an 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6005</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mographic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dult</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demographics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represent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hoto</tyvalue>
                 </typenam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1940</datetime>
                 </date>
                 <description>
                    <full>
                        <media mediamode="Image" mimetype="image/gif" contentreftype="uri">
                           photo/photo.gif
                        </media>
                    </full>
                 </description>
             </representation>
          </demographics>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demg_002/iden_demo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연락처 정보명 사례(previous contact information name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identification> 식별자가 두 개의 사례에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implementation dependent issue)(14째줄).
  • 사진과 같은 새로운 신상정보가 추가된다. 대표유형(type of representation)은 30째줄, 생성일자는 32-38째줄, 실제 사진에 대한 외부참조는 28-31째줄에 기록된다. 실질적인 미디어 참조(media reference)는 39-45째줄에 기록된다.

5.6.6 식별 대리인 사례(Identification Agent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대리인 정보를 기록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5
   37
   38
   39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agent in an 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6006</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agen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ponsor</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gen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agentid>SYLEA98_01137</agentid>
             <agentdomai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ancial</tyvalue>
                 </typename>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Local Government Grant</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agnt_001/iden_agnt_001.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6006’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대리인의 유형과 해당 도메인(domain)이 18, 26째줄, 구조 식별자(structure identifier)는 14째줄에 기록되어 있다.
  • 대리인이란 학습자의 후원자를 말하며, 대리인의 공식적 외부 식별자(external identifier)는 24째줄에 기록된다. – 이 식별자의 특징(nature)은 실제 대리인에 의해서 결정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새로운 대리인의 정보를 추가하는 것에 관한 내용으로,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agent in an 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6006</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agen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Tutor</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gent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agentid>UniversityStaffNumber</agentid>
             <agentdomai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al</tyvalue>
                 </typename>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University Academic Tutor</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den_agnt_002/iden_agnt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연락처 정보명 사례(previous contact information name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identification> 식별자가 두 개의 사례에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는 실행방법구현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implementation dependent issue)(14째줄).
  • 대리인과 해당 도메인의 유형은 20, 31째줄에 각각 기록된다.
  • 대리인이란 학습자의 후원자를 말하며, 대리인의 공식적 외부 식별자(external identifier)는 24째줄에 기록된다. – 이 식별자의 특징(nature)은 실제 대리인에 의해서 결정된다.

5.7 관심사 사례(Interest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관심사에 관한 기록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Interest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7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nteres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Recreat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nterest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oduc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ortfolio</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produc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2000</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A picture of the garden</short>
                 <full>
                    <media mediamode="Image" mimetype="image/gif" contentreftype="uri">
                        myfile/garden.gif
                    </media>
                 </full>
             </description>
          </product>
      </interest>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ntt_002/intt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7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관심사 기록 유형은 14째줄, 식별자는 19째줄에 기록되어 있다.
  • 관심사의 실질적 산출물, 즉 사례에서는 정원의 사진,에 대한 정보(39-46째줄 )와 함께 사진을 찍은 날짜도 32-38째줄에 기록되어 있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관심사에 내용을 추가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Interest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7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nteres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Recreat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nterest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oduc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ortfolio</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product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1999</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Another picture of the garden</short>
                 <full>
                    <media mediamode="Image" mimetype="image/gif" contentreftype="uri">
                        myfile/garden1.gif
                    </media>
                 </full>
             </description>
          </product>
      </interest>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intt_003/intt_003.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연락처 정보명 사례(previous contact information name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관심사 기록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하되 (19째줄), 새로운 산출물을 추가할 때는 다른 식별자를 사용해야 한다 (29째줄).
  • 관심사에 관한 새로운 자료 (새로운 사진 등)가 추가될 수 있으며 (39-46째줄), 사진을 찍은 날짜 정보 또한 기록되어 있다(32-38째줄).

5.8 자격인증정보(Qcl) 사례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새로운 택시면허에 관한 기록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learnerinformation>
      <comment> A basic example of a QCL.</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8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qc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Licence</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qc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itle>Taxi Driver Licence</title>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Government</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New York State</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registrationno>24785NY</registrationno>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6:09:01</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xpiry</tyvalue>
             </typename>
             <datetime>2001:08:31</datetime>
          </date>
      </qcl>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qcln_002/qcln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8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자격면허인증(Qcl)은 면허증으로 기록된다 (14째줄).
  • 면허증에 관한 핵심정보에는 제목 (21째줄), 발행기관 (22-30째줄), 등록번호 (31째줄), 시작일 (32-38째줄), 만료일 (39-44째줄)이 포함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새로운 인증(certification)을 추가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learnerinformation>
      <comment> A basic example of a QCL.</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8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qc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ertifi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qcl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itle>Taxi Maintenance</title>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Training</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Taxi Training Institute</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registrationno>TTI_23498</registrationno>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98:011</datetime>
          </date>
      </qcl>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qcln_003/qcln_003.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자격인증정보 사례(previous qcl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 새로운 자격인증정보(qcl)은 18째줄에 기록된 색인(index)에 의해 파악된다 (예: 이 자격인증정보 식별자(qcl identifier)는 이전에 사용된 것이어서는 안 된다).
  • 교육과정 이수증 (14째줄) 정보에는 교육과정 제목 (21째줄), 수여기관 (22-30째줄), 이수증 등록번호 (31째줄), 수여일자 (32-38째줄)이 포함된다.

5.9 상관관계 사례(Relationship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자격인증정보(qcl)와 활동(activities) 간의 관계에 관한 기록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a Relationship.</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9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relationship>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Qc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relationship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uple>
             <tuplesource>
                 <indexid>qcl_213</indexid>
             </tuplesource>
             <tuplerelation>
                 <typename>
                    <tyvalue>resultsfrom</tyvalue>
                 </typename>
             </tuplerelation>
             <tupledest>
                 <indexid>activity_21</indexid>
             </tupledest>
             <tupledest>
                 <indexid>activity_22</indexid>
             </tupledest>
          </tuple>
          <description>
             <short>The qualification results from the two activities</short>
          </description>
      </relationship>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rltp_002/rltp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9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관계의 유형은 자격인증정보(qcl) 로서 정의되며 (14째줄), 고유의 데이터구조(data structure)는 19째줄에 기록되어 있다.
  • 관계의 소스(source)에는 자격인증정보(qcl) (23-25째줄), 관계의 유형 (26-30째줄), 두 가지의 대상 구조(destination structure)(31-33째줄)가 기록된다. 구조에 관한 간략한 설명은 34-36째줄에 기록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새로운 관계(relationship)를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learnerinformation>
      <comment>A basic example of a Relationship.</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basic_9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relationship>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relationship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uple>
             <tuplesource>
                 <sourcedid>
                    <source>SOURCE1</source>
                    <id>6294UoD</id>
                 </sourcedid>
                 <indexid/>
             </tuplesource>
             <tuplerelation>
                 <typename>
                    <tyvalue>equivalent</tyvalue>
                 </typename>
             </tuplerelation>
             <tupledest>
                 <sourcedid>
                    <source>SOURCE2</source>
                    <id>UserOrg22</id>
                 </sourcedid>
                 <indexid/>
             </tupledest>
          </tuple>
          <description>
             <short>These two sourcedids refer to the same learner</short>
          </description>
      </relationship>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rltp_002/rltp_003.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관계 사례(previous relationship example)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 새로운 관계는 14째줄에 기록된 색인(index)에 의해서 식별되며, 그 유형은 28째줄에 기록된다.
  • 관계의 핵심(core of the relationship)은 서로 다른 sourcedid가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equivalent) 보여준다 (18-38째줄).

5.10 보안키 사례(Securitykey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새로운 보안키 기록을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Securityke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10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securityke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assword</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securityke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keyfields>
             <fieldlabel>
                 <typename>
                    <tyvalue>Password</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1fotcn</fielddata>
          </keyfields>
      </securityke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Examples/Valid/Basic/skey_002/skey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10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보안키 정보 유형은 14째줄, 관련 식별자는 19째줄에 기록된다.
  • 실제 사용되는 암호는 29째줄, 관련 필드명은 24-28째줄에 기록된다.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PIN번호를 저장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Securitykey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10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securityke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I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securitykey_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keyfields>
             <fieldlabel>
                 <typename>
                    <tyvalue>PhotoCopyCard</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5760</fielddata>
          </keyfields>
      </securityke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skey_003/skey_003.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10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6-7째줄). 이는 이전의 보안키 사례와 동일하다.
  • 보안키 정보 유형은 14째줄, 관련 식별자는 19째줄에 기록된다. 이 식별자는 이전의 사례와 다르다.
  • 실제로 사용되는 암호는 28째줄, 관련 필드명은 23-27째줄에 기록된다.

5.11 성적증명서 사례(Securitykey Examples)

아래의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성적표를 생성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Transcript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11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transcrip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Vocat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transcrip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xrefrecord>
             <recformat>MSWord98</recformat>
             <recdata uri="employee1/reference.doc"/>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1999:10:31</datetime>
             </date>
          </exrefrecord>
          <description>
             <short>Line manager employment transcript on the learner</short>
          </description>
      </transcript>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trns_002/trns_002.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핵심기록은 ‘IMS_LIP_V1p0_Example:basic_11001’의 <sourcedid>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6-7째줄), 학습자정보에 대한 추가적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 성적증명서 유형은 14째줄, 식별자는 19째줄에 기록된다.
  • 실제 성적증명서는 포맷(23째줄)과 자료(material)에 대한 외부 참조에 의해 정의된다(24째줄). 성적증명서 생성일자 역시 저장되어 있다(25-31째줄).
다음 단계는 동일한 학습자의 또 다른 성적증명서를 추가한다. 인스턴스 기록(instance record)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IMS LIP 정보를 포함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of LIP Transcript inform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11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transcrip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Vocat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transcript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xrefrecord>
             <recformat>PDF</recformat>
             <recdata uri="employee1/reference1.pdf"/>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2000:10:31</datetime>
             </date>
          </exrefrecord>
      </transcript>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Basic/trns_003/trns_003.xml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전의 성적증명서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sourcedid>가 사용되어야 한다 (6-7째줄). 성적증명서에 사용된 새로운 식별자는 19째줄, 성적증명서 유형은 14째줄에 기록된다.
  • 실제 성적증명서는 포맷(23째줄)과 자료(material)에 대한 외부 참조에 의해 정의된다(24째줄). 성적증명서 생성일자 역시 저장되어 있다(25-31째줄).

[1] ANSI TS 130의 ‘성적증명서’에 관한 정의는 IMS LIP의 핵심 데이터구조의 정의에 비해서 보다 형식적이다. IMS LIP 인스턴스 생성시 TX 130 성적증명서를 참고할 수 있다. [2] 이 문서에 나타난 XML 스키마 수형도는 Extensibility Inc.의 XML Authority product 에 의해서 생성된 것이다.

6 LIP 인스턴스 사례 (고급)

6.1 이력서(Resume)

다음은 LIP-XML기반의 이력서 작성 사례이다.

6.1.1 사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Colin Smythe (BSc, PhD, FBCS, C.Eng) 이력서 개인정보 연락처: 34 Acorn Hill, Stannington, Sheffield, S6 6AW 전화/팩스: +(44)-114-2334009 이메일주소: colin@dunelem.com 생년월일: 1958년 2월 18일 국적: 영국 학력: 1982-1985, Durham대학 커뮤니케이션 박사 1976-1979, Durham 대학 응용물리학 BSc (Hons) 대외활동: 영국 컴퓨터협회(British Computer Society) 연구원 (1998) Member IEEE and Member ACM, Chartered Engineer (1998) IT 경력: 20년 주요 경력 네트워크 컨설팅 (데이터 네트워킹 및 인터네트워킹) 표준 및 표준 개발 프로젝트 관리 (inc. European projects) – 10년 제안서 기획 및 입찰 – 5년 컴퓨터 시스템 실행 (inc. C) – 20년 IT 교육 (데이터 네트워킹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 10년 주요 경력 세부사항 1989 6현재 Dunelm Services Limited Dunelm Systems Limited의 공동창립자이자 이사. Dunelm은 정보통신기술(ICT)에 대한 컨설팅 및 실행기술, 데이터 네트워킹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부문의 IT교육을 제공하는 전문업체이다. 책임 실적 분배학습표준(Distributed Learning Specification) (1999년 2개월간): IMS 평가문항 상호운용성, 학습자정보 패키징 표준의 저술 및 편집 RENAISSANCE 프로젝트 (ACTS AC100) (1995-1998, 30개월간): Pan-European demonstrator 에 사용되는 CBT자료 (inc. HTML) 개발 1992 8 – 1999 10 Sheffield 대학 컴퓨터 공학부 (26명의 교수, 2명의 EPSRC 수석연구원, 7명의 엔지니어링 기사, 7명의 비서, 35명의 연구조교, 55명의 PhD/MPhil 연구학생, 350명의 학부학생, 60명의 MRes/MSc 대학원생) 소속 책임 실적 컴퓨터 공학부 교수 (1997-1999). 커뮤니케이션 및 분산시스템 연구소장 (CDSRG: 40명의 직원 및 연구학생으로 구성) 컴퓨터 공학부 부장 (1994-1998). 재직 시, Sheffiedl 대학의 컴퓨터 공학부를 영국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인 학부로 성장시킴 저술활동 – Internetworking – Designing the Right Architectures, Addison-Wesley Longmans, 1995년, p.451, ISBN 0-201-56536-6 1985 7 – 1989 5 Hyperion Systems Limited Hyperion Systems Ltd의 공동창립자이자 이사. Hyperion Systems Limited는 컴퓨팅 및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업체이다. 재직 기간동안, 전무이사(Managing Director), 마케팅 이사(Marketing Director), 비서실, 수석 컨설턴트로 활동 1986 1 – 1992 7 Surrey 대학 전기전자 엔지니어링학부 강사 (Data Communications) 1982 2 – 1985 12 Durham 대학 응용물리 및 전자학부 강사 (Digital Electronics). 박사학위 (Direct Sequent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Local Area Networks) 취득 1979 10 – 1982 2 Logica Limited 책임 실적 OSI/RM 기반의 아키텍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수석 설계자 (팀장 (3명으로 구성됨) Westland Helicopters의 EH101 헬리콥터 캐빈 시뮬레이션을 생산하는 팀을 이끔 (30명으로 구성됨)

6.1.2 XML 인스턴스(XML Instance)

상기 이력서에 해당하는 XML 인스턴스이다 (아래의 것은 가능한 매핑 중 한 가지 인스턴스만을 나열한 것이다. 실제 양식(actual form)은 여러 요소(공백 최소화(minimize space), 연속적 분석(sequential parsing) 의해서 결정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learnerinformation>
      <comment>An example Engineering Resume.</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colinsmythe</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eferred</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nam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rst</tyvalue>
                 </typename>
                 <text>Colin</text>
             </partnam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Last</tyvalue>
                 </typename>
                 <text>Smythe</text>
             </partnam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uffix</tyvalue>
                 </typename>
                 <text>BSc, PhD, FBCS, C.Eng</text>
             </partname>
          </name>
          <addres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ddress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street>
                 <streetnumber>34</streetnumber>
                 <streetname>Acorn Hill</streetname>
             </street>
             <locality>Stannington</locality>
             <city>Sheffield</city>
             <postcode>S66AW</postcode>
          </address>
          <contactinfo>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ntac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elephone>
                    <countrycode>44</countrycode>
                    <areacode>0114</areacode>
                    <indnumber>2334009</indnumber>
                 </telephone>
          </contactinfo>
          <contactinfo>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ntact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facsimile>
                    <countrycode>44</countrycode>
                    <areacode>0114</areacode>
                    <indnumber>2334009</indnumber>
                 </facsimile>
          </contactinfo>
          <contactinfo>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ntact_03</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mail>colin@dunelm.com</email>
          </contactinfo>
          <demographic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dult</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demographics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Birth</tyvalue>
             </typename>
                 <datetime>1958:02:18</datetime>
             </date>
          </demographics>
          <ext_identification>
             <fieldlabel>
                 <typename>
                    <tyvalue>Nationali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British</fielddata>
          </ext_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qc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Qualifi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qc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itle>PhD in Communications</title>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al</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University of Durham</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82</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85</datetime>
          </date>
      </qcl>
      <qc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Qualifi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qcl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itle>BSc in Applied Physics</title>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al</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University of Durham</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level>
             <text>Honours</text>
          </level>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76</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79</datetime>
          </date>
      </qcl>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ffili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lassification>Fellow</classification>
          <rol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Member</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rol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8</datetime>
             </date>
          </role>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British Computer Society</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affiliation>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ffiliation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lassification>Member</classification>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IEEE</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affiliation>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ffiliation_03</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lassification>Member</classification>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ACM</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affiliation>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ffiliation_04</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lassification>Chartered Engineer</classification>
          <rol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Member</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role_04</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8</datetime>
             </date>
          </role>
      </affiliation>
      <transcrip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transcrip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Primary Skills</short>
             <long>
                 Networks consultancy (Data networking and internetworking) - Ten years
                 Standards and specification development - Five years
                 Project management (inc. European projects)    Ten years
                 Proposal tendering and writing (inc. European projects) - Fifteen years
                 Computer systems implementation (inc. C) - Twenty years
                 IT training (Data networking and software engineering) - Ten years
             </long>
          </description>
      </transcript>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8:06</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Dunelm Services Limited</short>
             <long>
                 Co-founder and Director of Dunelm Systems Ltd.  Dunelm specialises in
                 providing: consultancy and implementation skill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and IT training in Data Networking and
                 Software Engineering.
             </long>
          </description>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1_subactiv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9</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DISTRIBUTED LEARNING SPECIFICATIONS(24 months)</short>
                 <long>
                    Responsible for the editing and authoring of the IMS Question
                    and Test Interoperability, and the Learner Information Packaging
                    Specifications.
                 </long>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1_subactivity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5</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98</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RENAISSANCE Project - ACTS AC100 (30 months)</short>
                 <long>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CBT materials (inc. HTML)
                    used on a Pan-European demonstrator.
                 </long>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2:08</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99:10</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University of Sheffield</short>
             <long>
                 A member of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which consists of
                 26 full-time academics, 2 EPSRC Advanced Research Fellows, 7
                 technical staff, 7 secretaries, 35 research assistants, 55
                 PhD/MPhil research students, 350 undergraduates and 60 MRes/MSc
                 postgraduates.
             </long>
          </description>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2_subactiv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7</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99</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Full Professor of Computer Science</short>
                 <long>
                    Head of the Communications and Distributed Systems Research
                    Group (CDSRG), a team of 40 staff and research students.
                 </long>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2_subactivity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4</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98</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Head of Department</short>
                 <long>
                    During that period the Department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most rapidly improving Computer Science departments in the UK.
                 </long>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2_subactivity_03</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95</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Author</short>
                 <long>
                    Internetworking - Designing the Right Architectures, Addison-
                    Wesley Longmans, p.471, ISBN 0-201-56536-6.
                 </long>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3</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85:07</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89:05</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Hyperion Systems Limited</short>
             <long>
                 Co-founder and Director of Hyperion Systems Ltd, a systems house
                 specialising in the provision of Computing and Communication services.
                 Roles adopted during this period were those of Managing Director,
   Marketing Director, Company Secretary and Principal Consultant.
             </long>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4</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86:01</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92:07</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University of Surrey</short>
             <long>
                 Lecturer in Data Communications within the Departmen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long>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5</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82:02</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85:12</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University of Durham</short>
             <long>
                 Lecturer in Digital Electronics within the department of Applied
                 Physics and Electronics. Studied PhD entitled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Local Area Networks.
             </long>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06</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79:10</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82:02</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Logica Limited</short>
          </description>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6_subactiv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Senior designer for the communications software of an OSI/RM
                    based architecture.  Responsible for a three man team.
                 </short>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6_subactivity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
                    Member of a 30 person team producing a cabin simulation of the
                    EH101 helicopter for Westland Helicopters.
                 </short>
             </description>
          </activity>
      </activity>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Advanced/engresume_001/engresume_001.xml에 저장되어 있다.

6.1.3 이력서 작성사례의 주요 특징

이 사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의 sourcedid는 3-10째줄의 <contentype> 요소에 정의된다.
  • CV(1째줄)의 이름은 XML 인스턴스에 ‘이름(name)’으로 정의된다 (17-48째줄). ‘BSc, PhD…’는 부분이름(partname)의 접미사로 정의된다 (41-47째줄).
  • CV의 연락주소 (4째줄)은 XML 인스턴스의 주소 요소(address element)에 포함된다 (49-66째줄).
  • CV의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정보 (5-6째줄)는 XML 인스턴스의 <contactinfo> 요소에 정의된다.(67-110째줄) 모든 연락정보는 업무(Work)와 관련된 정보로 기록된다. (70, 86, 102째줄). 전화번호는 77-81째줄, 팩스번호는 93-97째줄, 이메일 주소는 109째줄에 기록된다.
  • CV의 생년월일 (7째줄)은 XML 인스턴스의 <demographics> 정보에 기록된다 (111-128째줄).
  • CV의 국적 정보 (8째줄)는 XML 인스턴스의 식별 요소(identification element)에 기록된다 (129-136째줄).
  • CV의 학력 정보 (9째줄)는 XML 인스턴스의 <qcl> 정보에 기록된다 (138-210째줄). PhD 정보는 138-172째줄에 기록되며, 관련된 취득일자 (158-171째줄), 제목 (148째줄), 수여기관 (113-118째줄) 등이 이에 포함된다. 학위 정보는 171-210째줄에 기록되며, 취득일자 (196-209째줄), 제목 (183째줄), 수여기관 (184-192째줄)이 포함된다.
  • CV의 그룹활동 정보 (10-11째줄)는 XML 인스턴스의 <affiliation> 요소에 기록된다 (211-320째줄). 영국 컴퓨터협회(British Computer Society)는 211-248째줄에 기록되며, 관련된 분류정보(classification)(221째줄)와 날짜정보(date)(231-237째줄)가 여기에 포함된다. ‘IEEE’와 ‘ACM’은 249-269째줄, 270-290째줄에 각각 기록된다. 각 경우에 있어서, 관련된 역할 및 날짜정보가 없기 때문에, 그룹의 분류 정보만 기록된다. ‘Chartered Engineer’ 정보는 291-320째줄에 저장되고 분류 (301째줄), 활동일자 (317-318째줄) 등이 포함된다.
  • CV의 ‘경력…’ 정보 (12째줄)은 XML 인스턴스에 포함되지 않는다.
  • CV의 ‘주요 기술(Primary Skills)’(13-19째줄) 정보는 XML 인스턴스의 <transcript> element에 기록된다 (321-338째줄). 이들 정보는 <description> element에 포함된다 (240-247째줄).
  • CV의 ‘주요경력 세부사항’ (20-58째줄)은 계층적으로 관련된 활동(hierarchically related activity)으로서 XML 인스턴스에 포함된다 (339-708째줄). 각각의 최상위 활동은 <activity> 요소에 계층적으로 정의된다.
  • ‘Dunelm Services Limited’ 업무경력 (CV 22-30째줄)은 339-423째줄에 정의된다. 핵심정보는 관련<activity> 설명(description) (356-364째줄), 날짜(date) (349-355째줄)에 기록된다. 두 가지의 ‘책임 및 실적’ (CV 26-30째줄)은 XML 인스턴스의 하위활동(sub-activity)에 포함된다 (365-390째줄, 391-422째줄). 각각의 활동에 대하여 날짜(dates) 및 설명(descriptions)이 포함된다.
  • ‘University of Sheffield’의 경력 (CV 33-42째줄)은 424-547째줄에 정의된다. 핵심정보는 관련 <activity> 설명(description) (448-457째줄), 날짜(date) (434-447째줄)에 기록된다. 세 가지의 ‘책임 및 실적’ (CV 38-42째줄)은 XML 인스턴스의 하위활동(sub-activity)에 포함된다 (458-489, 490-521, 522-546째줄). 각각의 활동에 대하여 날짜(dates) 및 설명(descriptions)이 포함된다.
  • ‘Hyperion Systems Limited’의 경력 (CV 43-46째줄)은 548-582째줄에 정의된다. 핵심정보는 관련 <activity> 설명(description) (573-581째줄), 날짜(date) (558-572째줄)에 기록된다.
  • ‘University of Surrey’의 경력 (CV 48-49째줄)은 583-614째줄에 기록된다. 핵심정보는 관련 <activity> 설명(description) (607-613째줄), 날짜(date) (593-606째줄)에 기록된다.
  • ‘University of Durham’ 경력 (CV 50-53째줄)은 615-647째줄에 기록된다. 핵심정보는 관련 <activity> 설명(description) (625-638째줄), 날짜(date) (639-646째줄)에 기록된다.
  • ‘Logica Limited’ 경력 (CV 54-58째줄)은 648-708째줄에 기록된다. 핵심정보는 관련 <activity> 설명(description) (672-674째줄), 날짜(date) (658-671째줄)에 기록된다. 두 가지의 ‘책임 및 실적’ (CV 56-58째줄)은 XML 인스턴스의 하위활동(sub-activity)에 포함된다 (675-690, 691-707째줄). 각각의 활동에 대하여 날짜(dates) 및 설명(descriptions)이 포함된다.

6.2 FEFC 기금융자 기록 교환(FEFC Funding Records Exchange)

6.2.1 사례

영국의 평생교육기금협의회(Furt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EFC)는 개인별 학생기록부(Individualised Student Record: ISR)의 교환을 지원하기 위하여 IMS LIP표준을 검토하고 있다. 개인별 학생기록부(Individualised Student Record: ISR)를 통해 특정대학의 수강학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고, 수강학생에 따라 FEFC는 기금의 규모를 결정한다. 개인별 학생기록부(Individualised Student Record: ISR)의 구조(structure)는 표 6.1과 같다. S

표 6.1 IMS LIP에 대한 ISR 대응표(mapping)

필드 번호

필드 명

IMS LIP 데이터구조

S01

학생 데이터세트 참조(Student Data Set Reference)

<identification><contentype>

S02

학생의 성(Student surname/family name)

<identification><name>

S03

학생 이름 약자(Student initials)

<identification><name>

S04

생년월일(Date of birth)

<identification><demographics><date>

S05

성별(Sex)

<identification><demographics><gender>

S06

자택 우편번호(Home postcode)

<identification><address><postcode>

S07

거주국(Country of domicile)

<identification><address><country>

S08

인종(Ethnicity)

<identification><ext_identification>

S09

학습의 어려운 점/ 장애(Learning diffilulties and/or disabilities)

<accessibility><disability><ext_disability>

S10A

추가적인 지원비(Additional support cost)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11

추가적인 지원 평가(Additional support assessment)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12

목적(Destination)

<activity><status>

S14A

연간비용 지표(Annual fees indicator)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14B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학비(Amount of tuition fees received or excepted for the student)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15

학비를 부분적으로 받거나 전혀 받지 못하는 이유(Reason for partial or full non-payment of tuition fees)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16

학비의 주요 공급원(Major source of tuition fees)

<identification><agent>

S17

조직 관련 데이터 1(Institution-specified data 1)

<learnerinformation><ext_learnerinfo>

S18

조직 관련 데이터 2(Institution-specified data 2)

<learnerinformation><ext_learnerinfo>

S19

GCE/GCSE 이사회 참조(GCE/GCSE board’s reference)

<identification><demographics><uid>

S20

참여확대 요인(Widening participation factor)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21

참여확대 카테고리(Widening participation category)

<identification><ext_identification>

S22

자격수준(Status of qualification on entry data)

<transcript>

S23

학생의 적극성(Student initiative)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24

거주지(Residential Accommodation)

<identification><ext_identification>

S25

보육(Childcare)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26

장애(Disability)

<accessibility><disability><ext_disability>

S27

학습 장애(Learning difficulty)

<accessibility><disability><ext_disability>

S28

16-18세 청소년을 위한 기금 부여 여부(year old full-time funding entitlement)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S29

국가보험 번호(National Insurance number)

<identification><demographics><uid>

SHE01

최고 점수(Highest qualification on entry)

<transcript>

SHE02

A/AS 레벨 점수(A/AS level score)

<transcript>

SHE03

국적(Nationality)

<identification><ext_identification>

SHE04

UCAS 응시번호(UCAS Applicant number)

<identification><demographics><uid>

SHE05

HE에 대한 새로운 기재사항(New entrant to HE)

<activity><status>

SHE06

제공되는 학기기간(Term-time accommodation)

<identification><address>

SHE07

학업중단 이유(Reason for Leaving)

<activity><status>

SHE09

프로그램 연도 유형(Type of programme year)

<activity><status>

SHE10

funding Council Early Statistics/HEIFES에 적용가능한 모드(Mode applicable to funding Council HEIFES)

<activity><definition>

SHE11

funding Council HEIFES에 적용가능한 레벨(Level applicable to funding Council HEIFES)

<activity><definition>

SHE12

학습프로그램 실행년도 완료(Completion of year programme of study)

<activity><status>

SHE13

학생 FTE(Student FTE)

<identification><ext_identification>

Q01

자격목표 데이터세트 참조(Qualification aim data set reference)

<identification><contentype>

Q02

자격참조코드(Qualification reference code)

<activity><learningactivityref>

Q05

학비유형(Type of tuition fees)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Q07A

연간학비 지표(Annual fees indicator)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Q07B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학비(Amount of tuition fees received or expected for the student)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Q08

학비를 부분적으로 받거나 전혀 받지 못하는 이유(Reason for partial or full non-payment of tuition fees)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Q09

학비의 주요 공급원(Major source of tuition fees)

<identification><agent>

Q10

협의회 또는 HEFCE 기금(Council or HEFCE funding)

<identification><agent>

Q11

학비 및 협의회/HEFCE 기금 이외의 교육기금 주요 공급원(Major source of funding other than tuition fees and Council/HEFCE funding)

<identification><agent>

Q12

학비 및 협의회/HEFCE 기금 이외의 교육기금 공급원(Minor source of funding other than tuition fees and Council/HEFCE funding)

<identification><agent>

Q13

프랜차이즈(Franchised-out arrangements)

<identification><agent>

Q15

Guided 학습의 예상소요시간(Expected guided learning hours)

<activity><units>

Q16

개시일(Start date)

<activity><date>

Q17

예상 종료일(Expected end date)

<activity><date>

Q18

실제 종료일(Actual end date)

<activity><date>

Q19

종료 상태(Completion status)

<activity><status>

Q20

결과(Outcome)

<activity><evaluation>

Q21

점수(Grade)

<activity><evaluation>

Q22

재수강(Resit)

<activity><status>

Q24

조직 관련 데이터1(Institution-specified data 1)

<learnerinformation><ext_learnerinfo>

Q25

조직 관련 데이터 2(Institution-specified data 2)

<learnerinformation><ext_learnerinfo>

Q26

NVQ 전송 준비(NVQ delivery arrangement)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Q28

예상 종료일 (2월 1일)(Expected end date at 1 February)

<activity><date>

Q29

정부 이니셔티브(Government initiative)

<activity><status>

Q30

프랜차이즈 협력업체(Franchising partner)

<activity><learningactivityref>

Q31

Q11의 ESF에 대한 협의회의 예상 지원 액수(Implied rate of Council partial funding for ESF in Q11)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Q32

Q12의 ESF에 대한 협의회의 예상 지원 액수(Implied rate of Council partial funding for ESF in Q12)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Q33

APL 시수(APL hours)

<activity><units>

Q34

전달방식(Delivery mode)

<activity><definition>

Q35

고용주의 역할(Employer role)

<identification><agent>

Q36

주요 전달방식(Main delivery method)

<activity><definition>

Q37

Guided 학습의 실제 소요시간(Actual guide learning hours)

<activity><units>

QHE01

학비의 주 공급원(Major source of tuition fees)

<accessibility><eligibility><ext_eligibility>

QHE02

프로그램 시행년도(Year of programme)

<activity><date>

E01

입력 데이터세트 참조의 자격(Qualification on entry data set reference)

<identification><contentype>

E02

입력 참조 코드의 자격(Qualification on entry reference code)

<qcl>

E03

점수(Grade)

<qcl>

E04

수여일자(Date awarded)

<qcl>

ISR을 IMS LIP에 매핑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이다. 두 가지 사례(버전 1/버전 2의 6.2.2와 6.2.3장)를 보여줄 것이고, 각각의 버전을 사용하게 된 이유를 각 사례에 앞서 간략히 설명할 것이다.

6.2.2 인스턴스(Instance) 사례 – 버전 1

XML 인스턴스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3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3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 This is an example, of what an instance of the ISR       -->
   <!-- would look like when using the IMS LIP framework  -->
   <!-- with the required extensions.  This approach is          -->
   <!-- optimised to minimise the XML instance size.             -->
   <learnerinformation>
      <!--**************************************************S01_Structur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Entry</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
      <!--********************************Student Data Set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name>
             <!--******************************************S02_Structure-->
             <partname>
                 <text>Entry</text>
             </partname>
             <!--*******************************************************-->
             <!--******************************************S03_Structure-->
             <partname>
                 <text>Entry</text>
             </partname>
             <!--*******************************************************-->
          </name>
          <demographics>
             <!--******************************************S05_Structure-->
             <gender gender="NA"/>
             <!--*******************************************************-->
             <!--******************************************S04_Structure-->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
             <!--******************************************S19_Structure-->
             <uid>Entry</uid>
             <!--*******************************************************-->
          </demographics>
          <address>
             <!--****************************************SHE06_Structure-->
             <street>
                 <nonfieldedstreetaddress>Entry</nonfieldedstreetaddress>
             </street>
             <!--*******************************************************-->
             <!--******************************************S07_Structure-->
             <country>Entry</country>
             <!--*******************************************************-->
             <!--******************************************S06_Structure-->
             <postcode>Entry</postcode>
             <!--*******************************************************-->
          </address>
          <!--**********************************************S16_Structure-->
          <agent>
             <agentid>MajorSourceTuitionFee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
          <!--**********************************************S29_Structure-->
          <demographics>
             <uid>Entry</uid>
          </demographics>
          <!--***********************************************************-->
          <!--********************************************SHE04_Structure-->
          <demographics>
             <uid>Entry</uid>
          </demographics>
          <!--***********************************************************-->
          <ext_identification>
             <!--******************************************S08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Ethnici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21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WideningParticpationCategor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24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ResidentialAccomodation</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HE03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Nationali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HE13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StudentFT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ext_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Student Data Set Identification-->
      <!--*********************************Student Data Set Accessibility-->
      <accessibility>
          <disability>
             <ext_disability>
                 <!--**************************************S09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LearningDifficulti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26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Disabili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27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LearningDifficulti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ext_disability>
          </disa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S10A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AdditionalSupportCos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11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AdditionalSupportElemen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14A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AnnualfeesIndicato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14B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Amountof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15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NonPaymentof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20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WideningParticpationFacto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23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StudentInitiativ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25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Childca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28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16-18FundingEntitlemen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Student Data Set Accessibility-->
      <!--**************************************Student Data Set Activity-->
      <activity>
          <!--**********************************************S12_Structure-->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
          <!--********************************************SHE10_Structure-->
          <defini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definition>
          <!--***********************************************************-->
          <!--********************************************SHE11_Structure-->
          <defini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definition>
          <!--***********************************************************-->
          <!--********************************************SHE05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SHE07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SHE09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SHE12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activity>
      <!--**************************************Student Data Set Activity-->
      <!--**************************************************S22_Structure-->
      <transcript>
          <exrefrecord>
             <recformat/>
             <recdata>Entry</recdata>
          </exrefrecord>
      </transcript>
      <!--***************************************************************-->
      <!--************************************************SHE01_Structure-->
      <transcript>
          <exrefrecord>
             <recformat/>
             <recdata>Entry</recdata>
          </exrefrecord>
      </transcript>
      <!--***************************************************************-->
      <!--************************************************SHE02_Structure-->
      <transcript>
          <exrefrecord>
             <recformat/>
             <recdata>Entry</recdata>
          </exrefrecord>
      </transcript>
      <!--***************************************************************-->
      <!--*******************************Student Data Set ext_learnerinfo-->
      <ext_learnerinfo>
          <!--**********************************************S17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S17_Structu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S18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S18_Structu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ext_learnerinfo>
      <!--*******************************Student Data Set ext_learnerinfo-->
      <!--**********************Qualification Aim Data Set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Q01_Structur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Entry</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
          <!--**********************************************Q09_Structure-->
          <agent>
             <agentid>MajorSourceTuitionFee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
          <!--**********************************************Q10_Structure-->
          <agent>
             <agentid>CouncilorHEFCEFunding</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
          <!--**********************************************Q11_Structure-->
          <agent>
             <agentid>MajorSourceOtherthanTuitionFee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
          <!--**********************************************Q12_Structure-->
          <agent>
             <agentid>MinorSourceOtherthanTuitionFee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
          <!--**********************************************Q13_Structure-->
          <agent>
             <agentid>FranchisedOutArrangement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
          <!--**********************************************Q35_Structure-->
          <agent>
             <agentid>EmployerRole</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
      </identification>
      <!--**********************Qualification Aim Data Set Identification-->
      <!--***********************Qualification Aim Data Set Accessibility-->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Q05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Typeof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Q07A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AnnualFeesIndicato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Q07B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Q08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Nonpaymentof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Q26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NVQDeliveryArrangemen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Q31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ImpliedRateforESFinQ11</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Q32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ImpliedRateforESFinQ12</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QHE01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Qualification Aim Data Set Accessibility-->
      <!--****************************Qualification Aim Data Set Activity-->
      <activity>
          <!--**********************************************Q16_Structure-->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
          <!--**********************************************Q17_Structure-->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
          <!--**********************************************Q18_Structure-->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
          <!--**********************************************Q28_Structure-->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
          <!--********************************************QHE02_Structure-->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
          <!--**********************************************Q19_Structure-->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
          <!--**********************************************Q15_Structure-->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ExpectedGuidedLearningHour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unitsfield>
          </units>
          <!--***********************************************************-->
          <!--**********************************************Q02_Structure-->
          <learningactivityref>
             <text>Entry</text>
          </learningactivityref>
          <!--***********************************************************-->
          <!--**********************************************Q20_Structure-->
          <evaluation>
             <result>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Outcom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
          <!--**********************************************Q21_Structure-->
          <evaluation>
             <result>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Grad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
          <!--**********************************************Q22_Structure-->
          <evaluation>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evaluation>
          <!--***********************************************************-->
          <!--**********************************************Q29_Structure-->
          <evaluation>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evaluation>
          <!--***********************************************************-->
          <!--**********************************************Q30_Structure-->
          <learningactivityref>
             <text>Entry</text>
          </learningactivityref>
          <!--***********************************************************-->
          <!--**********************************************Q34_Structure-->
          <defini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definition>
          <!--***********************************************************-->
          <!--**********************************************Q36_Structure-->
          <defini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definition>
          <!--***********************************************************-->
          <!--**********************************************Q33_Structure-->
          <activity>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APLHour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unitsfield>
             </units>
          </activity>
          <!--***********************************************************-->
          <!--**********************************************Q37_Structure-->
          <activity>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ActualGuidedLearningHour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unitsfield>
             </units>
          </activity>
          <!--***********************************************************-->
      </activity>
      <!--****************************Qualification Aim Data Set Activity-->
      <!--*************************Qualification Aim Data ext_learnerinfo-->
      <ext_learnerinfo>
          <!--**********************************************Q24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Q24_Structu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Q25_Structu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Q25_Structu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
      </ext_learnerinfo>
      <!--*************************Qualification Aim Data ext_learnerinfo-->
      <!--****************************Qualification on Entry Data Set QCL-->
      <qcl>
          <!--**********************************************E01_Structur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Entry</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
          <!--**********************************************E02_Structure-->
          <registrationno>Entry</registrationno>
          <!--***********************************************************-->
          <!--**********************************************E03_Structure-->
          <level>
             <text>Entry</text>
          </level>
          <!--***********************************************************-->
          <!--**********************************************E04_Structure-->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
      </qcl>
      <!--****************************Qualification on Entry Data Set QCL-->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Advanced/isrmapv1_001/isrmapv1_001.xml에 저장되어 있다.

6.2.3 인스턴스(Instance) 사례 – 버전 2

ISR 필드의 순서를 ISR 표준에 맞추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한다. 각 유형에 대하여 복수의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순서 또한 자유로운 LIP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ISR 필드는 정보모델의 최상위 수준의 유형에 대응(mapping)이 가능하다. 그러나 ISR 필드의 순서를 ISR 표준에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XML 인스턴스(Instance)가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12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3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37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
  860
  861
  862
  863
   <!-- This is an example, of what an instance of the ISR       -->
   <!-- would look like when using the IMS LIP framework  -->
   <!-- with the required extensions.  This approach is          -->
   <!-- optimised for sequential parsing of the database.-->
   <learnerinformation>
      <!--**************************************************S01_Structur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Entry</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
      <!--**************************************************S02_Structure-->
      <identification>
          <name>
             <partname>
                 <text>Entry</text>
             </partname>
          </name>
      </identification>
      <!--***************************************************************-->
      <!--**************************************************S03_Structure-->
      <identification>
          <name>
             <partname>
                 <text>Entry</text>
             </partname>
          </name>
      </identification>
      <!--***************************************************************-->
      <!--**************************************************S04_Structure-->
      <identification>
          <demographics>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demographics>
      </identification>
      <!--***************************************************************-->
      <!--**************************************************S05_Structure-->
      <identification>
          <demographics>
             <gender gender="NA"/>
          </demographics>
      </identification>
      <!--***************************************************************-->
      <!--**************************************************S06_Structure-->
      <identification>
          <address>
             <postcode>Entry</postcode>
          </address>
      </identification>
      <!--***************************************************************-->
      <!--**************************************************S07_Structure-->
      <identification>
          <address>
             <country>Entry</country>
          </address>
      </identification>
      <!--***************************************************************-->
      <!--**************************************************S08_Structure-->
      <identification>
          <ext_identification>
             <fieldlabel>
                 <typename>
                    <tyvalue>Ethnici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
      <!--**************************************************S09_Structure-->
      <accessibility>
          <disability>
             <ext_disa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learndifficul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disability>
          </disability>
      </accessibility>
      <!--***************************************************************-->
      <!--*************************************************S10A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AdditionalSupportCos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11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AdditionalSupportAssessmen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12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Destination</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S14A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Annualfeesindicato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14B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15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NonPaymentof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16_Structure-->
      <identification>
          <agent>
             <agentid>MajorSourceTuitionFee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
      <!--**************************************************S17_Structure-->
      <ext_learnerinfo>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Instspecificdatase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learnerinfo>
      <!--***************************************************************-->
      <!--**************************************************S18_Structure-->
      <ext_learnerinfo>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Instspecificdatase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learnerinfo>
      <!--***************************************************************-->
      <!--**************************************************S19_Structure-->
      <identification>
          <demographics>
             <uid>Entry</uid>
          </demographics>
      </identification>
      <!--***************************************************************-->
      <!--**************************************************S20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WideningParticipationFacto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21_Structure-->
     <identification>               <ext_identification>
            <fieldlabel>
                <typename>
                   <tyvalue>WideningParticipationCategor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
     <!--**************************************************S22_Structure-->
     <transcript>
         <exrefrecord>
            <recformat/>
            <recdata>Entry</recdata>
         </exrefrecord>
     </transcript>
     <!--***************************************************************-->
     <!--**************************************************S23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StudentInitiativ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24_Structure-->
     <identification>               <ext_identification>
            <fieldlabel>
                <typename>
                   <tyvalue>ResidentialAccomodation</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
     <!--**************************************************S25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Childca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26_Structure-->
     <accessibility>
         <disability>
            <ext_disa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Disabili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disability>
         </disability>
     </accessibility>
     <!--***************************************************************-->
     <!--**************************************************S27_Structure-->               <accessibility>
         <disability>
            <ext_disa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Learnerdifficul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disability>
         </disability>
     </accessibility>
     <!--***************************************************************-->
     <!--**************************************************S28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16-18YearOldFullTimeFundingEntitlemen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S29_Structure-->
      <identification>
          <demographics>
             <uid>Entry</uid>
          </demographics>
      </identification>
      <!--***************************************************************-->
      <!--*************************************************SHE01_Structure-->
      <transcript>
          <exrefrecord>
             <recformat/>
             <recdata>Entry</recdata>
          </exrefrecord>
      </transcript>
      <!--***************************************************************-->
      <!--************************************************SHE02_Structure-->
      <transcript>
          <exrefrecord>
             <recformat/>
             <recdata>Entry</recdata>
          </exrefrecord>
      </transcript>
      <!--***************************************************************-->
      <!--************************************************SHE03_Structure-->
      <identification>
          <ext_identification>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Nationalit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
      <!--************************************************SHE04_Structure-->
      <identification>
          <demographics>
             <uid>Entry</uid>
          </demographics>
      </identification>
      <!--***************************************************************-->
      <!--************************************************SHE05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SHE06_Structure-->
      <identification>
          <address>
             <street>
                 <nonfieldedstreetaddress>Entry</nonfieldedstreetaddress>
             </street>
          </address>
      </identification>
      <!--***************************************************************-->
      <!--************************************************SHE07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SHE09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SHE10_Structure-->
      <activity>
          <defini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definition>
      </activity>
      <!--***************************************************************-->
      <!--************************************************SHE11_Structure-->
      <activity>
          <defini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definition>
      </activity>
      <!--***************************************************************-->
      <!--************************************************SHE12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SHE13_Structure-->
      <identification>
          <ext_identification>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FT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
      <!--**************************************************Q01_Structur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Entry</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
      <!--**************************************************Q02_Structure-->
      <activity>
          <learningactivityref>
             <sourcedid>
                 <source>FEFCISR</source>
                 <id>Entry</id>
             </sourcedid>
          </learningactivityref>
      </activity>
      <!--***************************************************************-->
      <!--**************************************************Q05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Typeof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Q07A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AnnualFeesIndicato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Q07B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Q08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Nonpaymentof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Q09_Structure-->
      <identification>
          <agent>
             <agentid>MajorSourceTuitionFee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
      <!--**************************************************Q10_Structure-->
      <identification>
          <agent>
             <agentid>CouncilorHEFCEFunding</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
      <!--**************************************************Q11_Structure-->
      <identification>
          <agent>
             <agentid>MajorSourceOtherthanTuitionFee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
      <!--**************************************************Q12_Structure-->
      <identification>
          <agent>
             <agentid>MinorSourceOtherthanTuitionFee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
      <!--**************************************************Q13_Structure-->
      <identification>
          <agent>
             <agentid>FranchisedOutArrangements</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
      <!--**************************************************Q15_Structure-->
      <activity>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ExpectedGuidedLearningHour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unitsfield>
          </units>
      </activity>
      <!--***************************************************************-->
      <!--**************************************************Q16_Structure-->
      <activity>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activity>
      <!--***************************************************************-->
      <!--**************************************************Q17_Structure-->
      <activity>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activity>
      <!--***************************************************************-->
      <!--**************************************************Q18_Structure-->
      <activity>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activity>
      <!--***************************************************************-->
      <!--**************************************************Q19_Structure-->
      <activity>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activity>
      <!--***************************************************************-->
      <!--**************************************************Q20_Structure-->
      <activity>
          <evaluation>
             <result>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Outcom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activity>
      <!--***************************************************************-->
      <!--**************************************************Q21_Structure-->
      <activity>
          <evaluation>
             <result>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Grad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activity>
      <!--***************************************************************-->
      <!--**************************************************Q22_Structure-->
      <activity>
          <evaluation>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evaluation>
      </activity>
      <!--***************************************************************-->
      <!--**************************************************Q24_Structure-->
      <ext_learnerinfo>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Instspecificdatase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learnerinfo>
      <!--***************************************************************-->
      <!--**************************************************Q25_Structure-->
      <ext_learnerinfo>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Instspecificdatase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learnerinfo>
      <!--***************************************************************-->
      <!--**************************************************Q26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NVQDeliveryArrangement</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Q28_Structure-->
      <activity>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activity>
      <!--***************************************************************-->
      <!--**************************************************Q29_Structure-->
      <activity>
          <evaluation>
             <status>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status>
          </evaluation>
      </activity>
      <!--***************************************************************-->
      <!--**************************************************Q30_Structure-->
      <activity>
          <learningactivityref>
             <sourcedid>
                 <source>FEFCISR</source>
                 <id>Entry</id>
             </sourcedid>
          </learningactivityref>
      </activity>
      <!--***************************************************************-->
      <!--**************************************************Q31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mpliedRateforESFinQ11</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Q32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mpliedRateforESFinQ12</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Q33_Structure-->
      <activity>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APLHour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unitsfield>
          </units>
      </activity>
      <!--***************************************************************-->
      <!--**************************************************Q34_Structure-->
      <activity>
          <defini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definition>
      </activity>
      <!--***************************************************************-->
      <!--**************************************************Q35_Structure-->
      <identification>
          <agent>
             <agentid>EmployerRole</agentid>
             <agentdomai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agent>
      </identification>
      <!--***************************************************************-->
      <!--**************************************************Q36_Structure-->
      <activity>
          <defini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definition>
      </activity>
      <!--***************************************************************-->
      <!--**************************************************Q37_Structure-->
      <activity>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ActualGuidedLearningHour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unitsfield>
          </units>
      </activity>
      <!--***************************************************************-->
      <!--************************************************QHE01_Structure-->
      <accessibility>
          <eligibility>
             <ext_eligibility>
                 <fieldlabel>
                    <typename>
                        <tyvalue>ISR_TuitionFee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Entry</fielddata>
             </ext_eligibility>
          </eligibility>
      </accessibility>
      <!--***************************************************************-->
      <!--************************************************QHE02_Structure-->
      <activity>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activity>
      <!--***************************************************************-->
      <!--**************************************************E01_Structure-->
      <identific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Entry</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identification>
      <!--***************************************************************-->
      <!--**************************************************E02_Structure-->
      <qcl>
          <registrationno>Entry</registrationno>
      </qcl>
      <!--***************************************************************-->
      <!--**************************************************E03_Structure-->
      <qcl>
          <level>
             <text>Entry</text>
          </level>
      </qcl>
      <!--***************************************************************-->
      <!--**************************************************E04_Structure-->
      <qcl>
          <date>
             <datetime>Entry</datetime>
          </date>
      </qcl>
      <!--***************************************************************-->
   </learnerinformation>

이 사례는 IMS_LIPv1p0/Valid/Advanced/isrmapv2_001/isrmapv2_001.xml에 저장된다.

6.2.4 ISR 매핑 사례의 주요 특징

상기 사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버전 1의 경우,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입력사항(entry)이 밀도 있게 저장되어 있지만 (예: <identification> 요소에는 13개의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1개의 필드를 위한 공간만 제공한다. 이는, 필드 순서(field sequence)가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 28-40째줄). 확장 필드(extension fields)는 관련된 필드 구조번호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fieldlabel> 요소와 함께 사용된다(예 77, 85째줄).
  • 버전 2의 경우, 각각의 ISR 필드에 고유의 데이터구조 객체(data structure object)가 지정된다. 따라서, 필드의 순서는 ISR 문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dexid’는 일반적으로 필드의 순서와는 관계 없지만, XML 인스턴스에서 순서가 미리 정의되고 그 순서를 유지한다.
  • 버전 1, 2의 경우에, 확장기능(extension facility)에서 새로운 요소(new element)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허용된 요소 내에서만 재사용이 가능하다.
ISR 매핑(mapping)의 일차적인 목적은 다양한 교환목적(different exchange purpose)을 위해 완벽한 매핑(mapping)의 하위세트(subset)를 활용하는데 있다. 즉, 등록시스템(enrolment system)의 등록데이터를 MIS로, 학생 및 등록에 관한 기본적 데이터를 LMS/VLE로, LMS/VLE에서 반환되어야 할 데이터 (수업 중 생성된 데이터)를 MIS로 교환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데이터의 순서는 사실 전송크기와 처리시간을 줄이는 것에 비하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버전 1이 채택되었다. 향후, 대학에서 기금협의회(Funding Council)로 ISR 기록을 전송하고, 또한 XML, XML 스키마 해석기(Schema Parser), 기타 XML 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큰 효과를 보기 위해서 상기 맵핑(mapping)이 채택된다면, 현재의 순서와 ISR 필드를 유지할 수 있는 버전 2를 채택하는 것도 바람직학 방법이 될 수 있다.

7. IMS LIP 및 기타 관련 표준

7.1 IMS 표준

7.1.1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IMS LIP 표준과 IMS Enterprise 표준은 상호 보완적이기 때문에 IMS LIP 표준이 IMS Enterprise 표준을 대체하지는 않는다. IMS Enterprise 표준의 적용범위는 동일한 기업(enterprise) 또는 조직에 존재하는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정의하는데 집중되어 있다. 개별 기업(enterprise) 간의 데이터교환은 가능하나, IMS Enterprise 표준을 구성하는 문서들은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통신(communication), 전반적 보완(security), 그리고 기업(enterprise) 사이에 이루어지는 데이터교환을 분석할 때 부수되는 기타 사항들을 해결하는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IMS Enterprise 정보모델은 다음에 열거하는 네 가지 비즈니스 프로세스 구성요소(business process component)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들 비즈니스 프로세스 구성요소들은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과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 개인 프로파일 데이터 관리(Personal Profile Data Maintenance) – 일반적으로, 개인에 대한 데이터는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관리되어 학습관리시스템(Leaning Management environment)으로 전달된다. 개인 프로파일 데이터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내에서 수정되면,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에서도 수정되어야 한다.
  • 그룹관리(Group Management) – 그룹관리프로세스(group management process)에는 클래스 생성(class creation)과 클래스 일정수립(class scheduling)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가 포함된다. 소스시스템(source system)이 그룹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이들 정보는 그룹관리기능과 관련이 있는 다른 시스템과 공유되어야 한다. 그룹관리정보가 단방향으로만 전달될 필요는 없다. 일부 데이터는 타겟시스템(target system)에서 업데이트되어 소스시스템(source system)으로 역전달될 수 있다.
  • 등록관리(Enrolment Management) – 등록관리에는 그룹 멤버십(group membership)의 1차 생성과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에 가해진 수정사항들이 모두 포함된다. 등록관리의 예로서, 학습자의 교육과정 등록과 강사의 과제 등을 들 수 있다.
  • 최종결과 프로세싱(Final Result Processing) – 최종결과 프로세싱이란 최종 그룹 멤버십의 평가 및 결과 (최종점수, 교육과정 이수 여부)를 말한다. 이 처리과정은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또는 엔터프라이즈 시스템(Enterprise system) 내에서 실행된다.

이 모델은 다음의 세 가지 데이터객체(data object)를 통해 지원된다.

  • 개인(Person) – 이 데이터객체에는 학습관리환경(Learning Management Environment)에 대한 개인의 관심을 기술하는 요소가 포함된다.
  • 그룹(Group) – 이 객체에는 학습관리환경(Learning Management Environment)에 대한 그룹의 관심을 기술하는 요소가 포함된다. 시스템을 공유하는 그룹의 유형이 많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과정 인스턴스(Course Instance)이며, 여기에는 연수 프로그램(Training Program), 아카데믹프로그램(Academic Program), 교육과정 하위그룹(Course sub-group), 클럽(club) 등이 포함된다. 다른 그룹과 중복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 그룹 멤버십(Group Membership) – 이 데이터객체에는 한 그룹 내의 개인 또는 그룹의 멤버십을 기술하는 요소가 포함된다. 그룹 멤버는 강사가 될 수도 있고, 교육생(학생), 콘텐츠 개발업자, 멤버, 관리자, 멘토, 행정직이 될 수도 있다.

IMS LIP와 IMS Enterprise 표준 간 관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습자정보를 교환할 때에는 IMS LIP 표준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는 IMS Enterprise 표준의 개인 프로파일 데이터관리 사양(Personal Profile Data Maintenance feature)이 IMS LIP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음 (deprecated)을 의미한다. 조직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때도 IMS LIP 표준이 사용되어야 한다.
  • 모든 그룹 멤버십과 그룹 관련 정보들을 교환할 때에는 IMS Enterprise 표준이 사용되어야 한다. IMS LIP내에 사용되는 유일한 멤버십 정보 구조는 전문가집단과의 공식적인 대외활동(그룹활동)에 관한 것이다. 그룹활동 결과(group-based result)는 IMS Enterprise 표준을 사용하여 교환되는 반면, 개인활동 결과(individual-based result)는 IMS LIP 표준을 사용하여 교환된다.

7.1.2 콘텐츠 패키징(Content Packaging)

IMS 콘텐츠 패키징 표준은 LIP XML 인스턴스를 패키징할 때 사용된다. 이 경우, 개별 학습자 인스턴스(Instance) 뿐 아니라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학습자에 대한 다수의 인스턴스(Instance) 모두를 패키징할 수 있다. 세 명의 학습자들에 대한 LIP-XML 인스턴스(Instance)를 패키징할 경우 IMS LIP에 의해 요구되는 사항이 무엇인지를 다음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자.

  • 학습자 정보 세트가 ‘learnerA.xml’, ‘learnerB.xml’ and ‘learnerB.xml’ 파일에 생성되어야 한다. 각 경우에 있어, 학습자 정보에는 세 가지의 관련 파일 (1개의 메타데이터 파일과 기타 자료파일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림 7.1 참조).
IMS KR 1003-3_7.1

그림 7.1 패키징 대상 파일의 스키마 표현(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files to be packaged)

이 때 중요한 것은 세 명의 학습자 정보 세트를 패키징할 때 명칭이 중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 학습자 A와 C의 ‘photo.gif’ 파일 학습자 B와 C의 ‘hobby.doc’ 파일
IMS 콘텐츠 패키징 표준은 모든 패키징 대상 파일들이 고유의 이름을 가지는 것을 요구한다. 패키징 매니페스트(packaging manifest)를 생성할 때, 파일명이 중복되지 않기 위해, 고유의 파일 디렉토리 구조를 사용해야 한다. ‘photo.gif’ 파일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된 XML이 학습자 A와 학습자 C의 XML 인스턴스(Instance)와 중복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관련된 XML정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것이다.

학습자 A – 원본 XML 인스턴스(original XML instance) :

     <representation>

         <media mediamode="Image"mimetype="image/gif" encoding="uri">photo.gif</media>

     </representation>

학습자 C – 원본 XML 인스턴스(original XML instance) :

     <representation>

         <media mediamode="Image"mimetype="image/gif" encoding="uri">photo.gif</media>

     </representation>
명칭 중복을 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외부 링크정보(external linkage)가 만들어질 때마다 해당 디렉토리 구조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위의 두 가지 형식이 아래와 같이 바뀔 것이다.
학습자 A – 수정된 XML 인스턴스(modified XM instance) :
   <representation>

         <media mediamode="Image"mimetype="image/gif" encoding="uri">learnerA/photo.gif

         </media>

     </representation>

학습자 C – 수정된 XML 인스턴스(modified XML instance) :

   <representation>

         <media mediamode="Image" mimetype="image/gif" encoding="uri">learnerC/photo.gif

         </media>

     </representation>
상기 두 개의 파일 명칭은 다르게 인식되기 때문에, 파일 명칭은 더 이상 중복되지 않는다. 명칭에는 모든 수준의 디렉토리(any level of directory)명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디렉토리 구조(directory structure)에 고유의 명칭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림 7.1에 사용된 ‘hobby.doc’ 참조(reference)에도 이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 또한 다음과 같은 방법도 활용될 수 있다.
  • 콘텐츠 패키징의 경우, 각각의 학습자에 대하여 패키지 내에 하위디렉토리(sub-directory)를 만들고 고유의 명칭을 부여한다.
  • 상기 디렉토리 내에 관련 포트폴리오 파일과 LIP 인스턴스(Instance)를 저장한다.
  • 관련 하위디렉토리를 사용하여 포트폴리오 파일들이 서로 참조한다면, 이들 포트폴리오 파일들은 해당 하위디렉토리에 저장되어야 한다.
  • 포트폴리오 파일들을 참조할 경우에는, 할당된 하위 디렉토리에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위레벨(top-level)의 참조를 표시할 때, 그 앞에 디렉토리명을 쓸 필요 없이 ‚/‘ (slash)만 표기하면 된다. 그리고 기존의 관련 하위디렉토리명은 이미 정의된대로 사용된다.
  • LIP 인스턴스(Instance) 및 모든 관련 포트폴리오 파일들 명칭을 명시할 경우에는, 자원 요소 (resource element)를 사용한다.
  • 해당 하위디렉토리의 상대경로를 명시할 경우에는, LIP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의 xml:base 속성이 사용된다.

7.1.3 메타데이터(Meta-data)

IMS LIP 내에는 IMS 메타데이터, IEEE LOM, 또는Dublin Core definition와 같은 메타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IMS LIP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XLM 인스턴스(Instance)와 모든 관련 파일들을 IMS Content Packaging 표준을 사용하여 패키징해야 한다. 패키징 표준에는 메타데이터 사용에 관한 내용도 포함된다. IMS LIP의 관점에서 볼 때, 정보의 패키징 (예: 파일크기, 자료유형)을 설명할 때 메타데이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IMSContent Packaging 표준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에, IMS LIP 표준 자체에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7.1.4 접근성(Accessibility)

IMS Accessibility(접근성) 워킹그룹이 2001년 2월에 결성되었다. ‘접근성(accessibility)’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가 1.0버전을 발행할 때 개정될 예정이다.

7.1.5 역량 정의(Competency Definitions)

IMS Competency Definition(역량정의) 워킹그룹은 2000년 8월에 결성되었다. ‘역량(competency)’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가 1.0버전을 발행할 때 개정될 예정이다.

7.1.6 평가문항 상호운용성(Question & Test Interoperability)

결과요약 정보(Results summary information)는 LIP 내의 ‘활동(activity)’ 핵심 데이터구조를 사용하여 교환될 수 있다. IMS QTI 표준 1.2버전에서는 보다 세부적인 보고 매커니즘(reporting mechanism)이 마련될 것이다. 이 버전은 2001년 8월에 발행될 예정이다.

7.2 기타 표준

7.2.1 IETF vCard

IMS LIP는 IETF vCard 표준과 완벽한 호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vCard의 모든 필드 정보는 LIP-XML 인스턴스(Instance)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관계는 표 7.1에 나타나 있다.

표 7.1 IMS LIP를 활용한 vCard 표준 지원

vCard 요소

IMS LIP 요소

FN identification.fnme 포맷명(The formatted name)
n identification.name 이름(name)
family identification.name.partname 이름의 부분(The name with a typed partname entry)
given identification.name.partname 이름의 부분(The name with a typed partname entry)
other identification.name.partname 이름의 부분(The name with a typed partname entry)
prefix identification.name.partname 이름의 부분(The name with a typed partname entry)
suffix identification.name.partname 이름의 부분(The name with a typed partname entry)
nickname identification.name.partname 이름의 부분(The name with a typed partname entry)
photo identification.demographics. representation.media 사진(A photograph of the individual)
bday identification.ext_identification 식별 확장 기능의 사용 요망
addr identification.address 주소
pobox identification.address.pobox PO박스
extadd identification.address. nonfieldedstreetaddress 주소 세부사항
street identification.address.street 거리 부분
locality identification.address.locality 동(local) 부분
region identification.address.region 구(region) 부분
pcode identification.address.postcode 우편번호 부분
country identification.address.county 국가 부분
label identification.ext_identification 식별 확장 기능의 사용 요망
tel identification.contactinfo. telephone 전화번호
email identification.contactinfo.email 이메일 주소
mailer identification.ext_identification 식별 확장 기능의 사용 요망
tz identification.address.timezone 시간대 부분
geo identification.address.geo 지방(geographical address) 부분
lat identification.address.geo.lat 위도 부분
lon identification.address.geo.lon 경도 부분
title affiliation.organisation.role 조직 내 직책
role affiliation.organisation.role 조직 내 역할
logo affiliation.description.full.media 조직의 로고
agent identification.agent 공식 대리인
org affiliation.organisation 개인이 속해 있는 조직에 대한 상세한 설명
categories learnerinformation.ext_learnerinfo 학습자정보 확장 기능의 사용 요망
item learnerinformation.ext_learnerinfo 학습자정보 확장 기능의 사용 요망
note learnerinformation.comment IMS LIP 코멘트 요소 내에서 지원 가능
sort identification.name.partname partname vocabulary 확장 기능의 사용 요망
sound identification.demographics. representation.media 개인에 대한 오디오 자료
url identification.contactinfo.web 웹 URL
key securitykey.keyfields 보안키
표 7.1은 IMS LIP와 IETF vCard 표준과의 호환을 위한 하나의 연계 사례이다. 따라서 다른 방식의 연계도 가능하다. 이것을 통해 IMS LIP 표준이 vCar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vCard는 단지 전자명함 용도로만 활용되기 때문에, vCard 정보가 IMS LIP 정보를 포함할 수는 없다.

7.2.2 IEEE PAPI

IMS LIP가 발전함에 따라 IEEE PAPI의 결과를 흡수하였다. 그림 7.2는 IEEE PAPI와 IMS LIP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IMS KR 1003-3_7.2

그림 7.2 IEEE PAPI를 지원하는 IMS LIP 활용

IMS LIP의 핵심 데이터구조에 IEEE PAPI의 토대가 되는 6가지 구조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그림 7.2의 화살표로 표시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보다 자세한 매핑이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IEEE PAPI에 대한 바인딩(binding)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7.2.3 Internet2/Educase ‘eduPerson’

eduParson 표준이 LDAP 서비스의 객체클래스(object class)인데 반하여, LIP는 단순한 디렉토리 관련 정보(directory-related information)가 아니라, 학습자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객체(data object) 집합(set)이다. eduPerson 표준 1.0버전과 IMS LIP 1.0버전의 관계는 표 7.2에 요약 설명되어 있다.

표 7.2 IMS LIP를 활용한 eduPerson 정보 교환

EduPerson 객체정의

IMS LIP 데이터구조

내용

EduPersonAffiliation (OID: 1.3.6.1.4.1.5923.1.1.1.1) affiliation.classification (보다 넓은 범위에서) 학습자의 조직과의 관계 (예: 학생, 교수, 직원, 동문 등). 정해진 어휘를 사용해야 하며, 향후 IMS는 Internet2/Educause과 협력하여 용어집(common vocabulary base)을 작성할 예정이다.
EduPersonNickname (OID: 1.3.6.1.4.1.5923.1.1.1.2)

identification.name or identification.formname

학습자의 별명 또는 비공식적인 이름. Id name은 <identification> 요소의 두 가지 LIP 구조 중 한 곳에 포함될 수 있다.
EduPersonOrgDN (OID: 1.3.6.1.4.1.5923.1.1.1.3) affiliation.organization 학습자가 속해 있는 조직을 대표하는 디렉토리 엔트리명(DN)
EduPersonOrgUnitDN (OID: 1.3.6.1.4.1.5923.1.1.1.4) affiliation.organization 학습자의 조직단위(organizational unit)를 대표하는 디렉토리 엔트리명(DN). DN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는 학습자가 속해 있는 조직단위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EduPersonPrimaryAffiliation (OID: 1.3.6.1.4.1.5923.1.1.1.5) affiliation.classification (보다 넓은 범위에서) 학습자와 조직의 주요 관계 (예: 학생, 교수, 직원, 동문 등). 정해진 어휘를 사용해야 하며, 향후 IMS는 Internet2/Educause과 협력하여 용어집(common vocabulary base)을 작성할 예정이다.
EduPersonPrincipalName (OID: 1.3.6.1.4.1.5923.1.1.1.6)

identification.name or identification.formname or identification.contactinfo.email

조직 간에 학습자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NetID.’ 반드시 user@univ.edu의 형식을 사용해야 하며, univ.edu는 local security domain의 명칭이다. 이 정보는 <identification> 요소 내에 존재하는 세 가지 구조 중 하나를 활용하여 LIP내에서 지원된다. <identification> element.
eduPerson 정보를 교환하는데 LIP가 사용될 경우, OID 또는 eduPerson 객체를 포함하는데 적절한 ‘indexid’ 참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learnerinformation>
      <comment>eduPerson exchange</comment>
      <identification>
          </contentype>
          <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OID:1.3.6.1.4.1.5923.1.1.1.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artname>
                 <text>Entry</text>
             </partname>
          </name>
          <contactinfo>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 ID:1.3.6.1.4.1.5923.1.1.1.6</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mail>Entry</email>
          </contactinfo>
      </identification>
      <affili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OID:1.3.6.1.4.1.5923.1.1.1.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lassification>Entry</classification>
      </affiliation>
      <affili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OID:1.3.6.1.4.1.5923.1.1.1.5</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classification>Entry</classification>
      </affiliation>
      <affili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OID:1.3.6.1.4.1.5923.1.1.1.3</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organiza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affili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OID:1.3.6.1.4.1.5923.1.1.1.4</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organization>
             <description>
                 <short>Entry</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learnerinformation>

8. 실행가이드

8.1 용어

LIP 표준은 학습관리시스템,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학생정보시스템, 엔터프라이즈 이러닝 시스템, 지식관리시스템, 이력소 저장소 및 학습과정에서 활용되는 기타 시스템 간의 학습정보 교환을 지원한다. 상기 시스템들은 역할 및 기능에 상관 없이 ‘학습자정보 시스템’이라고 불리운다. IMS 학습자정보 패키지(Learner Information Package) 표준은 학습자정보 또는 교환 트랜잭션 매커니즘의 요구사항 등을 충족시켜주지는 않는다.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 LIP는 서로 통신하는 LIP 시스템(comminicating LIP systes) 간의 학습자정보 교환의 상호운용성을 다룬다. 그러나 교환이 이루어진 후, 데이터가 서로 통신하는 시스템(communicating systems)에 어떻게 저장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은 다루지 않는다.
  • LIP 표준에는 학습자정보의 데이터모델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학습자정보의 행동모델(behavioural model)이나 전자정보 교환에 활용되는 매커니즘에 대한 설명은 포함되지 않는다.
  • LIP 데이터모델은 아직 완벽하지 않다. LIP 데이터모델은 LIP 시스템간에 교환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정보모델을 정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다양한 공통 데이터구조(common data structure)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일부 확장기능(extension feature) (10장 참조)을 제공함으로써 LIP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8.2 핵심 데이터구조 활용

8.2.1 <accessibility>

‘접근성(accessibility)’ 학습정보는 학습자의 인지적, 기술적, 물리적 학습기법의 선호도, 능력장애, 자격, 언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학습환경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의 역량을 의미한다. ‘접근성(accessibility)’ 데이터구조는4개의 다른 하위 데이터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이들 하위 데이터구조는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접근성(accessibility)’ 데이터구조의 기본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accessibility>
         <languag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German</tyvalue>
            </typename>
            <proficiency profmode="Write">Poor</proficiency>
         </language>
         <preferenc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InputTech</tyvalue>
            </typename>
            <prefcode>Large Font Display Devices</prefcode>
         </preference>
     </accessibility>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 한, 언어 및 학습기법의 선호도가 제공되어야 한다. 유용한 ‘접근성’ 구조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IMS 접근성 워킹그룹의 활동의 일부인 적격성(eligibility)과 장애(disability)에 대한 데이터구조는 여기에서 다루지 않는다).
   <accessibility>
         <contentyp>
            <referential>
                <indexid>accessibilit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languag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German</tyvalue>
         </typename>
            <comment>-----------------------------------------Language</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languag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oficiency profmode="OralSpeak">Excellent</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OralComp">Excellent</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Read">Good</proficiency>
            <proficiency profmode="Write">Poor</proficiency>
         </language>
         <preferenc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InputTech</tyvalue>
            </typename>
            <comment>---------------------------------------Preference</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preferenc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efcode>Large Font Display Devices</prefcode>
         </preference>
     </accessibility>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는 5.1장을 참조한다.

8.2.2 <activity>

‘활동(activity)’ 학습정보는 교육/연수, 실무경험, 각종 공익활동(군경력, 커뮤니티봉사, 자원봉사 등)의 기록 및 증명서(공식포상은 제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자가 이수한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과 평가결과가 기록된다. 각각의 입력사항에 따라 사용되는 ‘활동(activity)’ 구조가 모두 다르다. ‘활동(activity)’ 데이터구조는 여러 개의 다른 하위 데이터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이들 하위 데이터구조는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활동(activity)’ 데이터구조의 기본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activity>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CreditNumbe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10</fielddata>
            </unitsfield>
         </units>
         <learningactivityref>
            <text>Degree in Philiosphy</text>
         </learningactivityref>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urriculum</tyvalue>
            </typename>
            <definition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Duration</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3</fielddata>
            </definitionfield>
         </definition>
         <produc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oursework</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Thesis on violins</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sh/thesis.doc
                   </media>
                </full>
            </description>
         </product>
         <testimoni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ademic</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Tutors reference</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tutor/ref.doc
                   </media>
                </full>
            </description>
         </testimonial>
         <evaluation>
            <result>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Total</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80</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activity>

유용한 활동 구조(activity structure)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activit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19:7</datetime>
         </date>
         <statu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ompleted</tyvalue>
            </typenam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19:6</datetime>
            </date>
         </status>
         <units>
            <units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CreditNumber</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10</fielddata>
            </unitsfield>
         </units>
         <learningactivityref>
            <text>Degree in Philiosphy</text>
         </learningactivityref>
         <defini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urriculum</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degreecourse</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finition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Duration</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3</fielddata>
            </definitionfield>
         </definition>
         <produc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ours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produc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Thesis on violins</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sh/thesis.doc
                   </media>
                </full>
            </description>
         </product>
         <testimoni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ademic</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testimonia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Tutors reference</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word" contentreftype="uri">
                       tutor/ref.doc
                   </media>
                </full>
            </description>
         </testimonial>
         <evaluation>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ctivity_evalu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result>
                <interpret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MinSco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0</fielddata>
                </interpretscore>
                <interpret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MaxSco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100</fielddata>
                </interpretscore>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Total</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80</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description>
            <short>Final degree information.</short>
         </description>
     </activity>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는 5.2장을 참조한다.

8.2.3 <affiliation>

‘그룹활동(affiliation)’ 학습정보는 학습자의 그룹활동 (학급, 학습그룹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클래스, 집단 등의 학습그룹이 포함되며 이들 정보는 IMS enterprise 표준 (IMS Enterprise specification technique)을 활용하여 교환된다. ‘그룹활동’의 기본적인 XLM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affiliation>
          <classification>Fellow</classification>
          <affiliationid>2457923A</affiliationid>
         <organization>
            <description>
                 <short>Royal Institution of Criminology: London Branch</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affiliation>
유용한 ‘그룹활동’ 구조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는 학습자가 소속되어 있는 조직에서 학습자가 맡고 있는 역할에 관한 정보도 포함된다).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classification>Fellow</classification>
         <affiliationid>2457923A</affiliationid>
         <rol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Officer</tyvalue>
            </typenam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24:04:01</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nish</tyvalue>
                </typename>
                <datetime>1925:03:31</datetime>
            </date>
            <description>
                <short>Treasurer for the Local Branch of Criminology</short>
            </description>
         </role>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Royal Academy</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Join</tyvalue>
            </typename>
            <datetime>1922</datetime>
         </date>
         <statu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tive</tyvalue>
            </typename>
         </status>
         <description>
            <short>All fees paid</short>
         </description>
     </affiliation>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3장을 참조한다.

8.2.4 <competency>

‘역량(competency)’학습자 정보는 학습자가 습득한 기술(skill) 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된다. 이들 기술(skill) 은 공식적/비공식적 연수 또는 실무경험(‘활동(activity)’에 기록됨), 공식포상(‘자격인증정보(qcl)’에 기록됨)과 연관이 있다. 각각의 역량에 따라 사용되는 ‘역량(competency)’ 구조가 모두 다르며, 이때 외부 참조매커니즘(external reference mechanism)이 활용된다. ‘역량(competency)’에 대한 정의는 표준이 완성되고 IMS 역량 정의 워킹그룹(IMS Competency Definition working-group)의 작업이 완료된 후 수정될 예정이다. 유용한 ‘역량(competency)’ 구조의 기본적 형태는 다음과 같다.
   <competency>
         <exrefrecord>
            <recformat>MSWord</recformat>
            <recdata uri="filename.doc"/>
         </exrefrecord>
     </competency>
recformat 요소에 입력되는 입력사항(entry)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recdata 요소의 입력사항은 해당 요소와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transcript 요소 참조). ‘역량(competency)’ 구조에는 typename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IMS 역량 정의(IMS Competency Definition) 작업이 완료되기 까지는 적절한 typing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유용한 ‘역량(competency)’ 구조의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competency>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mpetency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xrefrecord>
            <recformat uri="compformats/criminology.doc"/>
            <recdata uri="holmes/competency.doc"/>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27:10:21</datetime>
            </date>
         </exrefrecord>
         <description>
            <short>Competencies in Criminology</short>
         </description>
     </competency>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4장을 참조한다.

8.2.5 <goal>

‘목표(goal)’ 학습자정보는 개인의 목표 및 열망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목표달성의 진전사항도 포함된다. 목표와 더불어 세부목표까지 기록될 수 있다. 각각의 입력사항에 따라 사용되는 ‘목표(goal)’ 구조가 모두 다르다. ‘목표’의 기본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goal>
         <description>
            <short>To graduate</short>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base" contentreftype="uri">lifeplan.doc
                </media>
            </full>
         </description>
     </goal>
‘목표’ XML 인스턴스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이 사례에는 하부목표가 포함되어 있다).
   <go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goa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Start</tyvalue>
            </typename>
            <datetime>1925</datetime>
         </date>
         <priority>Primary Objective</priority>
         <statu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tive</tyvalue>
            </typenam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1926:3:30</datetime>
            </date>
         </status>
         <description>
            <short>To arrest Moriarty</short>
            <full>
                <media mediamode="Image" mimetype="image/gif" contentreftype="uri">
                   sh/moriarty.gif
                </media>
            </full>
         </description>
         <goa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Work</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goal_01_subgoal_02</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escription>
                <short>Train Watson to be a competent detective.</short>
            </description>
         </goal>
     </goal>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5장을 참조한다.

8.2.6 <identification>

‘식별(identification)’ 학습자정보는 개인 또는 조직의 모든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 (예: 성명, 주소, 연락처, 대리인, 신상정보 등). ‘식별(identification)’ 데이터구조는 여러 개의 다른 하위 데이터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식별(identification)’ 데이터구조의 기본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identification>
         <form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eferred</tyvalue>
            </typename>
            <text>Mr Sherlock Holmes</text>
         </formname>
         <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eferred</tyvalue>
            </typenam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Last</tyvalue>
                </typename>
                <text>Holmes</text>
            </partname>
         </name>
         <addres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ermanent</tyvalue>
            </typename>
            <street>
                <streetname>Baker Street</streetname>
                <aptnumber>22</aptnumber>
                <aptnumsuffix>b</aptnumsuffix>
            </street>
            <city>London</city>
            <country>England</country>
         </address>
         <contactinfo>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ivate</tyvalue>
            </typename>
            <telephone>
                <countrycode>44</countrycode>
                <areacode>020</areacode>
                <indnumber>6472239</indnumber>
            </telephone>
         </contactinfo>
         <demographic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dult</tyvalue>
            </typename>
            <gender gender="M"/>
         </demographics>
         <agen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ide</tyvalue>
            </typename>
            <agentid>Dr.Watson</agentid>
            <agentdomai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Medical</tyvalue>
                </typename>
            </agentdomain>
         </agent>
     </identification>

유용한 식별 구조(identification structure)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identification>
         <comment>---------------------------------------Identification</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dentification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form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eferred</tyvalue>
            </typename>
            <comment>--------------------------Formatted Name details</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formnam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ext>Mr Sherlock Holmes</text>
         </formname>
         <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eferred</tyvalue>
            </typename>
            <comment>-------------------------------------Name details</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name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First</tyvalue>
                </typename>
                <text>Sherlock</text>
            </partname>
            <partnam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Last</tyvalue>
                </typename>
                <text>Holmes</text>
            </partname>
         </name>
         <addres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ermanent</tyvalue>
            </typename>
            <comment>---------------------------------Address details</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ddress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street>
                <streetname>Baker Street</streetname>
                <aptnumber>22</aptnumber>
                <aptnumsuffix>b</aptnumsuffix>
            </street>
            <city>London</city>
            <country>England</country>
         </address>
         <contactinfo>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ivate</tyvalue>
            </typename>
            <comment>----------------------------------Contact details</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contactinfo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elephone>
                <countrycode>44</countrycode>
                <areacode>020</areacode>
                <indnumber>6472239</indnumber>
            </telephone>
         </contactinfo>
         <demographics>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dult</tyvalue>
            </typename>
            <comment>------------------------------Demographic details</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demographics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gender gender="M"/>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Birth</tyvalue>
                </typename>
                <datetime>1901:04:01</datetime>
            </date>
         </demographics>
         <agen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ide</tyvalue>
            </typename>
            <comment>------------------------------------Agent details</comment>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agen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agentid>Dr.Watson</agentid>
            <agentdomai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Medical</tyvalue>
                </typename>
            </agentdomain>
         </agent>
     </identification>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6장을 참조한다.

8.2.7 <interest>

‘관심사(interest)’ 학습자정보는 취미 및 기타 여가활동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공식포상 (‘qcl’에 기록됨)도 포함될 수 있다. 전자형태의 증명서류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관심사에 따라 사용되는 ‘관심사(interest)’ 구조가 모두 다르다. ‘관심사(interest)’의 기본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interest>
         <product>
            <description>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base" contentreftype="uri">file.txt
                   </media>
                </full>
            </description>
         </product>
     </interest>

‘관심사(interest)’ 구조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interes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Recreationa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nteres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produc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ortfolio</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produc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1928:10:21</datetime>
            </date>
            <description>
                <full>
                   <media mediamode="Text" mimetype="text/base" contentreftype="uri">file.txt
                   </media>
                </full>
            </description>
         </product>
         <description>
            <short>Favourite hobby.</short>
         </description>
     </interest>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7장을 참조한다.

8.2.8 <qcl>

‘자격인증정보(qcl)’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에게 제공된 인증, 자격증, 면허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학력 및 실무경험을 증명해주는 공식문서 등). 자격인증정보(qcl)에는 인증기관에 대한 정보와 전자형태로 된 공식문서 등이 포함된다. 자격증/인증에 따라 사용되는 자격인증정보(qcl)이 각각 다르다. ‘자격인증정보(qcl)’의 기본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qcl>
         <title>Physics</title>
         <organization>
            <description>
                <short>Princeton University</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level>
            <text>Honours</text>
         </level>
     </qcl>

유용한 ‘자격인증정보(qcl)’ 구조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qcl>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Qualification</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qcl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itle>MA Criminology</title>
         <organiz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ducational</tyvalue>
            </typename>
            <description>
                <short>Cambridge University</short>
            </description>
         </organization>
         <level>
            <text>First Class Honours</text>
         </level>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20</datetime>
         </date>
         <description>
            <full>
                <media mediamode="Image" mimetype="image/gif" contentreftype="uri">
                   holmes/degree.gif
                </media>
            </full>
         </description>
     </qcl>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8장을 참조한다.

8.2.9 <relationship>

‘상관관계(relationship)’ 학습자정보는 다른 핵심적 데이터구조와의 상관관계를 저장할 때 활용된다. 한 곳에서 상관관계(relationship)에 관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 구조에 저장되어 있던 관련 정보들은 제거되었다. 서로 통신하는 시스템(communicating systems)간에 활용되는 상관관계(relationship)의 매핑(mapping)을 기록할 때도 ‘상관관계(relationship)’ 구조가 활용될 수 있다. ‘상관관계(relationship)’의 기본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relationship>
         <tuple>
            <tuplesource>
                <indexid>qcl_01</indexid>
            </tuplesource>
            <tuplerelation>
                <typename>
                   <tyvalue>results_from</tyvalue>
                </typename>
            </tuplerelation>
            <tupledest>
                <indexid>transcript_01</indexid>
            </tupledest>
         </tuple>
     </relationship>
이 사례에서, ‘자격인증정보(qcl)’ (sourcedid가 없다는 것은 관련 기록이 과거에 이 학습자정보와 연관이 있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간의 관계는 이전에 해당 학습자정보와 관련이 있었던 성적증명서와 관련하여 생성된다. 유용한 ‘상관관계(relationship)’ 구조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relationship>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Qcl</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relationship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tuple>
            <tuplesource>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1001</id>
                </sourcedid>
                <indexid>qcl_01</indexid>
            </tuplesource>
            <tuplerelation>
                <typename>
                   <tyvalue>results_from</tyvalue>
                </typename>
            </tuplerelation>
            <tupledest>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1001</id>
                </sourcedid>
                <indexid>transcript_01</indexid>
            </tupledest>
         </tuple>
         <description>
            <short>The QCL was based upon the identified transcript.</short>
         </description>
     </relationship>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9장을 참조한다.

8.2.10 <securitykey>

보안키(securitykey)’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와 커뮤니케이션할 때 필요한 암호와 보안코드를 저장하는데 활용된다. 각각의 보안키(securitykey)와 키클래스에 따라 사용되는 ‘보안키’ 구조가 모두 다르다. ‘보안키(securitykey)’의 기본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과 같다.
      <securitykey>
         <keyfields>
            <fieldlabel>
                 <typename>
                    <tyvalue>PersonalPassword</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asits9</fielddata>
         </keyfields>
     </securitykey>
유용한 ‘보안키(securitykey)’ 구조의 보다 복잡한 형태(maximal form)는 다음과 같다.
   <securityke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assword</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securitykey_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keyfields>
            <fieldlabel>
                <typename>
                   <tyvalue>PersonalPassword</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asits9</fielddata>
         </keyfields>
         <keyfields>
            <fieldlabel>
                <typename>
                   <tyvalue>LMSPassword</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moriarty</fielddata>
         </keyfields>
     </securitykey>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10장을 참조한다.

8.2.11 <transcript>

‘성적증명서(transcript)’ 학습자정보에는 교육기관이 발행하는 성적표가 저장된다. 기재 형태는 교육기관에 따라 재량에 따르며 사전에 정해진 형태는 없다. 유용한 ‘성적증명서(transcript)’구조의 기본적 형태는 다음과 같다.
   <transcript>
         <exrefrecord>
            <recformat>MSWord98</recformat>
            <recdata uri="holmes/cambridge_degree.doc"/>
         </exrefrecord>
     </transcript>
recformat 요소에 입력되는 입력사항(entry)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recdata 요소의 입력사항은 해당 요소와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transcript 요소 참조). 유용한 ‘성적증명서(transcript)’ 구조의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transcript>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cademic</tyvalue>
         </typename>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transcrip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exrefrecord>
            <recformat>MSWord98</recformat>
            <recdata uri="holmes/cambridge_degree.doc"/>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Award</tyvalue>
            </typename>
                <datetime>1920:9:30</datetime>
            </date>
         </exrefrecord>
         <description>
            <short>Cambridge University Transcript</short>
         </description>
     </transcript>

상기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5.11장을 참조한다.

8.3 LIP 구조 메타데이터

정보모델에는 데이터와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정보모델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필드와 이 필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유형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에는 학습자의 성명, 이수 교육과정, 학습목표, 선호하는 학습기법 등이 기록된다. 각각의 필드에 대한 메타데이터 (IMS 메타데이터 표준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다음과 같다.
  • 참고정보(Referential) – 데이터 자체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구조
  • 시간정보(Temporal) –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구조 (예: 발행일자/시간 등)
  • 프라이버시(Privacy) – 정보의 완전성을 보장하고 (예: 검사합계(checksum)) 프라이버시 데이터 (접근통제권한)를 포함하는 정보구조

8.3.1 참조구조(Referential Structure)

참조정보(referential information)는 학습자정보 기록 전체와 학습자정보 기록 내의 개별 데이터 구성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참조구조를 활용하여 각각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실제적인 식별시스템은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다. 참조 시스템 (referential system)은 sourcedid와 indexid의 활용을 전제로 한다 (8.6장 참조).

8.3.2 시간적 구조(Temporal Structure)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학습자정보의 생성일자, 타임스템프(time-stamp), 만료일자 등이 포함된다. 일자/시간 표현방식은 ISO8601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date’ 요소를 토대로 한다. 시간적 구조의 예는 다음과 같다.
   <contentype>
         <temporal>
            <temporal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Creation</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2000:12:31T17:00:00</fielddata>
            </temporalfield>
            <temporal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Expiry</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2001:12:31T17:00:00</fielddata>
            </temporalfield>
            <temporal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Deletion</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2002:12:31T17:00:00</fielddata>
            </temporalfield>
         </>
     </contentype>
이 사례에서, 관련 데이터구조에는 작성, 유효, 삭제 일자/시간의 표현방식이 정의되어 있다. 서로 통신하는 시스템(communicating systems) 내에 저장된 시간 관련 정보는 LIP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다.

8.3.3 프라이버시 구조(Privacy Structure)

프라이버시, 정보의 무결성, 신뢰성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이 구조에 포함된다. 학습자정보를 지원하는 실질적인 프라이버시 관련 매커니즘과 아키텍처는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지만, 이들 구조를 통해 학습자정보와 상호교환될 수 있다. 프라이버시 구조의 예는 다음과 같다.
   <contentype>
         <privacy>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Owner</tyvalue>
            </typename>
            <privacyfield>
                <fieldlabel>
                   <typename>
                       <tyvalue>Access</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Delete,Read,Write</fielddata>
            </privacyfield>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Create</tyvalue>
                </typename>
                <datetime>2000:12:31</datetime>
            <date>
            <date>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Expiry</tyvalue>
                </typename>
                <datetime>2001:06:30</datetime>
            <date>
         </privacy>
     </contentype>
상기 사례의 경우, 관련 데이터구조(associated data structure)는 ‘Owner’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구조에 적용될 프라이버시 매커니즘을 정의하였다. 여기에 작성, 삭제, 열람 권한이 지정된다. 이들 프라이버시 사항은 생성 일자로부터 만료 일자까지만 유효하다.

8.4 LIP 어휘

LIP 개발과정에서 LIP 어휘의 내용 및 구조에 대해 많은 토의가 이루어졌다. LIP 어휘는 다음의 세 가지 방식으로 활용된다.

  • 데이터구조의 내용을 정의한다. 예: ‘주소’란에 ‘billing, mailing 참조’라고 기록한다.
  • 데이터구조의 유형을 정의한다. 예: ‘활동’란에 업무, 서비스 등 참조’라고 기록한다.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모델을 수립할 수 있다.
  • 데이터 입력사항의 라벨을 정의한다. 예: results 요소는 사용자가 정의한 데이터구조로 이루어진다.

8.4.1 기본 어휘

31개의 어휘가 정해졌으며, 그 내용은 LIP 정보모델[LIP, 01a]의 표 8.1에 열거되어 있다. 이들 어휘의 내용은 확정적이지 않으며 향후 어휘의 확대 및 수정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이들 어휘는 포괄적으로 쓰일 것이며 그 외의 다른 어휘들이 추가될 수 있다. 즉, 특정한 데이터유형에 대하여 한 가지 이상의 입력사항이 기록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partname의 경우 ‘last’와 ‘surname’ 두 가지 모두 기록된다.

어휘 유형은 tysource 요소와 sourcetype 속성을 활용하여 정의된다. Sourcetype 속성은 어휘가 참조되는 네 가지 방법 (리스트, IMS 디폴트, 외부참조 proprietary 어휘, 외부참조 표준어휘)을 정의한다.

  • Explicit List

explicit list의 예는 다음과 같다.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List”>IEEE,ACM,BCS,IEE</tysource>
            <tyvalue>ACM</tyvalue>
         </typename>
         …
     </affiliation>
위의 사례에서, tysource element에 기록된 리스트에 가능한 그룹활동이 정의되고, tyvalue element의 데이터 콘텐츠에는 선택된 입력항목(selected entry)이 정의된다. 이 방식으로 생성된 리스트가 그룹(affiliation)을 위한 기본 IMS 어휘(defauly IMS vocabulary)의 확장인지의 여부는 정의되지 않는다. XML 해석기(parser)가 지원되지 않으므로, 주어진 어휘 리스트와 비교하여 선택된 입력항목(selected entry)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데이터 검증시스템(data validation system)을 활용하여 검증한다.
  • IMS Default

기본 IMS 어휘(default IMS vocabulary)의 사용 예는 다음과 같다.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
     </affiliation>
위의 사례에서, tysource element는 기본 IMS 어휘(default IMS vocabulary)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affiliation 어휘가 사용된다는 사실은 typename element의 사용 context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표준에서는 시스템과 parser가 실제의 디폴트 어휘를 가지게 되었는지가 정의되지 않는다 (XML 스키마 또는 XML 인스턴스에 정의되지 않는다). 단지 시스템에 이들 어휘가 사용될 수 있고, 해당 데이터가 내부적인 검증매커니즘을 통해 유효한지의 여부가 검증될 것이라고 가정할 뿐이다. (예: XML 해석기(parser)는 이러한 검증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필요하다면, 사용되는 기본 파일명을 전송할 수 있다.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imsdefaultdirectory/imsdefaultfilename.txt
            </tysource>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
     </affiliation>

기본 어휘의 확장이 다음과 같이 지원된다.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imsdefault”>IEEE,ACM,BCS,IEE</tysource>
            <tyvalue>Professional</tyvalue>
         </typename>
         …
     </affiliation>
위의 두 가지 기법에 대한 시스템 작동방법은 정의되지 않는다. 다만 초기 이용자들이 기본 IMS 어휘(default IMS vocabulary) 활용 시 후자의 확장기법을 시도한 것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 Proprietary
proprietary 어휘의 사용 예는 다음과 같다.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proprietary”>directory/filename.txt</tysource>
            <tyvalue>IEEE</tyvalue>
         </typename>
         …
     </affiliation>
위의 사례에서, proprietary 어휘의 파일명이 주어졌지만 대체수단(alternative method)을 사용하여 어휘의 논리적 식별자(logical identifier)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proprietary”>affiliationvocab1</tysource>
            <tyvalue>IEEE</tyvalue>
         </typename>
         …
     </affiliation>
Proprietary 어휘 내에 선택된 입력항목(selected entry)이 포함될 수 있다. Proprietary 어휘에는 기본 IMS 어휘(default IMS vocabulary)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입력사항(entry)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IMS는 proprietary 어휘를 유지할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 Standardised

standardised 어휘는 외부 표준 그리고/또는 표준 기관 (예: IEEE, ISO 등)의 통제를 받으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affiliation>
         <typename>
            <tysource sourcetype=”standard”>ISO</tysource>
            <tyvalue>IEEE</tyvalue>
         </typename>
         …
     </affiliation>

Tysource element 콘텐츠에 대한 식별자는 정의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외부적으로 표준화된 어휘가 발견되지 않는다. Tysource element 콘텐츠로 제공할만한 적절한 연상기호(mnemonic)를 만들 수 있도록 관련 어휘들을 추천해 주기 바란다.

8.4.2 어휘 확장

다음에 열거된 방법을 통해 어휘가 확장된다.

  • Proprietary의 소유자(Owner)가 필요한 경우 어휘를 추가할 수 있다.
  • IMS는 기본 어휘를 정해진 방법에 따라 추가할 것이다. 그러한 변화는 IMS 기술위원회의 동의 하에 이루어지고, LIP 정보모델에 반영될 것이다. 한편, 독자적인 XML 인스턴스(Instance)에 의해 어휘가 추가될 수 있으나, 이때 적절한 버전 관리(version control) 정보가 첨부되어야 한다.
  • 표준어휘(standard vocabulary)를 관리하는 조직은 합의된 방식을 통하여 변동이 필요한 부분을 수정할 수 있다.
LIP 사용자는 적합성 명시표(conformance statement)에 LIP가 지원하는 어휘 버전을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P를 활용하여 학습자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은 호환이 가능한 어휘를 사용해야 한다.

8.4.3 어휘를 활용한 데이터 입력

어휘를 활용한 데이터 입력(data entry)의 예는 다음과 같다.

      <activity>
         <evaluation>
            <result>
                 <score>
                    <fieldlabel>
                        <typename>
                           <tyvalue>Score</tyvalue>
                        </typename>
                    </fieldlabel>
                    <fielddata>65</fielddata>
                 </score>
            </result>
         </evaluation>
     </activity>
위의 사례에서, ‘결과’는 ‘score’라고 명시된 필드에 정의되고, 해당 내용은 ‘65’이다. 데이터 필드의 라벨만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어휘(associated vocabulary)는 포함시키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만약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적절한 어휘를 추가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에 해당되는 기본 IMS 어휘(default IMS vocabulary)는 존재하지 않는다.

8.5 LIP 내 상관관계 수립

LIP 표준의 발전과정에서, 많은 핵심 데이터구조와 다른 핵심 데이터구조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시하게 되었으며 화살표로 그 내용이 표시된다. 핵심 데이터구조 사이의 모든 관계를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LIP 내의 상관관계를 명시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의도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 대신, 상관관계 핵심 데이터구조를 추가시켰다. 상관관계 데이터구조는 LIP 내의 핵심 데이터구조와 외부 데이터구조 (sourcedid 그리고/또는 indexid를 사용하여 식별이 가능하다) 사이의 임의적인 관계수립을 지원한다. 상관관계를 정의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tuple을 활용하여 source객체, 대상객체(destination object)를 명시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각각의 tuple은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의 관계를 명시한다. 다대다(many-to-many)의 관계를 명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tuple을 생성해야 한다. 소스(source) 와 대상(destination) 은 sourcedid, indexed, 또는 sourcedid.indexid로 표시된다. Tuplerelation element 내에 정의되는 실질적 상관관계는 표준 LIP 어휘 매커니즘(standard LIP vocabulary mechanism)을 사용한다. 현재로서는, 이들 정의(definition)을 지원하는 기본 IMS 어휘(default IMS vocabulary)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관관계 데이터구조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왔을 당시,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활용방법이 실현되었다. 상관관계 구조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LIP 내에 포함된 두 개 이상의 데이터구조 간의 상관관계 (이들 데이터구조는 관련 sourcedid 또는 indexid를 가진다.)
  • 두 개 이상의 학습자 프로파일 간의 상관관계. 각각의 학습자 프로파일은 sourcedid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관관계가 성립된다.
  • 내부 데이터구조 참조 매커니즘(internal data structure referencing mechanism)과 LIP에 내재하는 교환 참조 매커니즘(exchange reference mechanism inherent within LIP) 사이의 상관관계. 이것은 커뮤니케이션 프로파일 서버 간에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 또는 사전(dictionary)을 교환하는 것과 유사한 활동이다.
  • 외부적으로 정의된 참조매커니즘 간의 상관관계. 이는 상관관계 데이터구조가 두 개의 시스템 간의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상관관계(relationships)가 서로 통신하는 시스템(communicating systems)에 의해서 정의되지만, 표준 자체의 일부분으로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두 가지의 동일한 트랜잭션이 데이터간에 서로 다른 상관관계(relationships)로 정의될 수 있다.

8.6 식별자(Identifier)

LIP는 분산 학습자정보 시스템(distributed learner information system) 간의 데이터교환을 지원한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유연한 참조시스템(flexible referencing system)인데 이 시스템은 학습자정보 기록과 학습자정보 기록 내에 있는 데이터구조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두 가지 개별적인 참조매커니즘 (학습자정보 기록과 데이터구조)은 다음의 식별자를 토대로 한다.
  • Sourcedid – 학습자정보 기록 식별자. Sourcedid는 학습자정보의 원천인 소스를 알려주는 소스라벨(source label)과 소스 내 기록의 식별자로 구성된다. 소스에 고유의 라벨이 붙여져서 각각의 서로 다른 학습자정보 기록이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소스라벨의 고유성(uniqueness)은 이 표준에서 다루지 않으며, 각각의 학습자정보 서버에 미리 지정된 고유의 소스라벨이 있다고 가정한다. IMS가 Global User Identifier(GUID)에 대한 정의매커니즘(definition mechanism)에 동의한다면, 이는 고유한 ‘sourcedid’를 생성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 Indexid – 학습자정보를 포함하는데 사용되는 11가지 핵심 데이터구조와 관련 하위구조에 index 번호가 부여됨으로써 학습자정보 기록 내에서 고유성을 유지한다. Index 번호를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정보가 필요할 경우 학습자정보 전체를 전송할 필요 없이 해당 부분만을 전송할 수 있다. Indexid는 영구적 지시기(pointer)로 활용되며, indexid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indexid (상호운용성을 위해 사용된다)와 지역 데이터베이스 주소 해석 구조(local database address resolution structure) 간에 매핑 테이블을 유지해야 한다.

Sourcedid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contentype>
         <referential>
            <sourcedid>
                <source>IMS_LIP_V1p0_Example</source>
                <id>1001</id>
            </sourcedid>
         </referential>
     </contentype>

Indexid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contentype>
         <referential>
             <indexid>interest_01</indexid>
         </referential>
     </contentype>

두 개의 식별자 매커니즘(identifier mechanism)에 대해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사항은 다음과 같다.

  • LIP를 통해 sourcedid와 indexid 기법을 활용하여 어떠한 데이터구조라도 식별할 수 있다. 이 두 식별자(sourcedid와 indexed)간의 유일한 차이점은 indexid가 학습자의 학습자정보 프로파일 전체 (예: 전체 프로파일에 대한 모든 LIP 구성요소)를 식별할 때만 고유성을 유지하면 되는 반면, sourcedid는 항상 고유성을 유지해야 한다 (globally unique).
  • 한 프로파일에는 한 개 이상의 sourcedid가 있다. 동일한 프로파일에 대한 sourcedid를 매핑하는 것은 이 규에서 다루지 않지만, 실행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복수의 sourcedid 간의 상관관계가 제공되지 않는다. – 그 이유는 보안을 고려해서이다.
  •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간의 트랜잭션 프로세싱이 지원되는 경우에만 indexid가 필요하다. Indexid와 지역 참조시스템(local referencing system) 간에 내부 매핑(internal mapping)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서로 통신하는 시스템(communicating systems)간에 indexid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식별자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LIP 인스턴스(Instance) 내 정보순서가 미리 정해져 있고, 또 다른 참조시스템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자가 필요하지 않다.

8.7 패키징, 트랜잭션, 메시징 및 프로토콜

LIP는 프로파일 서버에 의해 교환되는 정보의 데이터모델을 정의하는 것과도 관련되어 있다. 정보의 교환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스템 사양(system feature)이 필요하다. 층(layer)으로 되어 있는 프로파일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요도는 그림 8.1과 같다.
IMS KR 1003-3_8.1

그림 8.1 층으로 되어 있는 커뮤니케이팅 프로파일 서버의 스키마 모델 (A schematic model of layer-based communicating profile servers)

학습자정보의 교환은 다음의 구성체(construct)를 기반으로 한다.

  • 학습자정보 패키지(Learner information package) – 학습자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모델로서, IMS LIP 표준 내에 정의된다. 학습자정보 패키지는 IMS LIP 표준 내에 정의된 유일한 층(layer)이다. 통합 학습자정보 패키징(Aggregated learner information packaging)– 다수의 LIP 패키징을 활용하여 관련 정보 또는 서로 다른 조직 간에 교환되어야 할 개별 기록들을 취합할 수 있다. IMS 콘텐츠 패키징 표준이 채택된다 (7.1.2장 참조).
  • 학습자정보 트랜잭션(Learner information transaction) – 학습자정보의 기본 운용 (예: 학습자정보 구조의 생성, 수정, 삭제 등). 학습자정보 트랜잭션을 위해서는 적절한 행동모델(behavioural model)을 정의해야 한다. 이때, 행동모델은 해당 서비스 및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지원되어야 한다.
  • 학습자정보 메시지(Learner information message) – 학습자정보 개체(learner information entity)에 의해 교환되는 실제 메시지/객체. 프로토콜(protocol)은 한 개 이상의 학습자정보의 교환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XML 기반의 메시징 매커니즘을 사용하여 지원된다. (해당되는 경우) XML 기반의 메시징 시스템은 다른 IMS 표준에도 적용될 수 있다.
  • 일반 메시징(Generic messaging) – XML 메시지/객체를 요약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메시징 및 객체 관리시스템. 이 시스템은 SOAP, CORBA 등을 기반으로 한다.
  • 커뮤니케이션 시스템(Communications system) – 신뢰할만한 ETE(end-to-end) 커뮤니케이션 링크를 제공할 책임이 있는 기초적인 커뮤니케이션 아키텍처.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 시스템은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combination (TCP/IP)을 기반으로 한다.
  • 물리적 커뮤니케이션 링크(Physical communications link) – 서로 통신하는 프로파일 서버(communicating profile servers)를 연계시켜주는데 활용되는 실제 데이터네트워크. 일반적으로 이들 시스템은 LAN과 WAN을 함께 활용하여 연계된다.
LIP 정보를 교환하고자 하는 프로파일 서버는 해당 아키텍처와 호환해야 한다. 향후 IMS는 XML 트랜잭션, XML 기반의 메시징, 일반 메시징 레이어(generic messaging layer)의 실행에 대한 권고안을 발행할 예정이다. 권고안은 상호운용성을 보다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8.8 보안 아키텍처 및 고려사항[1]

LIP 기록이 교환되는 보안 아키텍처의 정의는 LIP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러나 LIP 데이터구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보안 이슈(security issue)와 아키텍처가 지원될 수 있는 여러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할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LIP 식별자(LIP identifiers)
  • 접근 제어(Access control)
  • 프라이버시(Privacy)
  • 데이터의 무결성(Data integrity)
  • 기타
상기 사항은 보안사양(security feature)이 지원되는데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LIP 아키텍처의 일부이다. 그림 8.1에서 보듯이, 다양한 보안사양(security feature)들이 다양한 계층(layer)에서 지원되어 신뢰할만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만들어 낸다.

8.8.1 LIP 식별자

학습자정보 전체에 대한 논리적 식별자(logical identifier)는 LIP 식별자이고, 부분에 대한 로지컬 식별자는 LIP 데이터구조이다. LIP 식별자는 라벨링 역할을 한다. Sourcedid 정보는 고유의 식별자이며, 따라서 학습자정보 기록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핵심사항이다. LIP 식별자에 접근(access)하거나 또는 표기(presentation)한다고 해서 바로 해당 정보에 접근이 허용된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8.8.2 접근 제어(Access Control)

일반적으로,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와 그들의 대리인 (예: 학부모, 기타 대리인)에 의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행정담당직원(administrative personnel)이 모두 학습자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저장 및 수정될 수 있는 정보의 유형에 제한이 있다.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의 환경에 따라 구성된다. 만약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학습하고 그룹학습이 없다면, 해당 학습자정보의 규모가 적을 것이고 개인적인 것에 그칠 것이다. 만약 학습자가 전통적인 교육기관 (동급생, 교사, 강사, 교장 등의 각 역할이 잘 정비되어 있는 학교)에서 학습하지만 온라인 그룹학습이 거의 없다면, 학습자정보는 학교와 학습자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주를 이룰 것이며 역시 개인적일 것이다. 만약 학습자가 온라인 그룹학습을 하고 있다면, 관련 내용이 학습자정보로 저장될 것이며 일부는 다른 학습자에게 공개될 것이다. private key와 같은 정보는 사적인 정보로 관리되고, public key와 같은 정보는 공개될 것이다. 만약 역할에 따라 접근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면 교사가 학생들의 성적을 수정할 수 있고 그 내용이 학습자정보에 저장될 것이며 관련 보안 인자(security parameter)가 기록될 것이다. LIP는 핵심 또는 일부 데이터구조에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8.3.3장을 참조하며, 이 부분은 선택사항이다). 서로 통신하는 시스템(communicating systems)이 이 정보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는 LIP 표준에서 다루지 않지만,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구현 정책(implementation policy)에 따라 다를 수 있다.

8.8.3 프라이버시(Privacy)

프라이버시는 ‘외부의 보안위협을 용인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추는 기술적 정책(technical policy)’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프라이버시에는 정보 복사 또는 전송의 통제 등이 포함된다. 프라이버시 정책은 다양한 기법, 기술, 절차, 관행 등으로 실행된다. 다양한 보안기법, 즉 물리적 보안(physical security), 기밀엄수(confidentiality), 허가 받은 개체에 대한 정보 검색 및 열람의 승인, 허가 받지 못한 개체에 대한 정보 검색 및 열람 금지 등을 통해 프라이버시 정책을 적용한다. 또한 다양한 보안기술 즉 접근 통제 및 암호 등을 통해서도 프라이버시 정책을 적용한다. 규제당국과 같은 정책입안가, 학교행정당국, 사용자들이 프라이버시 원칙을 정할 수 있으나, 여러가지 (단, 호환이 가능해야 한다) 프라이버시 정책의 실행원칙이 선택될 수도 있다. LIP는 핵심 또는 일부 데이터구조에 프라이버시를 설정할 수 있다 (8.3.3장을 참조하며, 이 부분은 선택사항이다). 서로 통신하는 시스템(communicating systems)이 이 정보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는 LIP 표준에서 다루지 않지만,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구현 정책(implementation policy)에 따라 다를 수 있다.

8.8.4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데이터 완전성은 ‘내부의 보안위협을 용인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추는 기술적 정책(technical policy)’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 완전성에는 정보 복사 또는 전송의 통제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완전성을 위한 정책은 다양한 기법, 기술, 절차, 관행 등으로 실행된다. 다양한 보안기법, 허가 받은 개체에 대한 저장 또는 기술(write) 승인, 허가 받지 못한 개체에 대한 저장 또는 기술 정보 검색 및 열람 금지 등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 정책을 적용한다. 또한 디지털서명, 접근 제어, 읽기만 허용되는 미디어 등을 통해서도 데이터 접근성 정책을 적용한다. 규제당국과 같은 정책입안가, 학교행정당국, 사용자들이 데이터 무결성 적용원칙을 정할 수 있으나, 여러가지 (단, 호환이 가능해야 한다) 데이터 무결성 정책의 적용원칙이 선택될 수도 있다. 데이터 무결성 지원은 LIP에서 다루지 않는다. LIP 인스턴스(Instance)의 교환은 데이터 무결성을 보증하는 신뢰할만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활용하여 지원된다. 그러나, LIP가 핵심 또는 일부 데이터구조에 프라이버시를 설정할 수 있다 (8.3.3장을 참조하며, 이 부분은 선택사항이다). 허가 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데이터 변형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검사합계(checksum)도 포함시킬 수 있다.

8.8.5 기타

Nomadic Access

학습기술 구성요소는 학습자정보를 nomadic 환경에서 읽고/쓰는 것을 필요로 한다. 학습자정보 시스템은 로컬 콘텐츠 (예: CD-ROM)와 리모트 또는 원격 기록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Nomadic access는 LIP 인스턴스가 교환되는 하나의 방법이다.

Granularity

학습자정보는 다양한 granularity레벨에서 저장된다. 프로파일 서버에서 기록을 추출할 때 granularity의 수준을 포함해도 좋고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LIP는 granularity 레벨에 상관 없이 학습자정보의 교환을 지원한다.

8.9 분산 아키텍처(Distributed Architectures) 및 고려사항

  • LIP 기록 내에 분산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것은 LIP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러나 LIP 데이터구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분산 아키텍처가 지원될 수 있는 여러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할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LIP 식별자 – sourcedid가 고유성을 유지한다는 것은 원칙상 모든 학습자정보 기록이 LIP 식별자를 사용하여 식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정보가 한 개 이상의 sourcedid를 가질 수는 있으나, 학습자정보 간의 관계를 일치시키는 문제는 시스템 구현 단계에서 다룰 부분이다. (LIP내의 상관관계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 책임(commitment), 동시실행(concurrency), 복원(recovery), 복제(replication)– 시스템의 트랜잭션/메시징 구성요소의 사양(feature)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들 기능은 LIP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다.
  • 트랜잭션 granularity 및 확장성(scalability) – LIP는 정보의 양에 관계 없이 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단일 또는 그룹 단위로 패키징된 LIP 인스턴스(Instance)의 정보 규모에 상관 없이 LIP 표준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Nomadic access – LIP를 지원하는 환경에서는 항상 nomadic-access 시스템을 지원한다. Granularity 수준에 상관 없이, 유연한 식별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고 시간적/프라이버시 메타데이터의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nomadic-access 시스템 간에 학습자정보를 교환하는데 있어 LIP는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9. 요소 (2차 개정본)

표 9.1에 열거된 요소(element)들은 통해 차후 버전의 표준의 어느 부분에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표 9.1 V1.x/2.0 표준 요소 리스트

확장 요소명 (Extension Element Name)

호스트 요소 (Host Element)

내용

disability accessibility 학습자의 장애 및 학습시 어려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사용된다. IMS 접근성 워킹그룹(IMS Accessibility working-group)의 작업산출물이 반영될 것이다.
eligibility accessibility 학습자의 적격성 (예: 스폰서십, 선수과정 이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사용된다.
competency competency IMS 역량 정의 워킹그룹(IMS Competency Definitions working-group)의 작업산출물이 반영될 것이다.
transcript transcript 현재 진행 중인 ANSI X.12 그룹의 작업산출물이 반영될 것이다.
taxonomy learnerinformation 핵심 데이터객체를 지원하는데 활용될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axonomies)를 반영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주:

상기 요소들의 구조는 V1.x/V2.0 버전에서는 수정될 예정이다. 이들 요소의 주요 역할은 이후 버전에서 포함될 기능의 유형을 알려주는 데 있다. 따라서 제공업체 (vendor)들은 V1.0 버전을 구현할 경우에는, 이들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확장성(Extensibility)

표 10.1에 열거된 proprietary extensions 기능은 표준 내에서 요소(element)로서 지원된다.

표 10.1 독점적 확장 요소(List of proprietary extension elements)

확장 요소명 (Extension Element Name)

호스트 요소 (Host Element)

내용

ext_accessibility accessibility proprietary 사양을 접근성(accessibility) 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activity activity proprietary 사양을 활동(activity) 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affiliation affiliation proprietary 사양을 그룹활동(affiliation) 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competency competency proprietary 사양을 역량(competency) 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contentype contentype proprietary 사양을 contentypeelement (모든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 root element, 기타 데이터객체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date date proprietary 사양을 dateelement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definition definition proprietary 사양을 definitionelement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disability disability proprietary 사양을 disabilityelement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disability element는 차후 버전에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ext_eligibility eligibility proprietary 사양을 eligibilityelement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ligibility element는 차후 버전에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ext_evaluation evaluation proprietary 사양을 evaluationelement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xt_exrefrecord exrefrecord proprietary 사양을 exrefrecordelement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xt_goal goal proprietary 사양을 goal 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proprietary 사양을 identification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interest interest proprietary 사양을 interest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language language proprietary 사양을 language element (accessibility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xt_learnerinfo learnerinformation Root element 구조의 확장이 허용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핵심 데이터구조를 root에 추가시킬 수 있다. 단, 새로운 핵심 구조는 차후 버전의 메인 프레임워크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ext_objectives objectives proprietary 사양을 objectives element(activ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 evaluation element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xt_preference preference proprietary 사양을 preference element(accessibil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 preference element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xt_product product proprietary 사양을 productelement(일부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xt_qcl qcl proprietary 사양을 qcl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relationship relationship proprietary 사양을 relationship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role role proprietary 사양을 role element (affiliation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xt_securitykey securitykey proprietary 사양을 securitykey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ext_testimonial testimonial proprietary 사양을 testimonial element (activity 핵심 데이터구조의 일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ext_transcript transcript proprietary 사양을 transcript 핵심 데이터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인스턴스당 한 번의 확장(extension)이 가능하다.

주:

워킹그룹은 상기의 확장기능(extension)을 LIP 표준 내의 핵심기능으로 간주하여, 타 표준과는 달리 향후 LIP 표준의 모든 버전에서 다룰 것이다. LIP는 학습자정보의 가능한 모든 유형을 포함하여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이전에도 제한을 두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러할 계획이 없다) 표준에서 사용되는 확장기능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1] 이 장에서 제기되는 많은 이슈들은 IEEE PAPI 표준 초안 6버전에서 제기되었던 이슈와 유사하다. 단지 차이점이 있다면 LIP의 사양들을 활용하여 지원하는 방식에 있다.

11. 적합성(Conformance)

적합성을 명시하는 이유는 사용자들이 학습자정보 콘텐츠(Learner Information content) 및 관련 도구(tool) 제공업체들을 공정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제공업체들이 모든 사양들을 지원할 필요는 없으나, ‘적합성 명시표(Conformance Statement)’에 적합성 수준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명시해야 한다.

11.1 유효한 데이터 이슈

적합성 수준을 명시한 제공업체들은XML Schema에 의해 정의된 학습자정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어야 한다 (해당되는 경우, 확장기능도 포함된다). IMS LIP을 다루기 위해, 적합성 명시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해야 한다.
  • 모든 필수적(mandatory) 정보모델 요소들이 올바르게 만들어지고 적합한 장소에 저장되었음을 명시하여야 한다.
  • 모든 선택적(optional) 정보모델 요소들이 올바르게 만들어지고 (해당되는 경우) 적합한 장소에 저장되었음을 명시하여야 한다.
  • LIP 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확장기능이 어디에서 요구되고, 사용되었는지를 명시하여야 한다.

11.2 적합성 명시표

‘적합성’을 인정받기 원하는 제공업체들은 ‘적합성 명시표(Conformance Statement)’를 작성하여 적합성 수준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적합성 명시표는 다음의 12가지 표로 구성되어 있다.
  • 표 11.1 – <learnerinformation>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2 – <accessibility>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3 – <activity>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4 – <affiliation>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5 – <competency>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6 – <goal>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7 – <identification>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8 – <interest>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9 – <qcl>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10 – <relationship>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11 – <securitykey> 데이터구조 적합성
  • 표 11.12 – <transcript> 데이터구조 적합성
선택필드에 √표시가 되는 경우,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1.2.1 학습자정보(Learnerinformation) 적합성 명시표

표 11.1 학습자정보(Learnerinformation) 적합성 명시표

학습자정보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identification
  • □ accessibility
  • □ goal
  • □ qcl
  • □ activity
  • □ competency
  • □ interest
  • □ affiliation
  • □ transcript
  • □ securitykey
  • □ relationship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learnerinfo

11.2.2 접근성(Accessibility) 적합성 명시표

표11.2 접근성(Accessibility) 적합성 명시표

접근성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language
  • □ preference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accessibility
  • □ ext_language
  • □ ext_preference
  • □ ext_disability
  • □ ext_eligibility

11.2.3 활동(Activity) 적합성 명시표

표 11.3 활동(Activity) 적합성 명시표

활동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date
  • □ status
  • □ units
  • □ learningrefactivity
  • □ product
  • □ definition
  • □ evaluation
  • □ testimonial
  • □ status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activity
  • □ ext_definition
  • □ ext_product
  • □ ext_testimonial
  • □ ext_evaluation

11.2.4 그룹활동(Affiliation) 적합성 명시표

표 11.4 그룹활동(Affiliation) 적합성 명시표

그룹활동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affiliationid
  • □ role
  • □ organization
  • □ date
  • □ status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affiliation
  • □ ext_role

11.2.5 역량(Competency) 적합성 명시표

표 11.5 역량(Competency) 적합성 명시표

역량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exrefrecord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Functions

  • □ ext_competency
  • □ ext_exrefrecord

11.2.6 목표(Goal) 적합성 명시표

표 11.6 목표(Goal) 적합성 명시표

목표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date
  • □ priority
  • □ status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goal

11.2.8 식별(Identification) 적합성 명시표

표 11.7 식별(Identification) 적합성 명시표

식별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formname
  • □ name
  • □ contactinfo
  • □ telephone
  • □ facsimile
  • □ mobile
  • □ pager
  • □ email
  • □ web
  • □ address
  • □ pobox
  • □ street
  • □ locality
  • □ city
  • □ country
  • □ statepr
  • □ region
  • □ postcode
  • □ timezone
  • □ geo
  • □ demographics
  • □ representation
  • □ gender
  • □ date
  • □ uid
  • □ agent
  • □ agentid
  • □ agentdomain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identification

11.2.9 관심사(Interest) 적합성 명시표

표 11.8 관심사(Interest) 적합성 명시표

관심사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product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interest
  • □ ext_product

11.2.10 자격인증정보(Qcl) 적합성 명시표

표 11.9 자격인증정보(Qcl) 적합성 명시표

Qcl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title
  • □ organization
  • □ registrationno
  • □ level
  • □ date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qcl

11.2.11 상관관계(Relationship) 적합성 명시표

표 11.10 상관관계(Relationship) 적합성 명시표

상관관계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tuplesource
  • □ tuplerelation
  • □ tupledest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relationship

11.2.12 보안키(Securitykey) 적합성 명시표

표 11.11 보안키(Securitykey) 적합성 명시표

목표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keyfields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securitykey

11.2.13 성적증명서(Transcript) 적합성 명시표

표 11.12 성적증명서(Transcript) 적합성 명시표

성적증명서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exrefrecord
  • □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 typename
Functions
  • □ ext_transcript
  • □ ext_exrefrecord

11.3 적합성 명시표 예

다음의 표들은 적합성 명시표 11.1-11.2의 작성 사례를 보여준다. 이들 사례에서, <identification>과 <qcl> 핵심 데이터구조만이 지원된다. 그 결과 다음의 세 가지 적합성 명시표가 만들어진다.

  • 표 11.13 – 사례 학습자정보(learnerinformation) 적합성 명시표
  • 표 11.14 – 사례 식별(identification) 적합성 명시표
  • 표 11.15 – 사례 자격인증정보(qcl) 적합성 명시표

표 11.13 사례 학습자정보(learnerinformation) 적합성 명시표

학습자정보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v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v comment
  • v identification
  • □ accessibility
  • □ goal
  • v qcl
  • □ activity
  • □ competency
  • □ interest
  • □ affiliation
  • □ transcript
  • □ securitykey
  • □ relationship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v typename
Functions
  • □ ext_learnerinfo

표 11.14 사례 식별(identification) 적합성 명시표

식별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v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v comment
  • v formname
  • v name
  • v contactinfo
  • □ telephone
  • □ facsimile
  • □ mobile
  • □ pager
  • □ email
  • □ web
  • □ address
  • v pobox
  • v street
  • v locality
  • v city
  • v country
  • v statepr
  • □ region
  • v postcode
  • □ timezone
  • □ geo
  • v demographics
  • □ representation
  • □ gender
  • □ date
  • □ uid
  • □ agent
  • □ agentid
  • □ agentdomain
  • v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v typename
Functions
  • □ ext_identification

표 11.15 사례 자격인증정보(qcl) 적합성 명시표

Qcl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v contentype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v comment
  • v title
  • v organization
  • v registrationno
  • v level
  • v date
  • v description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Vocabularies
  • v typename
Functions
  • □ ext_qcl

표 11.13, 11.14, 11.15에 나타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표 11.13은 <identification>와 <qcl> 핵심 데이터구조만이 지원됨을 보여준다. <learnerinformation> 수준에서는 확장(extension)이 지원되지 않는다. 모든 필수사양(mandatory feature), 어휘(vocabulary), 관련 확장기능(associated extension facitlity)들도 지원된다.
  • 표 11.14는 모든 필수사양들이 지원됨을 보여준다. <comment>, <formname>, <name>, <contactinfo>, <demographics>, <description> 사양들이 지원된다. 그러나 <address> element 내의 <region>, <timezone>, <geo> 사양들은 지원되지 않는다 (따라서 <address> 체크박스에는 √표시가 되어 있지 않다). 확장 사양(Extension feature)에는 기능적 확장(functional extension)은 허용되지 않는다 (예: <ext_identification>은 지원되지 않는다).
  • 표 11.15는 모든 사양들이 <qcl> 내에서 지원되지만, 확장기능(extension function)만은 제외된다 (예: <ext_qcl> 요소는 지원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