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MS 학습자정보 관리 - 정보 모델 |
발행일 | 2008년 00월 00일 |
최신 버전 | IMS 학습자정보 관리 - 정보모델 1.0버전 |
이전 버전 |
Copyright ©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2007. All Rights Reserved.
이 표준을 배포하거나 제품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활용하고자 한다면, IMS Korea 표준화 포럼 사무국(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승인 요청을 하고 이메일을 통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IMS 정식회원 및 기부회원, 개발자 네트워크는 상기의 저작권 공지사항과 이 문장을 사본에 포함시키는 조건 하에 이 표준을 배포 및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작권 공지사항 또는 IMS 명칭이 표기된 부분을 삭제하는 등, 이 표준을 훼손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단, IMS가 승인한 프로젝트그룹의 감독 하에 IMS 표준을 수정하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상기 부여된 제한된 승인 내용은 영속적이며, IMS 또는 후임기관 그 누구라도 라이센스를 취소할 수 없다. 이 표준은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으며, 특히 불침해에 대한 그 어떤 보증도 하지 않는다. 이 표준의 사용에 대한 책임은 온전히 사용자에 의하며, 그 어떤 컨소시엄이나 제공 주체도 이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제3자가 직간접적으로 입을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Copyright © 2007 by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Inc. All Rights Reserved.
심의부회 : | |||
성 명 | 근 무 처 | 직 위 | |
원안작성 협력기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IMS Korea 표준화 포럼) | |||
성 명 | 근 무 처 | 직 위 | |
(위 원 장) | 황대준 |
성균관대학교 |
교수 |
(실무위원) | 김성윤 |
(주)포씨소프트 |
이사 |
(실무위원) | 김 현 |
(주)씨티유니온 |
과장 |
(실무위원) | 유욱종 |
(주)다울소프트 |
부장 |
(실무위원) | 조성현 |
테크빌닷컴(주) |
부사장 |
(실무위원) | 조용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팀장 |
(실무위원) | 장근원 |
(주)크레듀 |
과장 |
(실무위원) | 차남주 |
(주)디유넷 |
부사장 |
(실무위원) | 최성기 |
SK C&C |
과장 |
(자문위원) | 권희춘 |
수원여대 |
교수 |
(자문위원) | 김종현 |
계원예술대학 |
교수 |
(자문위원) | 김현진 |
한국교원대학교 |
교수 |
(자문위원) | 손진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교수 |
(자문위원) | 정광식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교수 |
(자문위원) | 한태인 |
(주)메디오피아 |
부사장 |
(간 사) | 신성욱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연구원 |
그림 1.1 IMS 학습자정보 패키지(LIP) 핵심 데이터구조
그림 4.1 학습자정보 시스템 구성요소
학습자정보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표 4.1 학습자정보의 일반 카테고리[1]
학습자 | 생산자 | |
|
|
|
속성 – 고정값 |
|
|
속성 – 임의값 |
|
|
포트폴리오 – 학습자가 스스로 보고 |
|
|
포트폴리오 – 외부기관(서드파티)이 보고 |
|
|
그림 6.1 LIP 데이터구조의 원칙
그림 6.1(b)는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의 기본으로 간주되는 11가지 핵심적 정보유형과 콘텐츠 내용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콘텐츠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열거한 것이다. 유연하고 효과적인 정보교환을 위해 상기 내용을 8가지 구조로 분류한다. 그림 6.1(a)에 나타나 있는 콘텐츠 정보, 즉 콘텐츠 유형 (contentype)은 다음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그림 7.1 학습자 프로필 정보체계
그림 7.1에 나타나 있는 구조[2]는 다음과 같다. <…data…> 실질적 학습자정보로 이 데이터는 식별(identification), 관심사, 자격인증정보(qcl: qualifications, Certifications, Licenses), 목표, 성적증명서, 접근성, 역량, 그룹활동(affiliation), 상관관계 (relationship), 보안키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식별(identification)‘식별’ 학습자정보에는 개인 또는 조직의 모든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 (예: 성명, 주소, 연락처, 대리인, 신상정보 등) | |
접근성(accessibility)‘접근성’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의 인지적/기술적/물리적 선호학습방법, 능력장애, 자격, 언어능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학습환경을 활 용할 수 있는 학습자의 역량을 의미한다. | |
자격인증정보(qcl : Qualifications, Certifications, Licenses)‘qcl’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에게 제공된 인증, 자격증, 면허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학력 및 실무경험을 증명해주는 공식문서 등) qcl 에는 인증기관에 대한 정보와 전자형태로 된 공식문서 등이 포함된다. 자격증/인증에 따라 사용되는 qcl이 각각 다르다. | |
활동(activity)‘활동’ 학습자정보는 교육/연수, 실무경험, 각종 공익활동(군경력, 커뮤 니티봉사, 자원봉사 등)의 기록 및 증명서(공식포상은 제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자가 이수한 교육과정의 설명과 평가결과가 기록 된다. 각각의 입력사항에 따라 사용되는 ‘활동’ 구조가 모두 다르다. | |
목표(goal)‘목표’ 학습자정보는 개인의 목표 및 열망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목 표달성의 진전사항도 포함된다. 목표와 더불어 세부목표까지 기록될 수 있다. 각각의 입력사항에 따라 사용되는 ‘목표’ 구조가 모두 다르 다. | |
역량(competency)‘역량’ 학습자정보는 학습자가 습득한 스킬이 기록된다. 이들 스킬은 공식적/비공식적 연수 또는 실무경험(‘활동’에 기록됨), 공식포상(‘qcl’ 에 기록됨)과 연관이 된다. 각각의 역량에 따라 사용되는 ‘역량’ 구조 가 모두 다르며, 외부 참조매커니즘(external reference mechanism)을 활용한다. 이 항목에 기록되는 역량은 IMS 역량 정의 실무그룹(IMS Competency Definition working-group)의 정의가 적용된다. | |
관심사(interest)‘관심사’ 학습자정보는 취미 및 기타 오락활동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공식포상(‘qcl’에 기록됨)도 포함될 수 있다. 전자형태의 증명서류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관심사에 따라 사용되는 ‘관심사’ 구조가 모두 다르다. | |
성적증명서(transcript)‘성적증명서’ 학습자정보에는 교육기관이 발행하는 성적표가 저장된다. 기재 형태는 교육기관에 따라 재량에 따르며 사전에 정해진 형태는 없다. | |
그룹활동(affiliation)‘그룹활동’ 학습자정보에는 학습자의 그룹활동 (학급, 학습그룹 등)이 저장되며, 이들 정보는 IMS 엔터프라이즈 표준 기법(IMS Enterprise specification technique)을 활용하여 교환된다. | |
보안키(securitykey)‘보안키’ 학습자정보는 학습자와 커뮤니케이션할 때 필요한 암호와 보안코드를 저장하는데 활용된다. 각각의 보안키와 키클래스에 따라 사용되는 ‘보안키’ 구조가 모두 다르다. | |
상관관계(relationship)‘상관관계’ 학습자정보는 다른 핵심적 데이터구조들간의 상관관계를 저장할 때 활용된다. 한 곳에서 상관관계에 관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 구조에 저장되어 있던 관련 정보들은 제거되었다. 커뮤니케이팅 시스템에 의해 활용되는 상관관계의 매핑(mapping)을 기록할 때도 ‘상관관계’ 구조가 활용될 수 있다. |
그림 7.2 분산된 학습자정보 참조
분산된 학습자정보의 LIP의 지원사례는 그림 7.2와 같다. 그림에 나와 있는 시스템은 세 가지의 학습자정보 서버(LIS1, LIS2 and LIS3)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자정보는 네 가지의 구조(indexid_1 to indexid_4)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자정보 서버인 LIS1에는 sourceid_1이 지정되어 있다. LIS1는 학습자정보를 또 다른 두 개의 서버인 LIS2, LIS3과 공유할 수 있다. LS1는 학습자정보를 다른 두 개의 서버에 제공하며, 이들 정보는 동일한 sourceid를 가진다. 이들 sourceid를 통해 LI서버 간에 존재하는 학습자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세 가지 서버간에 학습자정보를 추가적으로 교환시키려면 indexid를 활용하여 데이터구조를 파악한다. 이 접근법을 활용함으로써, 세 가지 서버들이 동일한 학습자정보를 포함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이 같은 방법을 통해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실상, LIS2와 LIS3만이 ‘sourceid_1’ 기록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indexid_1’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학습자 (개인 또는 조직)에 관한 정보를 서로 다른 LIS에 저장시켜 sourceid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개별 학습자가 두 개 이상의 sourceid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분산 학습자정보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분산된 학습자정보를 하나의 구조로 통일시키거나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이 표준에서는 다루지 않는다.표 8.1 학습자정보 패키지 데이터객체 상세표
번호 | 이름 | 설명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1.1 | langtype | 정보에 활용되는 기본언어 (default language)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1.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1.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1.4 | identification | 이름, 주소, 연락처, 대리인, 신상정보 등의 개인정보 | O | n | 표 8.2 를 따름.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여러 번의 입력 가능 | |
1.5 | accessibility | 언어, 장애, 선호도, 자격 등의 학습자 접근성 이슈 | O | n | 표 8.3 을 따름. 각각의 접근성 양식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6 | goal | 학습, 경력, 기타 목표 및 열망 | O | n | 표 8.4 를 따름. 각각의 목표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7 | qcl | 교육과정 이수 후, 취득한 자격증(qualification), 인증(certification), 면허증(licence) | O | n | 표 8.5 를 따름. 각각의 자격증, 인증, 면허증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8 | activity | 학습자정보와 관련된 활동 | O | n | 표 8.6 을 따름. 각각의 교육/연수, 실무경험, 서비스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9 | competency | 학습역량 | O | n | 표 8.7 을 따름. 각각의 역량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10 | interest | 취미, 오락활동 등의 학습자정보 | O | n | 표 8.8 을 따름. 각각의 관심사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11 | affiliation | 학습, 전문, 시민, 레크리에이션 조직에서의 활동 | O | n | 표 8.9 를 따름. 각각의 그룹활동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12 | transcript | 학업성과 요약 | O | n | 표 8.10 을 따름. 각각의 성적증명서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13 | securitykey | 학습자와의 상호관계시 사용되는 보안키 | O | n | 표 8.11 을 따름. 각각의 보안키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14 | relationship | 핵심 데이터구조 간의 상관관계 | O | n | 표 8.12 를 따름. 각각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1.15 | extension | 최상층의 ‘학습자정보’ 확장 | O | n | 구조 13.16(표 8.13)을 따름. |
표 8.2 identification(식별자)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2.1 | comment | 구조 13.2 (표 8.13)을 따름 | ||||
2.2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2.3 | formname | 개인 또는 조직의 포맷명 - as per vCard. | O | n | 각각의 이름에 대하여 개별 입력 | |
2.3.1 | typename | 포맷명의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의 이름을 적절 하게 정함 | ||
2.3.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을 따름 | ||||
2.3.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2.3.4 | text | 이름 자체 | M | 구조 13.13 (표 8.13)을 따름 | ||
2.4 | name | 개인 또는 조직의 구체적 이름 | O | n | 각각의 이름에 대하여 개별 입력 | |
2.4.1 | typename | 이름의 유형 | O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도메인 유형의 이름을 적절 하게 정함 | ||
2.4.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을 따름 | ||||
2.4.3 | contentype | 구조 13.2 (표 8.13)을 따름 | ||||
2.4.4 | partname | 이름의 일부분 (예: ‘first’, ‘last’ 등) | M | n | 이름의 일부분에 대하여 개별 입력 | |
2.4.4.1 | typename | 이름의 유형 | O | 구조 13.4 (표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의 이름을 적절 하게 정함 | ||
2.4.4.2 | text | 이름 자체 | M | 구조 13.13 (표 8.13)을 따름 | ||
2.5 | address | 개인 또는 조직의 상세 주소 | O | n | 각각의 주소에 대하여 개별 입력 | |
2.5.1 | typename | 주소 유형 | M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의 이름을 적절 하게 정함 | ||
2.5.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2.5.4 | pobox | Post Office Box 번호 | O | 문자열 1-32 자 | ||
2.5.4.1 | langtype | PO Box 에 사용된 기본 언어 | ||||
2.5.5 | street | 주소 중 거리명 | O | |||
2.5.5.1 | nonfieldedstre etaddress | 포맷되지 않은 거리명 | O | 문자열 1-256 자 | ||
2.5.5.1.1 | langtype | non-fielded street address 에 사용되는기본 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2 | complex | 거리에 있는 건물명(name of the complex) | O | 문자열 1-128 자 | ||
2.5.5.2.1 | langtype | 건물명에 사용되는 기본 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3 | streetnumber | 거리번호 | O | 문자열 1-8 자 | ||
2.5.5.3.1 | langtype | 거리번호에 사용되는 기본 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4 | streetprefix | 거리명에 붙은 접두어 (예: ‘St.’) | O | 문자열 1-8 자 | ||
2.5.5.4.1 | langtype | 거리명 접두어에 사용되는 기본 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5 | streetname | 거리명 | O | 문자열 1-128 자 | ||
2.5.5.5.1 | langtype | 거리명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6 | streetype | 거리유형 (예: ‘Road’, ‘Avenue’ 등) | O | 문자열 1-32 자 | ||
2.5.5.6.1 | langtype | 거리유형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7 | streetsuffix | 거리명에 붙은 접미사 | O | 문자열 1-8 자 | ||
2.5.5.7.1 | langtype | 거리명 접미사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8 | apttype | 아파트유형 | O | 문자열 1-32 자 | ||
2.5.5.8.1 | langtype | 아파트유형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9 | aptnumprefix | 아파트 동호수 접두사 | O | 문자열 1-8 자 | ||
2.5.5.9.1 | langtype | 아파트 동호수 접두사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10 | aptnumber | 아파트 동호수 | O | 문자열 1-8 자 | ||
2.5.5.10.1 | langtype | 아파트 동호수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5.11 | aptnumsuffix | 아파트 동호수 접미사 | O | 문자열 1-2 자 | ||
2.5.5.11.1 | langtype | 아파트 동호수 접미사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5.6 | locality | 주소 중 지방(locality) 표시 부분 | O | |||
2.5.6.1 | langtype | 지방(locality)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2.5.7 | locality | 주소 중 지방(locality) 표시 부분 | O | |||
2.5.7.1 | langtype | 지방(locality)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2.5.8 | country | 주소 중 국가(country) 표시 부분 | O | 문자열 1-128 자 | ||
2.5.8.1 | langtype | 국가(country) 표시 부분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2.5.9 | statepr | 주소 중 주(state)/도(pro vince) 표시부분 | O | 문자열 1-128 자 | ||
2.5.9.1 | langtype | 주(state)/도(pro vince) 표시 부분에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2.5.10 | region | 주소 중 지역(region) 표시 부분 | O | 문자열 1-128 자 | ||
2.5.10.1 | langtype | 지역(region) 표시 부분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2.5.11 | postcode | 주소 중 우편번호(postc ode) | O | 문자열 1-16 자 | ||
2.5.11.1 | langtype | 우편번호(post code)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2.5.12 | timezone | 주소 중 시간대(timezone) 표시 부분 | O | 문자열 1-8 자 | ||
2.5.12.1 | langtype | 시간대(timezone) 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2.5.13 | geo | 경도/위도로 표시되는 위치표시 | ||||
2.5.13.1 | lat | 위도 | M | #PCDATA. | 도(degree) (AB), 분(minutes) (XY),초(seconds) (MN) (예: AB.XY.MN AB 는 00-89 의 정수, XY 와 MN 은 00-60 의 정수 | |
2.5.13.2 | lon | 경도 | M | #PCDATA. | 도(degree) (AB), 분(minutes) (XY),초(seconds) (MN) (예: AB.XY.MN AB 는 00-89 의 정수, XY 와 MN 은 00-60 의 정수 | |
2.6 | contactinfo | 개인 또는 조직의 연락처 정보 | O | n | ||
2.6.1 | typename | 연락처 정보 유형 (예: 자택 또는 직장 등)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의 이름을 적절하게 정함 | ||
2.6.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6.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2.6.4 | telephone | 전화번호 | O | |||
2.6.4.1 | countrycode | 국가코드 | O | #PCDATA. 00-99 의 두 자리 정수 | ||
2.6.4.2 | areacode | 지역코드 | M | #PCDATA. 1-10 자 | ||
2.6.4.3 | indnumber | 전화번호 | M | #PCDATA. 1-10 자 | ||
2.6.4.4 | extnumber | PABX 내의 교환번호 | O | #PCDATA. 1-10 자 | ||
2.6.5 | facsimile | 팩스번호 | O | |||
2.6.5.1 | countrycode | 국가코드 | O | #PCDATA. 00-99 의 두 자리 정수 | ||
2.6.5.2 | areacode | 지역코드 | M | #PCDATA. 1-10 자 | ||
2.6.5.3 | indnumber | 팩스번호 | M | #PCDATA. 1-10 자 | ||
2.6.5.4 | extnumber | PABX 내의 교환번호 | O | #PCDATA. 1-10 자 | ||
2.6.6 | facsimile | 팩스번호 | O | |||
2.6.6.1 | countrycode | 국가코드 | O | #PCDATA. 00-99 의 두 자리 정수 | ||
2.6.6.2 | areacode | 지역코드 | M | #PCDATA. 1-10 자 | ||
2.6.6.3 | indnumber | 휴대폰 번호 | M | #PCDATA. 1-10 자 | ||
2.6.7 | pager | 무선호출기 번호 | O | |||
2.6.7.1 | countrycode | 국가코드 | O | #PCDATA. 00-99 의 두 자리 정수 | ||
2.6.7.2 | areacode | 지역코드 | M | #PCDATA. 1-10 자 | ||
2.6.7.3 | indnumber | 무선호출기 번호 | M | #PCDATA. 1-10 자 | ||
2.6.8 | 이메일 주소 | O | #PCDATA. 1-128 자 | |||
2.6.9 | web | URL 의 웹주소 | O | #PCDATA. 1-128 자 | ||
2.7 | qcl | 교육과정 이수 후, 취득한 자격증(qualification),인증(certification), 면허증(licence) | O | n | 표 8.5 를 따름. 각각의 자격증, 인증, 면허증에 대하여 1 회 입력 가능 | |
2.7.1 | typename | 신상정보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의 이름을 적절 하게 정함 | ||
2.7.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7.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를 따름 | ||||
2.7.4 | representation | 학습자에 관한 대리인 정보 (예: 사진) | O | n | ||
2.7.4.1 | date | 대리인 정보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2.7.4.2 | description | 학습자 대리인 정보임을 설명하고 사용처 요약 | O | n | 구조 13.5 (표 8.13)을 따름 | |
2.7.5 | gender | 학습자의 성별 | O | ‘남성(Male )’ 또는 ‘여성(Fem ale)’ | 사용언어에 영향을 끼침 | |
2.7.6 | date | 신상정보 데이터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2.7.7 | placeofbirth | 학습자의 출생지 | O | 문자열 1-128 자 | ||
2.7.7.1 | langtype | 출생지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2.7.8 | uid | 학습자 식별자 (예: 주민등록번호) | O | 문자열 1-32 자 | ||
2.8 | agent | 학습자 대리인에 관한 정보 | O | 각각의 대리인에 대하여 개별 입력 | ||
2.8.1 | typename | 대리인의 유형 (예: 부모, 후견인 등) | O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도메인 유형의 이름을적절하게 정함 | ||
2.8.2 | comment | 학습역량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2.8.3 | contentype | 학습역량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2.8.4 | agentid | 대리인 식별자 | O | 문자열 1-128 자 | ||
2.8.5 | agentdomain | 대리인의 역할 (예: 법적, 재무적 등) | O | |||
2.8.5.1 | typename | 역할의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의 이름을 적절하게 정함 | ||
2.8.6 | description | 대리인 역할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2.9 | extension | ‘식별자’ 학습자정보의 확장 | O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표 8.3 accessibility(접근성)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
3.1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3.2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를 따름 | |||||
3.3 | language | 학습자의 읽기, 쓰기, 말하기 능력 | O | n | 각각의 언어에 대하여 개별 입력 | ||
3.3.1 | typename | 언어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은 언어유형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3.3.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3.3.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3.3.4 | proficiency | 학습자의 언어숙련도 (예: 말하기, 읽기, 쓰기) | C | 문자열 1-1024 자 | |||
3.3.4.1 | langtype | 언어숙련도 명시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3.3.4.2 | extension | ‘언어’ 학습자의 확장 기능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3.4 | preference | 학습방법 선호학습방법 (선택/필수) | O | n | |||
3.4.1 | typename | 인지적 선호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은 인식유형(cognitivetype) 유형을 사용하여 정의됨 | |||
3.4.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3.4.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3.4.4 | prefcode | 선호도에 따라 코드 입력 | O | #PCDATA | 선호사항 표기에 정해진 포맷 없음 | ||
3.4.4.1 | langtype | 선호도 명시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3.4.5 | description | 선호도 상세내용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3.4.6 | extension | ‘인지적 선호’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3.5 | eligibility | 학습자가 갖추고 있는 자격 | O | n | V2.0 에서 개정 예정 | ||
3.5.1 | typename | 학습자가 갖추고 있는 자격의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자격’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3.5.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3.5.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3.5.4 | extension | ‘자격’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3.6 | disability | 학습자가 겪고 있는 장애 | O | n | V2.0 에서 개정 예정 | ||
3.6.1 | typename | 학습자가 겪고 있는 장애의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장애’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3.6.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3.6.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3.6.4 | extension | ‘장애’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3.7 | extension | ‘접근성’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표 8.4 goal(목표)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4.1 | typename | 목표 유형 | O | 구조 13.4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목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4.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4.3 | contentype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4.4 | date | 목표의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4.5 | priority | 목표의 우선순위 | O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4.5.1 | langtype | 목표 명시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4.6 | status | 목표의 기재상태(recor ded status) | O | n | 구조 13.8 (표 8.13)을 따름 | |
4.7 | description | 목표에 대한 상세내용 | O | 구조 13.5 (표 8.13)을 따름 | ||
4.8 | goal | 하위목표 수립에 필요한 반복적 참조 | O | n | 표 8.4를 따름 | |
4.9 | extension | ‘목표’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표 8.5 qcl(자격인증정보)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5.1 | typename | 자격증, 인증, 면허증의 유형 | O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도메인 유형은 해당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5.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5.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를 따름 | ||||
5.4 | title | 자격증, 인증, 면허증의 명칭 | O | |||
5.4.1 | langtype | 자격증/인증/면 허증(qcl) 명시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5.5 | organisation | 자격증, 인증, 면허증 수여 기관 | O | 구조 13.14 (표 8.13)를 따름 | ||
5.6 | registrationno | 자격증, 인증, 면허증의 일련 번호 | O | 문자열 1-256 자 | ||
5.7 | level | 자격증/인증/면 허증(qcl)의 등급/레벨 | O | |||
5.7.1 | text | 등급의 상세설명 | M | 구조 13.13 (표 8.13)을 따름 | ||
5.7.2 | level | 하위등급의 자격증/인증/ 면허증에 대한 정의 | O | 레벨 (레벨 정도는 임의적)을 설명할 때 반복적 구조 (recursive structure)가 만들어 짐 | ||
5.8 | date | 자격증, 인증, 면허증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5.9 | description | 자격증, 인증, 면허증에 대한 상세내용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5.10 | extension | 자격증/인증/면 허증(qcl)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를 따름 |
표 8.6 활동(activity)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6.1 | typename | 교육, 연수, 직업, 서비스 등의 활동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6.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6.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6.4 | date | 활동 기재일자 | O | n | 이 구조의 사용 여부는 사용자가 정함 | |
6.5 | status | 활동의 기재상태(recorded status) | 구조 13.8 (표 8.13)을 따름; | |||
6.6 | units | 활동에 부여되는 단위(unit) | O | 이 구조의 사용여부는 사용자가 정함 | ||
6.6.1 | unitsfield | 단위(unit)에 부여되는 필드(field) | M | n | ||
6.6.1.1 | fieldlabel | 단위(unit)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를 명시한 라벨 | M | 구조 13.10 (표 8.13)을 따름 | ||
6.6.1.2 | fielddata | 단위(unit) 필드 데이터 콘텐츠 | M | 구조 13.11 (표 8.13)을 따름 | ||
6.7 | learningactivity ref | 관련 학습식별자에 대한 외부 참조 | O | n | ||
6.7.1 | sourcedid | 학습활동 (참고대상)의 글로벌 식별자 | O | n | 구조 13.3.1.1 (표 8.13)을 따 름 | |
6.7.2 | text | 참조된 학습활동에 대한 상세설명 | O | n | 구조 13.13 (표 8.13)을 따름 | |
6.8 | definition | 활동의 일부로 연구대상이 된 자료(material) 의 정의 | O | n | 구체적 구조는 사용처에 따 라 달라지므로, 표준 포맷은 없음 | |
6.8.1 | typename | 정의 유형(type of definition)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 를 사용하여 정의됨 | ||
6.8.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6.8.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6.8.4 | definitionfield | 정의구조(defi nition structure)가 포함되어 있는 필드 | O | n | ||
6.8.4.1 | fieldlabel | 정의데이터(d efinition data)를 포함하는 필드를 명시한 라벨 | M | 구조 13.10 (표 8.13)을 따름 | ||
6.8.4.2 | fielddata | 정의 필드 데이터(definition field data) 콘텐츠 | 구조 13.11 (표 8.13)을 따름 | |||
6.8.5 | description | 자료 정의(material definition)에 대한 상세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6.8.6 | definition | ‘정의(definitio n)’ 구조를 반복적으로 참고함으로써, 자의적인 복합계층 정의(complex hierarchical definition)를 내릴 수 있음 | O | n | 구조 8.8을 따름 | |
6.8.7 | extension | ‘정의(definitio n)’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6.9 | product | 활동을 통해 생산된 결과물 | O | n | 구조 13.9 (표 8.13)를 따름 | |
6.10 | testimonial | 활동과 관련된 자가 학습자에 대하여 수여한 추천서/증명서 | O | n | ||
6.10.1 | typename | 추천서의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 로 정의됨 | ||
6.10.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6.10.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6.10.4 | date | 추천서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6.10.5 | description | 추천서 내용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6.10.6 | extension | 추천서 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 16 (표 8.13)을 따름 | ||
6.11 | evaluation | 활동의 평가 (예: 시험결과 등) | O | n | ||
6.11.1 | typename | 평가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 를 사용하여 정의됨 | ||
6.11.2 | comment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6.11.3 | contentype | 구조 11.2 (표 8.11)를 따름 | ||||
6.11.4 | evaluationid | 평가 구성요소(eval uation component)와 관련된 식별자 | O | IMS QTI 표준에 정의된 항목(Item), 섹션(Section), 또는 평가(Assessme nt) 식별자를 예로 들 수 있다. | ||
6.11.5 | date | 평가결과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6.11.6 | evalmetadata | 평가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 O | IMS QTI 표준에 정의된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 ||
6.11.6.1 | typename | 메타데이터 그룹의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 를 사용하여 정의됨 | ||
6.11.6.2 | evalmetadatafi eld | 메타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구조 | M | n | ||
6.11.6.2.1 | langtype | 메타데이터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6.11.6.2.2 | fieldlabel |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를 명시한 라벨 | M | 구조 13.10 (표 8.13)을 따름 | ||
6.11.6.2.3 | fielddata | 메타데이터 필드 데이터 콘텐츠 | M | 구조 13.11 (표 8.13)을 따름 | ||
6.11.7 | objectives | 평가자료(eval uation material)에 명시된 목표 | O | n | IMS QTI 표준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매커니즘 사용 | |
6.11.7.1 | view | 특정 목표에 대한 견해 | O | n | IMS QTI 표준에서 정의된 어휘 사용 | IMS QTI 표준에서 사용되는 매커니즘 사용 |
6.11.7.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6.11.7.3 | media |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의 학습자료에 대한 콘텐츠 개체틀(conten t placeholder) | M | 구조 13.12 (표 8.13)를 따름 | ||
6.11.7.4 | contentref | 목표와 관련한 자료에 대한 외부참조 매커니즘 | O | n | 문자열 1-2048 자 | |
6.11.7.5 | extension | ‘목표’ 정보에 대한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6.11.8 | status | 평가의 기재현황 | O | n | 구조 13.8 (표 8.13)을 따름 | |
6.11.9 | noofattempts | 평가 시도 횟수 | O | 1-99 의 정수 | ||
6.11.10 | duration | 평가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간 (예: 마지막 시도를 완료한 시간) | O | n | 기간은 자의적으로 정해지며, 적용되는 표준 포맷은 없음 | |
6.11.10.1 | fieldlabel | 기간 데이터(duratio n data)를 포함하는 필드를 명시한 라벨 | M | n | 구조 13.10 (표 8.13)을 따름 | |
6.11.10.2 | fielddata | 기간 데이터 콘텐츠 | M | n | 구조 13.11 (표 8.13)을 따름 | |
6.11.11 | result | 평가결과 | O | n | 결과는 자의적으로 기록되며, 적용되는 표준 포맷은 없음 | |
6.11.11.1 | interpretscore | 점수 데이터(scorin g data)의 context 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예: 최고 가능점수) | C | n | ||
6.11.11.1.1 | fieldtype | 결과 데이터(result data)를 포함하는 필드 유형 | M | 구조 13.10 (표 8.13)을 따름 | ||
6.11.11.1.2 | fielddata | 결과 필드 데이터 콘텐츠 | M | 구조 13.11 (표 8.13)을 따름 | ||
6.11.11.2 | score | 점수 데이터 | C | n | 점수유형은 수치로만 표현될 필요는 없다. | |
6.11.11.2 | result | 평가의 세부결과 | C | n | 구조 6.11. 11 를 따름 | 복잡한 결과 구조(complex results structures)의 지원이 허용됨 |
6.11.11.2.1 | fieldlabel | 점수 데이터(score data)를 포함하는 필드를 명시한 라벨 | M | 구조 13.10 (표 8.13)을 따름 | ||
6.11.11.2.2 | fielddata | 점수 필드 데이터 콘텐츠 | M | 구조 13.11 (표 8.13)을 따름 | ||
6.11.12 | description | 평가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6.11.13 | evaluation | ‘정의(definitio n)’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의적인 복합계층 정의(complex hierarchical definition)를 내릴 수 있음 | O | n | 구조 6.11을 따름 | |
6.11.14 | extension | ‘서비스(servic e)’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6.12 | description | 활동 자체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6.13 | activity | 반복적인 참고를 통해, 자의적인 복합활동 구조를 수립할 수 있음 | O | n | 표 8.6에 나와 있는 구조를 따름 | |
6.14 | extension | ‘활동’ 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표 8.7 ‘역량(competency)’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7.1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7.2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7.3 | exrefrecord | 적절한 외부구조를 사용하여, 역량설명 | O | 구조 13.15 (표 8.13)를 따름 | ||
7.4 | description | 역량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7.5 | extension | ‘역량’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표 8.8 ‘관심사(interest)’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8.1 | typename | 관심사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 를 사용하여 정의됨 | ||
8.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8.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8.4 | product | 관심사 활동(interest activity)의 결과물 | O | 구조 13.9 (표 8.13)를 따름 | ||
8.5 | description | 관심사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9 (표 8.13)를 따름 | ||
8.6 | extension | ‘관심사’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표 8.9 ‘그룹활동(affiliation)’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9.1 | typename | 그룹활동의 유형 (예: 직업상 수행하는 그룹활동)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 를 사용하여 정의됨 | ||
9.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9.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9.4 | classification | 그룹 멤버십의 유형 (예: ‘회원’ ‘동료’ 등) | O | 문자열 1-128 자 | 그룹 분류는 역할과는 구분됨 | |
9.4.1 | langtype | 분류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9.5 | affiliationid | 그룹활동에 부여된 식별자 (예: 회원 번호) | O | 문자열 1-128 자 | ||
9.6 | role | 학습자의 역할 | O | n | ||
9.6.1 | typename | 주최기관(host organization)에 서 맡은 역할의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을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9.6.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을 따름 | ||||
9.6.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9.6.4 | date | 그룹활동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9.6.5 | status | 역할의 기재현황(recor ded status) | O | n | 구조 13.8 (표 8.13)을 따름 | |
9.6.6 | description | 그룹활동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9.6.7 | role | 반복적 참조를 통해 하위역할(subrole) 정의 가능 | O | n | 구조 9.6 에 나와 있는 구조를 따름 | |
9.6.8 | extension | ‘역할’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9.7 | organisation | 학습자의 그룹활동 소속조직 | O | 구조 13.14 (표 8.13)를 따름 | ||
9.8 | date | 그룹활동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9.9 | status | 그룹활동 기재현황 | O | 구조 13.8 (표 8.13)을 따름 | ||
9.10 | description | 그룹활동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9.11 | affiliation | 반복적인 참조를 통해, 복잡한 그룹활동 구조 수립이 가능 | O | n | 구조 6.9에 나와 있는 구조를 따름 | |
9.12 | extension | ‘그룹활동’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표 8.10 ‘성적증명서(transcript)’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10.1 | typename | 성적증명서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상호합의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10.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10.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10.5 | description | 성적증명서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10.6 | extension | ‘성적증명서’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표 8.11 ‘보안키(security)’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11.1 | typename | 보안키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적절한 어휘 를 사용하여 정의됨 | ||
11.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11.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11.4 | keyfields | 보안키 분류 (예: ‘PKC’ 암호 등) | O | n | ||
11.4.1 | fieldlabel | 보안키 분류 (예: ‘PKC’ 암호 등) | M | 구조 13.10 (표 8.13)을 따름 | ||
11.4.2 | fielddata | 보안키 데이터 (예: 실제 암호 또는 암호화키) | M | 구조 13.11 (표 8.13)을 따름 | ||
11.5 | description | 보안키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11.6 | extension | ‘보안키’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표 8.12 ‘상관관계(relationship)’ 학습자정보 데이터구조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12.1 | typename | 상관관계 유형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상호합의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12.2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12.3 | contentype | 구조 13.3 (표 8.13)을 따름 | ||||
12.4 | tuple | 다양한 상관관계를 정의해주는 집합(tuple) | O | Tuple 은 tupl esource, tupl erelationship , tupledestinati on 로 정의되며, tuplesource 와 한 가지 이상의 tupledestinati on 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냄 | ||
12.4.1 | tuplesource | 상관관계의 소스 구성요소 | M | 소스(Source) 는 ‘indexid’가 포함된 ‘sourceid’ 또는 단순히 ‘indexid’로 정의됨 | ||
12.4.1.1 | sourcedid | 상관관계의 소스 역할을 하는 학습자정보의 ‘sourceid’ | O | 구조 13.3.1.1 (표 8.13)을 따름 | ||
12.4.1.2 | indexid | 소스 상관관계 식별자 | M | 구조 13.3.1.2 (표 8.13)를 따름 | ||
12.4.2 | tuplerelation | 소스와 목표 개체 사이의 상관관계 | M | 상관관계(rel ationship)의 유형은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12.4.2.1 | typename | 상관관계 유형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어휘 | O | 구조 13.4 (표 8.13)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상호합의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12.4.2.2 | text | 상관관계 유형 (어휘에서 선택) | O | 구조 13.13 (표 8.13)을 따름 | ||
12.4.3 | tupledest | 상관관계의 목표 구성요소 | M | n | 소스(Source) 는 ‘indexid’가 포함된 ‘sourceid’ 또는 단순히 ‘indexid’로 정의됨 | |
12.4.3.1 | sourcedid | 상관관계의 목표 역할을 하는 학습자정보의 ‘sourceid’ | O | 구조 13.3.1.1 (표 8.13)을 따름 | ||
12.4.3.2 | indexid | 소스 상관관계 식별자 | M | 구조 13.3.1.2 (표 8.13)를 따름 | ||
12.5 | description | 상관관계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12.6 | extension | ‘상관관계’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표 8.13 공통 데이터객체 상세표
번호 | 이름 | 내용 | 필수 여부 | 다중도 | 유형 | 주 |
13.1 | langtype | 정보입력에 사용되는 언어 | M | 문자열 | 입력되는 언어(language entries)는 ISO 표준을 따름 | |
13.2 | comment | LIP 정보에 대한 주석(comment). 이들 주석(comment)은 해석기(parser)에 의하여 삭제될 수 없음 | O | 문자열 | XML 파일의 주석을 달 때 사용됨 | |
13.2.1 | langtype | 코멘트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13.3 | contentype | 학습자정보 구조의 콘텐츠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 O | 참고정보가 항상 정의되어야 함. 그 외의 정보는 선택사항임 | ||
13.3.1 | referential | 학습자정보와 학습자정보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참고정보 | M | n | 입력사항(entry) 에 한 가지 이상의 ‘sourcedid’ 또는 ‘indexid’가 부여됨 | |
13.3.1.1 | sourcedid | 초기시스템(initiatin g system)의 학습자 정보 소스 식별 | C | 입력사항(entry) 이 ‘sourcedid’로 정의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indexid’로 정의되어야 함 | ||
13.3.1.1.1 | source | 학습자정보를 생산하는 소스시스템의 명칭 | M | #PCDATA 1-256 자 | 소스(source)에 이름을 붙이는 것은 본 표준의 적용범위를 벗어남 | |
13.3.1.1.2 | id | 생성된 입력사항(creating entity)에 의해 부여된 학습자정보 기록 식별자 | M | ID 1-256 자 | XML 파일에 한하여, ‘id’의 고유성은 XML 해석기(parser)에 의해서 강화됨. 이 식별자는 트랜젝션 메시지(transactio n message)를 사용하는 동안 유지됨 | |
13.3.1.2 | indexid | 학습자정보를 포함하는 실제 데이터구조의 식별자. 이 식별자는 지속적으로 사용되며, 이후의 트랜잭션에도 이 식별자가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매핑표(mapping table)를 유지해야 함 | C | ID 1-256 chars. | XML 파일에 한하여, ‘id’의 고유성은 XML 해석기(parser)에 의해서 강화됨.입력사항(entry) 이 ‘sourcedid’로 정의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indexid’로 정의되어야 함 | |
13.3.2 | temporal | (데이터구조의) 시간 관련 정보를 설명하는 데이터 (예: 작성일자, 유효기간 등) | O | n | 유효기간이 정의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가 지속적으로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함다양한 시간정보 구조가 사용됨 (예: 작성일자, 유효기간 만료일자 등) | |
13.3.2.1 | typename | 시간적 상관관계의 유형 | M | 도메인 유형은 상호합의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9 장 참조) | ||
13.3.2.2 | temporalfield | 시간적 데이터구조가 정의된 필드 | M | n | ||
13.3.2.2.1 | fieldlabel | 시간적 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 유형 | M | 구조 13.10 을 따름 | ||
13.3.2.2.2 | fielddata | 시간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 유형 | M | 구조 13.11 을 따름 | ||
13.3.3 | privacy | 학습자정보에 대한 접근가능성 여부와 정보의 무결성을 설명하는 데이터 | O | 필드에 기재된 콘텐츠 의미는 이 표준의 적용범위가 아님 | ||
13.3.3.1 | privacyfield | 프라이버시 데이터구조를 정의하는 필드 | M | n | ||
13.3.3.1.1 | fieldlabel | 프라이버시 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 유형 | M | 구조 13.10 을 따름 | ||
13.3.3.1.2 | fielddata |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 유형 | M | 구조 13.11 을 따름 | ||
13.3.3.3 | date | 프라이버시 정보와 관련된 일자들 (예: 유효기간 등)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13.4 | typename | 유형이 정의된 객체를 표시한 라벨 | O | 명명규칙(naming convention)은 이름의 사용방법을 명시한 것임. 이 표준이 지원하는 어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9 장 참조 요망 | ||
13.4.1 | tysource | 어휘의 소스(source) | O | 어휘 자체 또는 어휘를 포함하는 외부파일(externa l file)의 이름을 포함함. | ||
13.4.1.1 | sourcetype | 적절한 어휘를 포함하는 웹페이지 또는 파일 참조 | O | Enumerate d list of:imsdefault (default)standardlistproprietary | ‘리스트(list)’ 값이 존재한다면, 사용 어휘는 문자리스트(char acter separated list)에 포함됨. 어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9 장 참조 요망. 만약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데이터는 한 단어로만 입력 가능 | |
13.4.2 | tyvalue | 선정된 유형에 대한 설명 | 문자열 1-256 자 | 관련 언어 문자열(language string)이 존재함 | ||
13.4.2.1 | langtype | 타이핑 데이터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13.5 | description | 관련 정보에 대한 설명 (예: 텍스트 이미지) | O | |||
13.5.1 | short | 한 줄로 간략하게 설명 | M | 문자열 1-128 자 | ||
13.5.1.1 | langtype | 간략한 설명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13.5.2 | long | 상세 설명 | O | 문자열 1-2048 자 | ||
13.5.2.1 | langtype | 타이핑 데이터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13.5.3 | full | 활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 (예: 텍스트, 이미지 사용) | O | |||
13.5.3.1 | comment | 구조 13.2를 따름 | ||||
13.5.3.2 | media |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의 학습자료에 대한 콘텐츠 개체틀(content placeholder) | M | n | 구조 13.12를 따름 | |
13.6 | date | 기재 일자/시간 | O | |||
13.6.1 | typename | 일자유형(type of date) | O | 구조 13.4 를 따름. 도메인 유형은 상호합의된 어휘를 사용하여 정의됨 | ||
13.6.2 | datetime | 일자의 문자열: YYYY:MM:DDTHH: MM:SS | M | 문자열 1-20 자 | ISO8601 에 토대로 정의됨 | |
13.6.3 | description | 일자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를 따름 | ||
13.6.4 | extension | ‘일자’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을 따름 | ||
13.7 | priority | 이벤트, 활동, 목표 등의 우선순위 | O | 문자열 1-64 자 | ||
13.7.1 | langtype | 우선순위에 사용되는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13.8 | status | 특정 이벤트, 활동, 목표 등의 현황 | O | |||
13.8.1 | typename | 현황의 유형 | O | 구조 13.4를 따름. 도메인 유 형은 상호합의된 어휘를 사용 하여 정의됨 | ||
13.8.2 | date | 현황 기재일자 | O | 구조 13.6을 따름 | ||
13.8.3 | description | 현황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를 따름 | ||
13.9 | product | 활동의 결과 생성된 전자형태의 자료 (예: 보고서, 다이어그램 등) | ||||
13.9.1 | typename | 결과물의 유형 | O | 구조 13.4를 따름. 도메인 유 형은 상호합의된 어휘를 사용 하여 정의됨 | ||
13.9.2 | comment | 구조 13.2를 따름 | ||||
13.9.3 | contentype | 구조 13.3을 따름 | ||||
13.9.4 | date | 결과물과 관련된 일자들 (예: 작성일자) | O | 구조 13.6 을 따름 | ||
13.9.5 | description | 결과물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를 따름 | ||
13.9.6 | extension | 결과물’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을 따름 | ||
13.10 | fieldlabel | 필드 정의 확장 | O | n | 이 정보는 커뮤니케이팅 시스템과 호환되어야 한다. 이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참고정보까지 확대가 가능하다. | |
13.10.1 | typename | 필드에 사용되는 어휘 | O | 구조 13.4를 따름 | ||
13.11 | fielddata | 필드에 기재된 데이터 | O | n | #PCDATA | 텍스트 문자열 또는 숫자 포맷 |
13.12 | media |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의 학습자료에 대한 콘텐츠 개체틀(content placeholder) | C | |||
13.12.1 | mediamode |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데이터 유형 (예: 텍스트, 이미지 등) | M | 텍스트,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애플릿, 응용 프로그램 등의 리스트 | ||
13.12.2 | contentreftype | 정보유형 (예: 내부(embedded) 또는 외부(external) 참조) | O | URI 정보의 리스트(Ba se-64 가 기본적으 로 적용) | ||
13.12.3 | mimetype | (저장된) 정보의 Mime 유형 | M | RFC1521 의 MIME 을 따름 | ||
13.13 | text | (저장된) 텍스트 | O | n | 문자열 | 파일 자체에 텍스트가 포함되거나 URL 을 사용하여 참조 가능함 |
13.13.1 | langtype | 텍스트에 사용된 기본언어 | 구조 13.1 (표 8.13)을 따름 | |||
13.13.2 | uri | (기록에 저장될) 관련 텍스트에 대한 외부파일 참조 | O | 문자열 1-128 자 | ||
13.13.3 | entityref | (기록에 저장될) 관련 텍스트에 대한 외부파일 참조 | O | 문자열 1-128 자 | XML ENTITY 구조를 사용함 | |
13.14 | organization | 관련 조직 식별 | C | 문자열 1-128 자 | ||
13.14.1 | typename | 조직 유형 | 구조 13.4를 따름. 도메인 유 형은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여 정의됨 | |||
13.14.2 | description | 조직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13.15 | exrefrecord | 정보 저장에 사용될 외부 기록 포맷 및 구조 | O | |||
13.15.1 | comment | 구조 13.2 (표 8.13)를 따름 | ||||
13.15.2 | recformat | 외부 기록의 포맷 | M | ANY | 이 요소의 콘텐츠 형태는 제한이 없음 | |
13.15.2.1 | uri | 포맷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의 Uri | O | 문자열 1-256 자 | ||
13.15.2.2 | entityref | (기록에 저장될) 관련 텍스트에 대한 외부파일 참조 | O | 문자열 1-128 자 | XML ENTITY 구조를 사용함 | |
13.15.3 | recdata | 외부 기록 콘텐츠 | M | ANY | 이 요소의 콘텐츠 형태는 제한이 없음 | |
13.15.3.1 | uri | 데이터 자체를 포함하는 파일의 Uri | O | 문자열 1-256 자 | ||
13.15.3.2 | entityref | (기록에 저장될) 관련 텍스트에 대한 외부파일 참조 | O | 문자열 1-128 자 | XML ENTITY 구조를 사용함 | |
13.15.4 | date | 기록의 기재일자 | O | n | 구조 13.6 (표 8.13)을 따름 | |
13.15.5 | description | 외부기록에 대한 설명 | O | 구조 13.5 (표 8.13)를 따름 | ||
13.15.6 | extension | ‘외부기록’ 학습자정보의 확장 기능 | O | 구조 13.16 (표 8.13)을 따름 | ||
13.16 | extension | 특정 기능을 지원할 경우에만 사용가능한 확장요소 | O | C | ANY | 정보모델 내에서 확장을 하게 되면, 각각의 XML bind 구현방식이 존재함 이들 요소에 대한 설명은 표 8.14 에 나와 있음 |
표 8.14 ‘확장요소(extensions)’ 리스트
번호 | 이름 | 소스요소(Source Element ) | 사용법 |
14.1 | ext_accessibility | 접근성(accessibility) | ‘접근성(Accessibility)’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2 | ext_activity | 활동(activity) | ‘활동(Activity)’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3 | ext_affiliation | 그룹활동(affiliation) | ‘그룹활동(Affiliation)’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4 | ext_competency | 역량(competency) | ‘역량(Competency)’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5 | ext_contentype | 콘텐츠유형(contentype) | ‘콘텐츠유형(Contentype)’ 메타데이터 구조의 확장 |
14.6 | ext_date | 일자(date) | ‘일자(Date)’ 공통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7 | ext_definition | 정의(definition) | ‘활동(Activ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에서 ‘정의(Definition)’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8 | ext_disability | 장애(disability) | ‘접근성(Accessibil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에서 ‘장애(Disability)’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9 | ext_eligibility | 자격(eligibility) | ‘접근성(Accessibl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에서 ‘자격(Eligiblity)’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10 | ext_evaluation | 평가(evaluation) | ‘활동(Activ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의 ‘평가(Evaluation)’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11 | ext_exrefrecord | 외부기록(exrefrecord) | ‘역량(Competency)’ 및 ‘성적증명서(Transcript)’ 핵심 데이터구조 내의 ‘Exrefrecord’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12 | ext_goal | 목표(goal) | ‘목표(Goal)’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13 | ext_identification | 식별(identification) | ‘식별(Identification)’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14 | ext_interest | 관심사(interest) | ‘관심사(Interest)’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15 | ext_language | 언어(language) | ‘접근성(Accessibil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의 ‘언어(Language)’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16 | ext_learnerinfo | 학습자정보(learnerinfo) | IMS LIP 최상층의 확장 (예: 11 가지 핵심 데이터구조의 대안책) |
14.17 | ext_objectives | 목표(objectives) | ‘평가(evaluation)’ 데이터구조 내에 ‘목표(Objectives)’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18 | ext_preference | 선호도(preference) | ‘접근성(Accessibil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의 ‘선호도(Preference)’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19 | ext_product | 결과물(product) | ‘활동(Activity)’ 및 핵심 데이터구조 내의 ‘결과물(Product)’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20 | ext_qcl | 자격인증정보(qcl) | ‘Qcl’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21 | ext_relationship | 상관관계(relationship) | ‘상관관계(Relationship)’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22 | ext_role | 역할(role) | ‘그룹활동(Affiliation)’ 핵심 데이터구조 내의 ‘역할(Role)’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23 | ext_securitykey | 보안키(securitykey) | ‘보안키(Securitykey)’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14.24 | ext_testimonial | 추천서(testimonial) | ‘활동(Activity)’ 핵심 데이터구조 내의 ‘추천서(Testimonial)’ 데이터객체의 확장 |
14.25 | ext_transcript | 성적증명서(transcript) | ‘성적증명서(Transcript)’ 핵심 데이터구조의 확장 |
표 9.1 ‘명칭유형(typename)’ 어휘 리스트
번호 | 소스요소(Source Element) | 파일명 | 기본 어휘(default vocabulary)법 |
1 | activity | imslipv1p0_activity.txt | Work, Service, Education, Training, Military |
2 | address | imslipv1p0_address.txt | Work, Permanent, Private, Temporary, Mailing, Campus, Billing |
3 | affiliation | imslipv1p0_affliliation.txt | Professional, Personal[3], Military, Civic |
4 | agent | imslipv1p0_agent.txt | Parent, Guardian, Proxy, Aide, Advisor, Tutor, Mentor, Sponsor |
5 | agentdomain | imslipv1p0_agentdomain.txt | Legal, Medical, Financial, Accessibility, Educational |
6 | contactinfo[4] | imslipv1p0_contactinfo.txt | Private, Work, Campus |
7 | date | imslipv1p0_date.txt | Effective[5], Birth, Start, Finish, Expiry, Death, Update, Create, Renewal, Delete, Publish, Award, Enrol, Join |
8 | definition | imslipv1p0_definition.txt | Class, Course, Curriculum, Module, Topic, Unit |
9 | demographics | imslipv1p0_demographics.txt | Adult, Mature, College, Primary, Secondary, Preschool, Nursery, University, Vocational, Enrichment, Graduate, Professional, Technical |
10 | disability | imslipv1p0_disability.txt | For further study in V2.0[6] |
11 | eligibility | imslipv1p0_eligibility.txt | For further study in V2.[7] |
12 | evaluation[8] | imslipv1p0_evaluation.txt | QTI_Assessment, QTI_Section, QTI_Item |
13 | goal | imslipv1p0_goal.txt | Work, Education, Personal |
14 | interest | mslipv1p0_interest.txt | Recreational, Vocational, Domestic |
15 | language | imslipv1p0_language.txt | Use the ISO Standard terminology |
16 | name | mslipv1p0_name.txt | Contact, Full, Alias, Maiden, Preferred, Former |
17 | organization | imslipv1p0_organization.txt | Professional, Employer, Government, Recreational, Educational, Training, Military |
18 | partname | imslipv1p0_partname.txt | Particle[9], Prefix, Suffix, Given, Middle, Surname, Nickname, Last, First, Family, Maternal, Paternal, Initials |
19 | preference | imslipv1p0_preference.txt | Cognitive, Physical, InputTech, OutputTech |
20 | privacy | imslipv1p0_privacy.txt | Creator, Owner, Steward, Learner, Default, [All][10] |
21 | product | imslipv1p0_product.txt | Exam, Coursework, Portfolio, Participation |
22 | qcl | imslipv1p0_qcl.txt | Qualification, Certification, Licence, Degree |
23 | relationship | imslipv1p0_relationship.txt | Activity, Accessibility, Affiliation, Competency, Goal, Identification, Interest, Qcl, Securitykey, Transcript |
24 | representation | imslipv1p0_representation.txt | Photo, Voice, Biometric, Signature |
25 | role | imslipv1p0_role.txt | Administrative, Executive, Officer, Representative, Member |
26 | securitykeys | imslipv1p0_securitykeys.txt | Password, Certificates, PIN, Username |
27 | status | imslipv1p0_status.txt | Active, Inactive, Retired, Completed, InProgress, Pending, Expired |
28 | temporal | imslipv1p0_temporal.txt | Expiry, Creation, Update, Purge |
29 | testimonial | imslipv1p0_testimonial.txt | Academic, Personal, Work, Military, Service |
30 | transcript | imslipv1p0_transcript.txt | Academic, Vocational, Training |
표 11.1 학습자정보(Learnerinformation) 적합성 명시표
학습자정보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identification □ accessibility □ goal | □ qcl □ activity □ competency□ interest | □ affiliation □ transcript □ securitykey □ relationship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2 접근성(Accessibility) 적합성 명시표
접근성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language | □ preference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3 활동(Accessibility) 적합성 명시표
활동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date □ status □ units | □ learningrefactivity □ product □ definition □ evaluation | □ testimonial □ status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4 그룹활동(Affiliation) 적합성 명시표
그룹활동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affiliationid □ role | □ organization □ date | □ status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5 역량(Competency) 적합성 명시표
역량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exrefrecord |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기능 | ||
|
표11.6 목표(Goal) 적합성 명시표
목표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date | □ priority □ status |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식별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formname □ name□ contactinfo □ telephone □ facsimile□ mobile □ pager □ email □ web | □ address □ pobox □ street□ locality □ city □ country □ statepr □ region □ postcode □ timezone □ geo | □ demographics □ representation □ gender □ date □ uid □agent□ agentid □ agentdomain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8 관심사(Interest) 적합성 명시표
관심사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product |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9 자격인증정보(Qcl) 적합성 명시표
Qcl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title □ organization | □ registrationno □ level | □ date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10 상관관계(Relationship) 적합성 명시표
상관관계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tuplesource | □ tuplerelation □ tupledest |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11 보안키(Securitykey) 적합성 명시표
목표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keyfields | □ description |
확장필드: 다음의 특징들로 인해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표 11.12 성적증명서(Transcript) 적합성 명시표
성적증명서 | ||
선택필드: 선택필드는 정보에 관한 것이다. 선택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모든 관련 필수요소들이 지 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contentype | ||
□ referential | □ temporal | □ privacy |
□ comment | □ exrefrecord | □ description |
확장필드: 선택 필드를 체크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모델의 확장이 가능하다 | ||
|
|
그림 A1 LIP 표준의 객체기반 표현
각 클래스 및 해당 기능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정보(learnerinformation)- 11가지 핵심 학습자정보 클래스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조. 습자정보를 설명하는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은 ‘contentype’ 클래스에 포함되어 있다. 식별(identification)- 특정 개인 또는 조직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자정보 (예: 이름, 주소, 연락처, 대리인, 신상정보) 접근성(accessibility)- 인지적, 기술적, 물리적 선호유형, 언어 구사능력, 장애여부, 적격성 등의 학습자 정보 목표(goal)- 개인적 목표와 열망. 목표 달성 진전사항 또한 포함된다. 하위목표 또한 명시될 수 있다. 자격인증정보(qcl)-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행한 자격증(qualification), 인증(certification), 면허증 (licenses) (예: 학습 및 실무경력 증명서) 자격증/인증/면허증을 부여한 조직에 대한 설명과 전자문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활동(activity)- 교육/연수, 실무경험 및 서비스(군, 커뮤니티) 등에 대한 기록 및 성과물 (공식적인 상 (award)은 제외). 이수한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과 평가결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성적증명서(transcript)- 교육기관의 학업성취기록.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평가한 기관에서 성적증명서를 제공함. 역량(competency)- 학습자가 습득한 기술(skill) 에 대한 설명. 이들 기술(skill) 은 공식적/비공식적 연 수 또는 실무경력 (‘활동’에 기재됨) 그리고 공적 포상 (‘qcl’에 기재)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역량 수 준(level) 이 명시되어야 한다. 관심사(interest)- 취미 및 여가활동에 관한 정보. 공식적 상 (‘qcl’에 기재)을 받은 활동도 포함된다. 취 미 및 여가활동의 결과물에 대한 전자문서도 포함될 수 있다. 그룹활동(affiliation)- 학습자의 그룹활동 현황 (예: 전문가 조직). 클래스, 그룹 (교육/연수 그룹)등의 멤버십 현황이 IMS 엔터프라이즈 표준에 의해 지원되어야 한다. 보안키(securitykey)- 암호, 보안키, 본인확인키(authentication key)등의 정보. 학습자가 각종 학습자정 보를 활용할 때 쓰인다. 상관관계(relationship)- 핵심 데이터구조 사이의 상관관계 (예: ‘qcl’과 발행기관과의 관계) 상관관계를 명시함으로써, 핵심 데이터구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명쾌하게 수립할 수 있다. 콘텐츠유형(contentype)- 학습자정보를 명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를 포함, 관 리. ‘콘텐츠유형(contentype)’은 참고자료, 시간정보, 프라이버시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정 보는 학습자정보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참고자료(referential)- 학습자정보 기록과 이 기록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별 데이터 구성요소를 인식하 는데 사용되는 참고자료. 그러나 실질적인 식별시스템(actual identification system)은 이 표준의 적용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시간관련 정보(temporal)- 시간에 관한 정보. 학습자정보 작성일자 및 유효기간 등이 포함된다. 기재 방식은 ISO8601 표준을 따라야 한다. 프라이버시(privacy)- 프라이버시, 본인 확인, 학습자정보의 완전성 입증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 학습자정보를 지원하는데 사용되는 실질적 프라이버시 장치 (매커니즘(mechanism) 및 구조(architecture)) 는 이 표준의 적용범위에 포함되지 않지만, 이들 구조를 통해 학습자정보가 상호교류된다.